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케팅원론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 론
(1) 보고서의 배경과 목적
(2) 보고서의 범위, 방법 및 구성

2. 국내 대형 브랜드 현황

3. 카페베네의 마케팅전략 분석
(1) 카페베네의 현황
(2) 카페베네의 STP전략
(3) 카페베네의 4P전략
(4) SERVICE 전략
(5) CRM 전략

4. 카페베네의 문제점 분석 및 해결방안
(1) 카페베네의 문제점
(2) 해결책 분석 및 대안

5. 결 론

본문내용

국내 커피시장 규모는 2009년 2조3000억원(닐슨 데이터 및 주요 커피전문점 매출 기준)에 달한 것으로 추정된다. 한 해 전(1조7800억원)에 비해 23% 성장했다.
스타벅스와 커피빈 등 글로벌 브랜드가 아직 매출 규모로는 상위권을 유지하고 있지만 국내 브랜드의 시장 점유율이 크게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국내외 유명 업체들이 운영하는 기업형 브랜드 커피전문점은 올 1월 초 현재 2045개(상위 8개사 기준)로 1년 새 770여개나 증가했다. 더불어 소규모 프랜차이즈점과 개인이 운영하는 점포까지 포함하면 이미 3000개를 넘어섰다는 것이 업계 분석이다.
최근에는 기존 해외브랜드 및 국내 프랜차이즈는 물론이고 바른손, 인터파크 등 일반 기업들까지 잇따라 커피전문점 시장에 출사표를 던지고 있어 그 커피시장의 성장은 더욱 클 것이고 경쟁 또한 치열 할 것으로 보인다.
수도권에 밀집해 있던 커피전문점들이 올해는 지방 대도시 중심으로 신규 매장이 들어서면서 연말쯤에는 브랜드 커피전문점만 3200개 이상이 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1) 커피 빈

커피빈은 “The Coffee Bean & Tea Leaf”를 줄인 말로 커피뿐만 아니라 차에도 대등하게 신경을 쓴다. 현 시장은 포화상태에 다가와지고 있고, 커피맛 자체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는 점을 보더라도 새로운 시장인 “차” 판매에 노력을 하려고 한다. 특히나 여성들에게 있어 커피전문점은 커피를 마시는 공간이기도 하지만 그 이외에 대화의 공간이 방문목적에 포함되어있는걸 알게 되었다. 그렇기에 커피자체의 속성보다는 커피전문점의 새로운 속성을 이용해 보려고 한다. 조사결과 “차”판매에 대해서 아는 고객은 그다지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고객들에게 홍보하여 또 다른 즐거움을 선사할 수도 있을 것이다.
스타벅스에서는 얻을 수 없는 새로운 특징으로 이 틈새시장을 적극 홍보한다면 또 다른 수익원창출에 도움이 될거라 확신한다. 스타벅스와의 분위기 면에서의 차이는 그다지 크지 않은 것으로 조사결과 나타났다. 그렇다면 스타벅스와의 차별성을 좀 더 부각해서 커피빈만의 독특한 분위기를 연출한다면 고객들에게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스타벅스는 현재 획일화된 분위기로 매장 전체를 구성하고 있는데 커피빈은 다른 분위기로 나갈 것이다. 커피빈은 커피뿐만 아니라 차도 판매하는 곳이기에 커피를 판매하는 곳에서는 서양적인 분위기, 차를 판매하는 곳에서는 동양적인 분위기를 연출하여 다양한 문화를 겪게 하는 것이다.

키워드

  • 가격4,0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2.3
  • 파일형식기타(docx)
  • 자료번호#7335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