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어턴의 아노미이론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머어턴의 아노미이론에 대하여 설명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듈깽과 머어턴의 아노미이론의 차이
2. 머어턴 아노미이론의 특성

3. 머어턴 기능구조주의의 문제점

4. 사회생물학이론과 듈깽의 사회실증주의

5. 머어턴의 아노미이론과 사회생물학이론

6. 낙인이론과 아노미이론의 대립

본문내용

를 대립되는 관계에 두려하지 않는다. 먼저, 아노미현상이나 범죄행위 모두가 단순히 후천적인 환경요인에 의해 야기된다는 그의 이론을 따른다면, 아노미를 겪는 자들이나 범죄자들의 신체적인 조건을 철저하게 배제함으로서, 아노미를 겪고 있는 사람들은 제외한 체 아노미란 현상만을 고찰하거나, 범죄자들은 배제한 체 범죄행위만을 분석해야하는 해괴한 상황에 부딪치게 된다.
여기서 머어턴 역시 듈깽과 마찬가지로 범죄자와 범죄를 분리하여 설명해야 하는 어려움에 봉착하게 된다. 더욱이 머어턴의 경우는 처음부터 범죄자의 생물학적인 특성은 법죄발생과 무관한 것으로 가정하였기에 논리전개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머어턴의 이론을 자세히 분석해 보면, 그는 생물학적 현상을 완전히 도외시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생물학적 현상을 사회학적 현상에 종속되어 있는 것으로 간주하고 있음을 알게된다. 따라서 사회현상을 설명하는데 생물학적 또는 사회생물학적 요인을 따로 설명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생물학적 요인을 가능한 한 평가절하 하려는 이 같은 노력은 결과적으로 그가 주장하고 있는 이론의 부족한 점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
머어턴의 행위유형에서 자세히 거론되었듯이 동일한 사회, 문화적 환경에서도 범죄를 저지르는 자들과 그렇지 않은 자들이 나타나게 된다는 것은 생물학적요인 내지는 사회생물학적 요인이 작용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는 곧 어떤 형태의 생물학적 요인에서건 무조건 탈피해 보고자 했던 머어턴이 사회생물학적 요인을 수용해야하는 곤경에 처하게 되었음을 말한다.
3. 낙인이론과 아노미이론의 대립
일탈행위 발생원인을 설명하는데 적용되는 양대 이론인 낙인이론 (Becker, 1973: 8-18)과 듈깽과 머어턴이 주장하는 아노미이론은 동일한 사회현상을 각각 사회생물학과 순수사회학의 입장에서 설명하고 있다는 점에서 좋은 대조를 이룬다. 혹자는 듈깽과 머어턴의 아노미이론이 생물학은 물론 사회생물학의 입장과는 전혀 무관하다는 생각을 할지 모르나, 이들 두 사람의 이론이 일탈행위를 사회생물학의 입장에서 다루고 있음은 분명하다. 단 일탈행위를 사회학의 입장에서 다루다보니 사회학이론과는 생소한 생믈학의 이론을 거론하는 것을 부담스럽게 느끼고 있을 뿐이다. 그러나 분명히 밝혀 둘 것은 듈깽이나 머어턴 다같이 생물학적 결정론을 주장하는 것이 아니라, 생물학적 요인과 사회학적 요인을 다같이 부분적으로 수용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또한 듈깽과 머어턴이론의 차이는 전자는 생물학적요인과 사회학적 요인의 중요성을 대등한 것으로 생각하는 반면, 후자의 경우는 사회학적 요인의 중요성에 보다 큰 비중을 두고 있다는 점이다. 굳이 머어턴의 아노미이론을 특징짓는다면 머어턴의 이론은 듈깽의 아노미이론과 다음에 설명 할 낙인이론의 중간에 위치한 것으로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듈깽의 이론이 일탈행위를 설명하면서 생물학적인 요인의 중요성을 인정하고 있는 반면에 낙인이론은 생물학적 요인을 철저하게 배제하고 오로지 후천적인 사회적 요인만을 강조하고 있다.
듈깽이나 머어턴의 이론과는 달리 낙인이론에서는 아노미를 경험하는 자들이나 일탈행위자들은 한결같이 정상인으로 태어남을 전제로 하고 있다. 보다 정확하게 말한다면, 낙인이론에서는 인간이 태어날 때 모두가 정상인으로 태어나는지 그렇지 않은지는 논할 수도 없고 또 논할 성질의 것도 아니라는 주장을 하고 있다. 그 이유는 낙인이론에서는 아노미나 일탈행위와 같은 현상을 순수하게 사회학의 입장에서 다룰 수밖에 없어 생물학의 영역인 선천적인 요인은 다룰 수가 없기 때문이다. 비록 정상인으로 태어났더라도 일단 태어난 이후에 이 멀쩡한 정상인을 미치광이로 낙인을 찍어 버리면 미치광이나 일탈행위자로 둔갑을 하는 이상 선천적인 생물학적 요인을 굳이 논의의 대상으로 삼을 이유가 없는 것이다.
따라서, 낙인이론은 생물학적, 사회생물학적 요인을 완전 배제하고 있는데 반해 듈깽과 머어턴의 아노미이론은 순수 사회학뿐 아니라 사회생물학의 분야까지도 그 영역을 확대하고 있는 것이다.
이제까지 사회학에서는 듈깽과 머어턴의 아노미이론을 지나치게 사회학적인 입장에서만 치우처 고찰해 왔기 때문에 이들이 제시한 이론의 또 다른 측면인 사회생물학적 중요성을 미처 발굴하지 못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 두 사회학자의 아노미이론에서 찾아 볼 수 있는 사회생물학적 측면은 앞으로 모든 사회현상을 규명함에 있어 사회생물학적 요인이 한층 더 그 중요성을 발휘하게 될 것임을 분명하게 시사해 주고 있다.
  • 가격2,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2.03.23
  • 저작시기2012.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358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