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축제문화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서론
2. 축제의 정의
3.축제의 기원
4.전통축제와 현대축제
5.세계의 여러 축제
6.축제의 세계화
7.축제의 기능과 특징
8.축제의 의의와 의미
9.결론

본문내용

되는데, 축제는 그 힘겹고 고달픈 일상의 시공간이 잠시 멈춤으로써 시작하기 때문에 우리는 그것을 ‘일상으로부터의 일탈’로 받아들이게 된다. 특정한 주어진 시공간 내에서 정기적으로 허락되는 특별한 행사로서의 축제가 끝나면 구성원들은 다시금 일상으로 복귀하며 다음에 다가올 축제를 기대하게 된다. 축제는 일상과 대립하지만 일상 속에서 반복되는 현상인 셈이다.
축제의 두 번째 특징으로 그것은 결코 개인적 행사가 아니라는 점이다. 다시 말하면, 축제란 반드시 공동체와의 연관성 내에서만 이루어질 수 있고 사유될 수 있는 문화적 행위이다. 사회 속에 존재하는 특정한 개인이 고독하게 홀로 축제를 행할 경우 그것은 사회문화적 행위가 결코 아니다. 물론 특정한 개인을 숭고하게 기르는 목적에서 공동체적 행사가 행해질 경우 그것은 공동의 의식을 나누는 구성원들의 전체 행위와는 관련된 것이기에 분명 축제로 간주될 수 있다.
세 번째 특징으로는 축제는 지적인 행위라기보다는 일종의 ‘분위기’가 절대적이다. 축제에 젖어있는 구성원의 심리적 상태와 관련해서 말한다면 축제에서는 즐거움, 기쁨, 향유, 과잉 같은 감각적인 분위기가 지배적이다.
마지막으로 축제는 유희 특성을 지닌다. 축제에서의 즐거움, 장식, 공동체와 같은 것들은 축제와 유희가 긴밀한 공통점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게 한다.
8. 축제의 의의와 의미
(1) 축제의 의의
축제는 국가, 종교, 계층, 성별, 인종, 직업의 벽을 허물고 일상의 전복을 통해 인간 화합을 이루어 낼 수 있는 현대사회에 있어서의 활력소이다.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적인 수준에서 보았을 때도 축제의 종류와 그 수는 이루 다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축제는 공동체의 문화적 결속력을 높이고 공동체 구성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축제는 단순히 즐기는 것이 아니라 즐김을 통해 재생산을 꾀하는 고도의 인간 활동이다. 따라서 축제에는 예술적 가치 혹은 대중 문화적 속성을 가미하거나 혹은 그것을 위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들 축제는 다른 축제의 일반적인 성격을 공유하고 있어서 지역발전의 디딤돌로 뿐만 아니라 지역민을 결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축제는 특정 나라나 지역의 문화상품이다. 외국 관광객들에게 우리가 만든 고유의 축제를 소개함으로써 얻는 이득은 돈으로 계산할 수 없는 커다란 가치가 있다.
축제는 우리의 현실을 그대로 담아내고 민족의 얼을 재현 전승하는 가운데 그 빛을 발하게 된다.
(2)인간에게 축제가 갖는 의미
인간의 존재를 ‘축제하는 인간(homo festivus)"이라고 표현하는데서 알 수 있듯이 축제는 인간이 갖는 본능적인 사회적 행동욕구의 표현수단이다. 원시생활을 하는 미개인으로부터 첨단선진문화를 누리고 있는 현대인들에 이르기까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인간은 누구나 어떤 주제를 찾아 즐기고 축제를 벌이려는 본성을 지닌 것이다.
이렇게 특정상황이나 주제를 축제의 분위기로 연출하려는 욕구는 단지 기쁨과 즐거움의 대상뿐만 아니라 장례식, 혼례예식, 성년식 등 인간생활에 있어서 희노애락의 다양한 내용으로 그 폭이 넓어진다.
(3) 지구화시대에서 축제가 가지는 의미
한 사회를 이해하는 데에는 교육을 통한 여러 가지 접근 방법이 있겠지만, 무엇보다도 그 사회를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의 특유의 문화에 대해서 들여다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것이다. 한 사회가 가지고 있는 특성은 오랜 시간에 걸쳐 많은 사람들에 의해 형성되어온 역사적이고 지속적인 성격을 띠고 있다. 이것은 곧 문화의 개념으로 이해 할 수 있다. 따라서 문화를 알아본다는 것은 특정 사회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으로 선행되어야 하는 중요한 학습의 한 형태라고 할 수 있다. 이 때 효과적인 학습에 대한 교육의 한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 바로 ‘축제’이다. 축제에 참여함으로서, 어쩌면 딱딱하고 지루하게만 느껴질 내용들이 즐겁고 흥미로운 학습의 형태로 자리 잡을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직접 축제에 참여함으로써 이전에 갖지 못했던 것들에 대한 관심이나 호기심을 유발시키는 것만으로도 문화의 이해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세계화 시대에 들어서면서 다른 나라의 문화를 쉽게 접할 수 있는 지금 그 어느 때보다도 문화의 이해와 수용에 있어서 축제가 중요한 것이다.
9. 결론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물질적인 풍요로움을 가지게 되면서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문화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되면서 더불어 축제에 대한 관심도 늘어나게 되었다.
하지만 오늘날 세계에서는 상품적 가치의 축제에 열의를 올리고 있다. 때문에 지난 몇 년 사이에 갖가지 새로운 축제들이 우후죽순으로 생겨났고, 경쟁적으로 축제의 대형화를 꾀하고 있다. 이것은 지역축제의 고유한 특징들을 사라지게 하고 있으며 축제들을 인공적이며 일회적으로 만들게 하고 있다.
하지만 진정한 축제를 즐기고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상업적인 측면만 부각시켜서는 안 된다.
축제는 단순한 흥미위주의 놀이문화가 아닌 정치, 종교, 문화, 역사, 예술 등의 여러분야가 복합적으로 접목된 문화현상이다. 또한 축제는 지역민의 통합과 지역의 문화를 계승 발전시켜 온 공동체의식의 표현이며 더 나아가 축제 기간 때만큼은 국적이나 인종 등을 구별하지 않고 전 세계인들이 하나가 되는 공동체의 장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무엇보다도 축제가 공동체의 자발적인 참여의식에 의해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더불어 축제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발전방안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축제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여태까지는 축제에 관한 연구나 소개들은 거의 서양축제가 중심이었고 거기에 일본의 축제연구 더해진 정도였다. 그리고 오늘날 연구되는 축제에 관해서는 축제의 경제성이라든지, 효용성, 관광적인 차원의 접근이 거의 차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앞에서 말했듯 축제는 복합적인 문화현상인 만큼 축제에 관한 연구는 축제의 본질, 기능, 역사, 구조 등 여러 가지 심층적인 차원에서 복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렇게 된다면 머지않아 전통성과 현대성이 적절하게 조화된 축제를 만나볼 수 있을 것이다.
  • 가격3,3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2.03.15
  • 저작시기2012.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344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