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t 기각치 양측 검정
2.039513
(유의수준=0.05(5%))
(가설평균차=0 )
이분산 가정 두집단에 대한 T-test 를 한 결과, P-value 값이 0.034873 으로 유의수준 0.05 보다 작기 때문에 「실험 수강생 중 여학생 피부의 반사율은 남학생 피부의 반사율과 같다.」 라는 가정은 기각되었다.
가설-2. 실험 수강생 중 4학년 학생 피부의 반사율은 3학년 학생 피부의 반사율과 같다.
☞ 가설-2는 채택되었다.
☞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서 T-test를 수행하였다. 가설-2를 T-test 하기 위하여 가설-1 경우와 똑같이 정규성 검증과정을 거쳤다. 두 집단의 정규분포가 같다면 등분산 가정을 이용할 것이고, 두 집단의 정규분포가 다르게 나온다면 이분산 가정을 이용할 것이다.
400-700nm
번호
성별
학년
평균반사율
정규분포
1
m
3
0.211
2.749273
2
m
3
0.220
3.658513
3
f
3
0.241
6.336751
4
m
3
0.243
6.520098
5
m
3
0.243
6.593739
6
f
3
0.262
8.516399
7
f
3
0.263
8.550832
8
f
3
0.263
8.576503
9
m
3
0.264
8.645329
10
f
3
0.267
8.789285
11
f
3
0.272
9.001987
12
m
3
0.273
9.037037
13
m
3
0.281
9.09988
14
f
3
0.283
9.061586
15
f
3
0.289
8.848044
16
m
3
0.293
8.666263
17
f
3
0.296
8.45587
18
f
3
0.315
6.512631
19
f
3
0.322
5.630845
20
f
3
0.339
3.559036
21
f
3
0.412
0.088196
평균값
0.279
표준편차
0.04376
400-700nm
번호
성별
학년
평균반사율
정규분포
1
m
4
0.221
4.026923
2
m
4
0.223
4.339675
3
m
4
0.227
4.882322
4
m
4
0.237
6.193095
5
m
4
0.241
6.754941
6
m
4
0.256
8.534226
7
m
4
0.256
8.600808
8
m
4
0.260
8.876716
9
m
4
0.276
9.579246
10
f
4
0.277
9.573994
11
f
4
0.282
9.483305
12
m
4
0.293
8.802241
13
m
4
0.306
7.344414
14
m
4
0.314
6.22872
15
f
4
0.321
5.375974
16
m
4
0.336
3.423269
17
m
4
0.363
1.077748
평균값
0.276
표준편차
0.041646
위의 정규성 검증에 따라 '이분산 가정 두집단' 에 대한 T-test를 실행하였다. (변수1=3학년 평균 반사율, 변수2=4학년 평균 반사율)
변수 1
변수 2
평균
0.278645
0.275761
분산
0.001915
0.001734
관측수
21
17
가설 평균차
0
자유도
35
t 통계량
0.207468
P(T<=t) 단측 검정
0.418423
t 기각치 단측 검정
1.689572
P(T<=t) 양측 검정
0.836847
t 기각치 양측 검정
2.030108
(유의수준=0.05(5%))
(가설평균차=0 )
이분산 가정 두집단에 대한 T-test 를 한 결과, P-value 값이 0.836847 로 유의수준 0.05 보다 크기 때문에 「실험 수강생 중 4학년 학생 피부의 반사율은 3학년 학생 피부의 반사율과 같다.」 라는 가정은 채택되었다.
2.039513
(유의수준=0.05(5%))
(가설평균차=0 )
이분산 가정 두집단에 대한 T-test 를 한 결과, P-value 값이 0.034873 으로 유의수준 0.05 보다 작기 때문에 「실험 수강생 중 여학생 피부의 반사율은 남학생 피부의 반사율과 같다.」 라는 가정은 기각되었다.
가설-2. 실험 수강생 중 4학년 학생 피부의 반사율은 3학년 학생 피부의 반사율과 같다.
☞ 가설-2는 채택되었다.
☞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서 T-test를 수행하였다. 가설-2를 T-test 하기 위하여 가설-1 경우와 똑같이 정규성 검증과정을 거쳤다. 두 집단의 정규분포가 같다면 등분산 가정을 이용할 것이고, 두 집단의 정규분포가 다르게 나온다면 이분산 가정을 이용할 것이다.
400-700nm
번호
성별
학년
평균반사율
정규분포
1
m
3
0.211
2.749273
2
m
3
0.220
3.658513
3
f
3
0.241
6.336751
4
m
3
0.243
6.520098
5
m
3
0.243
6.593739
6
f
3
0.262
8.516399
7
f
3
0.263
8.550832
8
f
3
0.263
8.576503
9
m
3
0.264
8.645329
10
f
3
0.267
8.789285
11
f
3
0.272
9.001987
12
m
3
0.273
9.037037
13
m
3
0.281
9.09988
14
f
3
0.283
9.061586
15
f
3
0.289
8.848044
16
m
3
0.293
8.666263
17
f
3
0.296
8.45587
18
f
3
0.315
6.512631
19
f
3
0.322
5.630845
20
f
3
0.339
3.559036
21
f
3
0.412
0.088196
평균값
0.279
표준편차
0.04376
400-700nm
번호
성별
학년
평균반사율
정규분포
1
m
4
0.221
4.026923
2
m
4
0.223
4.339675
3
m
4
0.227
4.882322
4
m
4
0.237
6.193095
5
m
4
0.241
6.754941
6
m
4
0.256
8.534226
7
m
4
0.256
8.600808
8
m
4
0.260
8.876716
9
m
4
0.276
9.579246
10
f
4
0.277
9.573994
11
f
4
0.282
9.483305
12
m
4
0.293
8.802241
13
m
4
0.306
7.344414
14
m
4
0.314
6.22872
15
f
4
0.321
5.375974
16
m
4
0.336
3.423269
17
m
4
0.363
1.077748
평균값
0.276
표준편차
0.041646
위의 정규성 검증에 따라 '이분산 가정 두집단' 에 대한 T-test를 실행하였다. (변수1=3학년 평균 반사율, 변수2=4학년 평균 반사율)
변수 1
변수 2
평균
0.278645
0.275761
분산
0.001915
0.001734
관측수
21
17
가설 평균차
0
자유도
35
t 통계량
0.207468
P(T<=t) 단측 검정
0.418423
t 기각치 단측 검정
1.689572
P(T<=t) 양측 검정
0.836847
t 기각치 양측 검정
2.030108
(유의수준=0.05(5%))
(가설평균차=0 )
이분산 가정 두집단에 대한 T-test 를 한 결과, P-value 값이 0.836847 로 유의수준 0.05 보다 크기 때문에 「실험 수강생 중 4학년 학생 피부의 반사율은 3학년 학생 피부의 반사율과 같다.」 라는 가정은 채택되었다.
추천자료
에테르 초산 물 3성분계 추출 실험
[화학공학기초실험] 4. 화학적 산소요구량
물의 표면장력과 에탄올의 표면장력실험
일반화학실험 평형상수 및 용해도 곱 상수 측정 실험 보고서(질산철, KSCN, 수산화칼슘)
화공실험 건조
일반물리학 실험 - 열전도도
1. Chemical Unit & Concentration Titration(적정실험)
일반화학실험 - 카페인의 추출과 분리
화학생물공정 실험 -Venturi Tube를 통과하는 물의 흐름을 관찰함으로 Bernoulli Equation을 ...
일반화학실험 -용해도 및 분별결정(예비, 결과)
[유기화학 실험] 01. 메탄올 수용액의 단순 증류(simple distillation) 예비 : 물과 메탄올의...
물의 증기압과 증발열 실험(예비 레포트)
COD 측정 실험 예비레포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