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 제목 닌히드린 시험
2. 실험 일시 및 기후 11월 11일
3. 시약 및 기구
- 글리신, 티로신, 트립토판, 프롤린, 알부민, 암모니아수
닌히드린(1% 수용액)
4. 서론 및 원리
2. 실험 일시 및 기후 11월 11일
3. 시약 및 기구
- 글리신, 티로신, 트립토판, 프롤린, 알부민, 암모니아수
닌히드린(1% 수용액)
4. 서론 및 원리
본문내용
닌히드린용액이 진한 탓인지 갈색으로 변했다. 그래서 다시 프롤린만 새 시험관에 실험을 실시했는데 이때는, 닌히드린 용액을 2-3방울 정도 가량 조금만 넣고 가열을 했다. 그랬더니 프롤린이 약간 진한 황색으로 변했다.
결론
- 닌히드린 시험은 아미노산 및 단백질의 정성시험인데, 닌히드린은 아미노산을 산화시켜 암모니아와 이산화탄소를 유리시키고 알데하이드를 생성하여 자신은 환원된다. 유리된 암모니아는 환원닌히드린 및 남아있는 닌히드린과 반응하여 아미노산에 이 반응은 아미노기를 가지는 단백질, 펩티드, 아미노산에 대해 양성을 나타내며, 암모니아에 대해서도 양성반응을 나타낸다. α-아미노산, 펩티드 및 단백질은 닌히드린시약과 반응하여서 자주색 계열의 착색물질을 만들게 된다는 것을 알았다. 예외적으로, 프롤린 경우 황색 계열의 착색물질을 만든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닌히드린시약으로 아미노산 및 단백질의 확인에 보편적으로 쓰이지만 아미노기가 있는 화합물인 아미노산의 정량에도 이용이 된다는 것을 암모니아수를 넣어서 실험 해본 결과 알 수 있었다.
1. 실험 제목 Millon 시험
2. 실험 일시 및 기후 11월 11일
3. 시약 및 기구
- 글리신, 티로신, 페닐알라닌, 알부민, 페놀
NaNO2, Millon 시약(15%의 H2SO4 에 HgSO4를 녹인 용액 (15%))
4. 서론 및 원리
Millon 시험
- 페놀성 히드록시기가 있는아미노산인 티로신의 검출 및 정량법. 티로신에 밀론시약(수은을 발연아세트산에 용해한 것)을 반응시키면 니트로소페놀의수은착염이 생성되어 갈색을 나타낸다. 이 방법의 개량법으로황산수은(Ⅱ)과 아질산나트륨으로 짙은 적색(흡수극대파장480nm)을 발색시키는 방법이 있다. 반응은 페놀에 일어나기때문에 살리실린산이나 티몰 등도 양성이다. NaCl, 트립토판등에 의해 저해된다.
Phenol
-방향족성의 고리(벤젠고리·나프탈렌고리 등)에 히드록시기(-OH)가 결합한 화합물의 총칭. 일반식 ArOH로 나타낸다. 좁은 뜻으로는 가장 간단한 화합물인 히드록시벤젠, 즉 벤젠의 수소원자 1개가 히드록시기로 치환된 화합물을 가리킨다.
〔페놀류〕방향고리에 히드록시기가 1개 치환한 페놀을 1가(價)페놀이라고 하며, 피로카테킨(카테콜)·레조르시놀(레조르신)·히드로퀴노처럼 방향고리에 2개의 히드록시기가 치환한 페놀을 2가페놀, 또 피로갈롤처럼 방향고리에 3개의 히드록시시가 치환한 페놀을 3가페놀이라고 하고, 이것들을 총칭하여 다가페놀이라고 한다.
페놀에는 단순히 히드록시기가 방향고리에 치환해 있을뿐만 아니라, 메틸기 등의 알킬기나 니트로기 등이 다시 치환한 화합물도 있다.
크레졸·니트로페놀·피크르산 등은 그 예이다.
Millon 시험방법
① 5개의 시험관과 시약을 준비한다
② 시험관에 각각의 시약을 1㎖넣는다
③ 5방울의 Millon 시약을 넣음
④ 물중탕속에서 10분간 가열
⑤ 상온까지 식힘
⑥ NaNO2,용액 5방울을 가함
⑦ 변화한 색을 관찰
Millon 시험 결과 및 고찰
시약
글리신
티로신
페닐알라닌
알부민
페놀
가열한 후
투명
투명
투명
투명
흰색
NaNO2,넣은 후
흰색
적색
투명
연주황 (침전)
갈색 (침)
고찰
- 5개의 시험관과 각각의 시약을 준비하고 시험관에 각각의 시약을 1㎖넣는다. 그리고 5방울의 Millon 시약을 넣고 물중탕 속에서 10분간 가열 한 후 상온까지 식힌 다음 색을 관찰하니 글리신과 티로신, 페닐알라닌, 알부민은 투명하게 변했고 페놀은 흰색(불투명)으로 변했다. 그리고 NaNO2,용액 5방울을 가한 후 변화된 색을 관찰하니 글리신은 불투명한 흰색. 티로신은 어두운 적색. 페닐알라닌은 여전히 투명색. 알부민은 연한 주황색으로 바뀌고 침전이 생겼고 페놀은 갈색으로 바뀌고 침전이 생겼다.
결론
- Millon 시험은 닌히드린 시험과 마찬가지로 단백질 정성시험이다. 하지만 Millon test는 페놀성 수산기를 가진 화합물에만 양성반응을 나타내 적갈색으로 된다. Millon test에 쓰인 시약들 중 티로신과 알부민, 페놀이 페놀기(-ArOH)기를 포함하고 있는데 실험 결과 티로신과 알부민, 페놀이 적색계열로 변한 것을 보니 실험이 아주 잘 되었다고 생각이 든다.
티로신은 페놀기가 포함되어 있어서 양성반응을 나타내었지만 페닐알라닌은 페닐기가 포함되어 있을 것이라고 생각이 들었지만 실험결과 반응이 나타나지 않아서 좀 의외로 생각했지만 구조를 살펴보니
이런 구조로 벤젠고리는 있지만 벤젠과 같이 있는 페놀기가 없다는 결과를 알게 되었다.
결론
- 닌히드린 시험은 아미노산 및 단백질의 정성시험인데, 닌히드린은 아미노산을 산화시켜 암모니아와 이산화탄소를 유리시키고 알데하이드를 생성하여 자신은 환원된다. 유리된 암모니아는 환원닌히드린 및 남아있는 닌히드린과 반응하여 아미노산에 이 반응은 아미노기를 가지는 단백질, 펩티드, 아미노산에 대해 양성을 나타내며, 암모니아에 대해서도 양성반응을 나타낸다. α-아미노산, 펩티드 및 단백질은 닌히드린시약과 반응하여서 자주색 계열의 착색물질을 만들게 된다는 것을 알았다. 예외적으로, 프롤린 경우 황색 계열의 착색물질을 만든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닌히드린시약으로 아미노산 및 단백질의 확인에 보편적으로 쓰이지만 아미노기가 있는 화합물인 아미노산의 정량에도 이용이 된다는 것을 암모니아수를 넣어서 실험 해본 결과 알 수 있었다.
1. 실험 제목 Millon 시험
2. 실험 일시 및 기후 11월 11일
3. 시약 및 기구
- 글리신, 티로신, 페닐알라닌, 알부민, 페놀
NaNO2, Millon 시약(15%의 H2SO4 에 HgSO4를 녹인 용액 (15%))
4. 서론 및 원리
Millon 시험
- 페놀성 히드록시기가 있는아미노산인 티로신의 검출 및 정량법. 티로신에 밀론시약(수은을 발연아세트산에 용해한 것)을 반응시키면 니트로소페놀의수은착염이 생성되어 갈색을 나타낸다. 이 방법의 개량법으로황산수은(Ⅱ)과 아질산나트륨으로 짙은 적색(흡수극대파장480nm)을 발색시키는 방법이 있다. 반응은 페놀에 일어나기때문에 살리실린산이나 티몰 등도 양성이다. NaCl, 트립토판등에 의해 저해된다.
Phenol
-방향족성의 고리(벤젠고리·나프탈렌고리 등)에 히드록시기(-OH)가 결합한 화합물의 총칭. 일반식 ArOH로 나타낸다. 좁은 뜻으로는 가장 간단한 화합물인 히드록시벤젠, 즉 벤젠의 수소원자 1개가 히드록시기로 치환된 화합물을 가리킨다.
〔페놀류〕방향고리에 히드록시기가 1개 치환한 페놀을 1가(價)페놀이라고 하며, 피로카테킨(카테콜)·레조르시놀(레조르신)·히드로퀴노처럼 방향고리에 2개의 히드록시기가 치환한 페놀을 2가페놀, 또 피로갈롤처럼 방향고리에 3개의 히드록시시가 치환한 페놀을 3가페놀이라고 하고, 이것들을 총칭하여 다가페놀이라고 한다.
페놀에는 단순히 히드록시기가 방향고리에 치환해 있을뿐만 아니라, 메틸기 등의 알킬기나 니트로기 등이 다시 치환한 화합물도 있다.
크레졸·니트로페놀·피크르산 등은 그 예이다.
Millon 시험방법
① 5개의 시험관과 시약을 준비한다
② 시험관에 각각의 시약을 1㎖넣는다
③ 5방울의 Millon 시약을 넣음
④ 물중탕속에서 10분간 가열
⑤ 상온까지 식힘
⑥ NaNO2,용액 5방울을 가함
⑦ 변화한 색을 관찰
Millon 시험 결과 및 고찰
시약
글리신
티로신
페닐알라닌
알부민
페놀
가열한 후
투명
투명
투명
투명
흰색
NaNO2,넣은 후
흰색
적색
투명
연주황 (침전)
갈색 (침)
고찰
- 5개의 시험관과 각각의 시약을 준비하고 시험관에 각각의 시약을 1㎖넣는다. 그리고 5방울의 Millon 시약을 넣고 물중탕 속에서 10분간 가열 한 후 상온까지 식힌 다음 색을 관찰하니 글리신과 티로신, 페닐알라닌, 알부민은 투명하게 변했고 페놀은 흰색(불투명)으로 변했다. 그리고 NaNO2,용액 5방울을 가한 후 변화된 색을 관찰하니 글리신은 불투명한 흰색. 티로신은 어두운 적색. 페닐알라닌은 여전히 투명색. 알부민은 연한 주황색으로 바뀌고 침전이 생겼고 페놀은 갈색으로 바뀌고 침전이 생겼다.
결론
- Millon 시험은 닌히드린 시험과 마찬가지로 단백질 정성시험이다. 하지만 Millon test는 페놀성 수산기를 가진 화합물에만 양성반응을 나타내 적갈색으로 된다. Millon test에 쓰인 시약들 중 티로신과 알부민, 페놀이 페놀기(-ArOH)기를 포함하고 있는데 실험 결과 티로신과 알부민, 페놀이 적색계열로 변한 것을 보니 실험이 아주 잘 되었다고 생각이 든다.
티로신은 페놀기가 포함되어 있어서 양성반응을 나타내었지만 페닐알라닌은 페닐기가 포함되어 있을 것이라고 생각이 들었지만 실험결과 반응이 나타나지 않아서 좀 의외로 생각했지만 구조를 살펴보니
이런 구조로 벤젠고리는 있지만 벤젠과 같이 있는 페놀기가 없다는 결과를 알게 되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