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사르트르의 우주론
2. 사르트르의 인간론
3. 사르트르의 우주론과 인간론 분석
2. 사르트르의 인간론
3. 사르트르의 우주론과 인간론 분석
본문내용
음을 보았다. 프로이트는 이러한 원인들이 거의 기계적으로 에너지의 흐름처럼 작용한다고 생각하였으며, 정신 분석 작업을 이 숨은 원인들을 밝혀 내는 일로 생각하였다. 사르트르는 정신적인 사건에 있어서 무의식적 원인들이라는 관념을 거부한다. 왜냐하면 그에게는 정신적인 것은 모두 다 열려진, 의식으로 파악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가 "실존주의적 정신 분석"이라고 칭한 작업은 한 사람의 행위에서 원인들을 찾아 내는 것이 아니라 그 행위의 의미를 찾는 것이다. 이 점에서 R.D.랭 같은 몇몇 현대 정신 의학자들은 사르트르를 따른다. 그러므로 한 인간을 이해하기 위해서 사르트르는 그 사람이 행한 선택들이 어떠한 것인가를 살핀다. 그리고 그는, 각 개인은 본질적으로 하나의 통일체(unity)이지 서로 연관이 없는 욕망 혹은 습관의 집합체에 불과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각 개인에게는 그가 행한 특정한 형식의 행위 하나하나에다 의미를 부여하는 기본적 선택 - "(근원적인 기투[企投]original project)" -이 있음에 틀림없다고 주장한다. 사르트르가 쓴 보들레르와 쟝 쥬네, 플로베르의 전기는 한 개인의 생활 방식의 기본적인 의미들을 해석하고 있는 독특한 연구들이다. 그리하여 실존주의 정신 분석은, 이 분석에 의해서 우리가 진정한 자각을 얻을 수 있기를 사르트르가 희망하는 방식이다. 그는 또 하나의 책을 쓰겠다는 약속으로 [존재와 무]를 끝맺고 있는데, 그가 쓰겠다고 약속한 책은 윤리적인 차원에서, 어떻게 우리가 우리의 자유를 인식하는 자유로운 존재로서 살 수 있을 것인가를 보여 주게 될 것이라고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