오실로스코프와 함수발생기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오실로스코프

2. 아날로그 와 디지털

화면조정과 전원부

수직증폭부

소인과 동기부

기타

본문내용

서 트리거를 어디에 기준할 것인가를 선택한다.
EXT(external) :
(1) 외부에서 SOURCE를 통해 별도의 동기 신호를 줄 때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측정하고 있는 채널에 맞추어 놓으면 된다.
(2)외부 트리거(EXT INPUT) 입력단자의 입력신호가 트리거신호원으로 된다.
주의!!! VERT MODE S.W가 CH1 및 CH2의 경우 내부 트리거신호원은 SOURCE S.W로는 선택불가.
단현상 동작시의 내부 트리거 신호원은 VERTICAL MODE S.W에 의해 결정된다.
LINE : 교류전원(100V)에 동기시키고자 할 때 사용한다. 즉 전원신호가 트리거신호가 된다.
CH1 : VERTICAL MODE S.W가 DUAL 및 ADD의 경우 내부 트리거 신호원을 CH1에 선택한다.
CH2 : VERTICAL MODE S.W가 DUAL 및 ADD의 경우 내부 트리거 신호원을 CH2에 선택한다.
기타
(1) 합성과 반전(Addition and Inversion)
두개의 신호를 단지 더하기만 하는 것은 별로 실효성이 없다. 그러나 비교되는 두개의 신호중 하나를 반전시켜 합성시키면 그 영향은 두 신호의 차를 구한 것이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공통모드의 간섭을 제거하거나 두 신호의 차의 측정 등에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2) 교번 및 절단(Alternate and Chop)
오실로스코프는 한번에 하나의 궤적만을 화면에 나타낸다. 오실로스코프를 사용하는 많은 경우에 두개의 신호가 비교된다. 입출력 관계의 비교나 시스템을 통과한 신호의 지연을 살펴보는 경우를 예로 들 수 있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여러 신호를 가상적으로 동시에 보는 것처럼 나타낼 수 있는 오실로스코프가 필요하다.
(가) 하나의 궤적을 완전히 그린 후 다시 다른 하나의 궤적을 교대로 그리는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을 ALT(Alternate mode)라고 한다.
(나) 두개 신호의 부분 부분을 스위칭하거나 절단하여 두 신호 사이를 빨리 왕복하여 궤적을 그린다. 이를 CHOP(Chopped mode)라 부른다.
절단모드는 느린 시간축속도에서의 저주파 신호 측정에 유리하고, 교번모드는 빠른 시간축 설정이 필요한 고주파 신호에서 유리하다.
(3) X-Y편향
X-Y Mode는 시간축이 무시되고 수직 편향판에 사용된 것과 다른 별개의 입력신호가 수평방향으로 전자 빔을 편향시키도록 하는데 사용된다. 이것은 두개의 입력신호에 대한 관계를 그릴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방법의 가장 일반적인 응용은 신호의 위상관계 측정에서 사용된다. 리사아쥬(Lissajious Figure)도형은 일정한 비율 관계를 가진 정현파의 주파수가 사용될 때 나타난다. 고정된 주파수 관계를 가진 신호에 대해서 화면을 통해 위상관계를 알아낼 수 있다. 
2. 함수 발생기
주파수 발생기로도 불리며 함수발생기는 필요한 여러 주파수를 발생 시킬 수 있다.
각 스위치의 용도와 구조 및 사용방법
1. 녹색 LED 디스플레이 : 내, 외부 신호의 주파수 지시
2. INT/EXT 스위치 : 내부 함수발생기 주파수 카운터 기능/외부신호 주파수
카운터
3. RANGE(Hz) : 주파수 범위 선택, 8번의 주파수 조정 다이알의 값과 곱해
져 주파수 지령 만듬
4. FUNCTION : 정현파, 삼각파, 구형파(SQUARE WAVE) 출력 선택
5. ATT(Attenuator) : 출력 레벨을 -20dB 만큼 감쇠하는 선택 스위치
6. Zo : 출력 저항 선택 스위치(50Ω, 600Ω)
7. O.F : 입력 주파수 카운터시 주파수 범위 오버플로우 지시기(주파수 범위
가 오버됐음을 지시, 이 때 RANGE를 상향 조절한다.)
8. FREQUENCY (DIAL) : 주파수 범위와 곱해져 정확한 입출력 신호의 주파
수를 지정한다.(0.02Hz - 2Hz 범위의 주파수 세팅은 1번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지 않으므로 이 다이얼을 통해 정확히 조절해야 한다.)
9. GATE TIME INDICATOR
10.Hz, KHz, MHz 지시기
11.EXT COUNTER : 주파수카운터 기능을 이용할 때 외부 신호가 입력되는
곳으로 BNC 타입으로 되어 있다. 이의 측정을 위해서는 2번의 INT/EXT
스위치를 PUSH IN 한다.
12.SWEEP RATE : 내부 스위프발생기를 위한 온-오프 스위치로 내부 스위
프발생기의 스위프율을 조정한다. 스위프 파형이란 지정파형(삼각, 구형,정현파형)의 주파수가 선형적 또는 대수적으로 초기 지정주파수에서 최종스톱주파수까지 주파수변화를 일으키면서 발생되는 것을 말한다. 이런 파형은 FM 변조 뿐 만 아니라 입력으로 다양한 주파수대역을 갖는 신호를 순서적으로 인가할 수 있어 주파수 응답을 관찰하는데 있어서도 유효하다. 스위프율은 초기주파수발생과 스톱주파수발생사이의 시간을 지정하는 것으로 이 값을 크게 할수록 지정 범위의 주파수 변화가 더 빨리 일어난다.
13.SWEEP WIDTH : 스위프의 크기를 제어한다.
14.VCF IN : 출력신호의 주파수 및 스위프율을 제어할 수 있는 아날로그 전
압이 인가되는 BNC 입력단이다.(이 함수발생기는 외부 전압에 의해 스위
프율 및 출력신호의 주파수를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이 있다.) 이 기능을 사
용할 때 14번 스위프율 조절 스위치는 오프한다.
15.SYM PULL : 출력파형의 대칭성을 1:1에서 4:1 까지 이 푸쉬/풀 스위치
로 조절한다. 이 것은 양의 부분과 음의 레벨부분이 대칭성을 갖는 구형,
정현, 삼각파에 있어 그 두 부분이 차지하는 비율을 조절하는 것을 뜻한
다.
16.TTL(PUSH)/CMOS(PULL) : TTL/CMOS 논리회로의 입력파형으로 고정
논리레벨을 갖는 파형을 인가할 때 사용하는 조절 스위치. 푸쉬/풀에 따라
TTL/CMOS 모드 선택된다. TTL/CMOS : 지정 TTL/CMOS 출력이 나
가는 출력 BNC 단
17.DC OFFSET(PULL) : 출력신호에 양 또는 음의 DC 성분을 첨가할 수 있
다.
18.OUTPUT : 주 출력이 출력 임피던스 50Ω으로 출력되는 BNC 단
19.AMPLITUDE : 출력신호의 레벨을 0에서 -20dB 까지 조절한다.
  • 가격2,3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2.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334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