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토프로테인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실험 제목 크산토프로테인
2. 실험 일시 및 기후 11월 18일

3. 시약 및 기구
- 글리신, 티로신, 트립토판, 페닐알라닌, 알부민, 페놀,
진한질산, NaOH

4. 서론 및 원리

본문내용

신, 트립토판, 페닐알라닌, 알부민, 페놀,
진한질산, NaOH
4. 서론 및 원리
잔토프로테인(Xanthoprotein)
- 시료에 약간의 질산을 넣어서 몇 분간 가열하면 노란색이 되고, 다시 암모니아수를 가하여 알칼리성으로 하면 색이 진하게 되어 주황색에 가깝게 되는 반응. 이 반응은 페닐알라닌·타이로신·트립토판 등의 아미노산의 벤젠고리가 질산에 의해 나이트로화 되어 노란색의 나이트로화합물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들 아미노산을 함유하지 않는 단백질인 경우는 이러한 발색은 일어나지 않는다.
나이트로화(nitration)
- 가장 일반적인 나이트로화반응은 알코올의 질산에스터화반응과 탄화수소 또는 그 유도체의 수소원자를 나이트로기로 치환하는 반응
- 방향족 나이트로화 반응에서는 황산촉매가 질산을 양성자화 시킨 다음 물분자가 떨어진 후 질소 원자에 양전하를 가진 나이트로늄 이온을 만든다. 그래서 나이트로늄 이온이 강한 친전자체로 작용하여 방향족 고리를 공격한다.
Xanthoprotein시험방법
① 6개의 시험관과 각각의 시료 용액을 준비.
② 약 1ml의 시료용액에 같은 양의 진한 질산을 넣음
③ 색변화를 비교
④ 이 용액을 NaOH로 센 알카리성으로 만듬
⑤ 색깔이 어떻게 변하는지 관찰
Xanthoprotein 시험 결과 및 고찰
글리신
티로신
트립토판
페닐알라닌
알부민
페놀
진한질산을 넣은 후
변화없음
옅은 노란색
노란색
변화없음
옅은 노란색
노란색
NaOH를 넣은 후
변화없음
옅은 노란색
노란색
변화없음
옅은 노란색
노란색
질산을 넣고 난 후
NaOH를 넣고난후
고찰
- 6개의 시험관과 각각의 시료 용액을 준비한 후 시험관에 약 1ml의 각각의 시료용액에 같은 양의 진한 질산을 넣고 나서 색변화를 비교해 보았더니 글리신과 페닐알라닌은 투명했지만 티로신과 트립토판, 알부민, 페놀은 황색 계열로 변화가 나타났다. 그리고 각각의 시험관에 NaOH로 센 알칼리성으로 만들고 나서 색깔이 어떻게 변하는지 관찰을 해보니 글리신과 페닐알라닌은 그대로 투명 했지만 티로신과 트립토판, 알부민, 페놀은 색깔이 티가 나지 않을 정도로 약간 진해 졌다.
결론
- Xanthoprotein test는 방향족 아미노산이 질산에 의해 니트로화 되면서 황색으로 변함 유무에 따라 아미노산에 방향족화합물이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 할 수 있다. 티로신, 트립토판, 알부민, 페놀은 Xanthoprotein test에서 황색계열로 변화가 나타났으므로 방향족을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위의 그림을 보면 티로신과 트립토판, 페닐알라닌의 변화가 나타나 있는데, 전부다 똑같이 방향족 화합물임에도 불구하고 페닐알라닌은 변화가 일어나지 않았다. 왜 페닐알라닌도 방향족화합물인데 변화가 일어나지 않았는지 생각을 해 보았는데, 아무래도 티로신은 벤젠에 전기음성도가 큰 -OH기가 붙어있어서 좀 더 쉽게 반응이 일어난 것 같고 트립토판 역시, 벤젠에 전기음성도가 큰 -NH기를 포함하는 고리화합물이 붙어있어서 반응하는데 좀 더 영향이 미쳤다고 생각이 든다. 그렇다고 해서 페닐알라닌이 반응이 아예 일어나지 않는 건 아닌 것 같다. 단지 반응이 느려 시간이 좀 걸릴 뿐 어느 정도의 반응은 나타날 것이라고 생각이 든다.
1. 실험 제목 Pauly test
2. 실험 일시 및 기후 11월 18일
3. 시약 및 기구
- 글리신, 티로신, 히스티딘, 트립토판, 알부민, 술파닐산, NaNO2, Na2NO3
4. 서론 및 원리
디아조화
- 방향족아민을 염산산성 하에서 아질산과 반응시킴으로써 디아조기(-N+≡N)를분자에 도입시키는 반응. 디아조는 방향족아민이나 페놀류와반응하여 결합함으로 합텐을 운반단백질에 결합시켜 인공항원을 형성하는 데 사용
짝지음반응
- 2종류의 유기 화합물이 상이한 작용기 사이에서 축합반응을 일으켜, 새로운 공유결합을 생성하는 반응을 일반적으로 커플링 반응 또는 짝지음 반응이라 한다. 전형적인 예는 디아조 커플링. 또 같은 종의 화합물이 다른 종의 작용기 사이에서 반응하여 새로운 공유결합을 이루는 반응. 예를 들면 알돌 축합도 하나의 커플링 반응으로 간주할 수 있다. [네이버 백과사전]
- 다이아조 짝지음 반응은 방향족 친전자성 치환반응으로서 페놀과 방향족 아민이 아릴다이아조늄 친전자체와 반응하여 아조화합물을 만들게 된다.
아조화합물
- -N=N결합이 있는 유기 화합물.
- 아릴다이아조늄 이온은 양전하를 띠고 있어서 친전자체이다. 하지만 양전하가 공명현상으로 비편재되어 있기 때문에 약한 친전자체라서 아릴다이아조늄 이온은 페놀이다 방향족 아민과 같이 활성화되어 있는 방향족 고리와 반응하여 아조화합물을 생성함.
+ H2O
Pauly 시험방법
① 시험관5개와 각각의 시약을 준비
② 1ml의 술파닐산에 2ml 시료용액을 섞음
③ 얼음물 속에서 차게 함
④ 1ml의 NaNO2 용액을 넣고 3분 동안 방치
⑤ 2ml의 Na2CO3 용액을 첨가하여 용액을 알칼리성으로 함
⑥ 색의 변화 관찰
pauly 시험 결과 및 고찰
글리신
티로신
히스티딘
트립토판
알부민
NaNO2
변화없음
노란색
변화없음
노란색
옅은 노란색
Na2CO3
변화없음
노란색
변화없음
노란색
옅은 노란색
고찰
- 시험관5개와 각각의 시약을 준비하고 1ml의 술파닐산에 2ml 시료용액을 섞은 후 얼음물 속에서 차게 하고 1ml의 NaNO2 용액을 넣고 3분 동안 방치해 둔다. 용액을 넣을 때 빨리 넣으면 반응이 빨리되어서 시험관위로 튀어 오를 수도 있으니 천천히 넣어야 한다. 용액을 천천히 집어넣으면 글리신과 히스티딘은 반응을 하지 않고 티로신과 트립토판, 알부민은 황색계열로 변화가 된다. 그리고 2ml의 Na2CO3 용액을 첨가하여 용액을 알칼리성으로 해주고 색의 변화를 관찰을 했지만 눈에 띄게 큰 차이점이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 디아조화한 술파닐산은 아민, 아미노산, 페놀 또는 이미다졸과 짝지음 반응을 일으켜서 착색된 아조화합물을 만든다.
히스티딘은 방향족화합물이 아니기 때문에 티로신 같은 반응이 일어나지 않았다.
하지만 트립토판은 방향족화합물이라 티로신과 같은 반응이 일어났다는 것을 보니 실험이 아주 잘 되었다는 생각이 든다.
  • 가격2,3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2.03.20
  • 저작시기201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349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