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개요
2. 좋은 광고와 나쁜 광고의 구분
2.1 좋은 광고란?
2.2 나쁜 광고란?
3. 좋은 광고와 나쁜 광고의 사례
3.1 좋은 광고의 사례
3.2 나쁜 광고의 사례
4. 결론
2. 좋은 광고와 나쁜 광고의 구분
2.1 좋은 광고란?
2.2 나쁜 광고란?
3. 좋은 광고와 나쁜 광고의 사례
3.1 좋은 광고의 사례
3.2 나쁜 광고의 사례
4. 결론
본문내용
익광고 주제에 대해 참여 의지나 관심이 많은 소비자는 그 광고를 후원한 기업에 대해 더 호의적인 평가를 하게 될 것이다.
지구촌 곳곳에서 노력하는 기업의 기술과 가치의 중요성을 효과적으로 전달하였다.
지구 온난화에 대응하여 나무를 심고 숲을 가꾸는 일의 가치를 대중에게 전하고 있다.
3.2 나쁜 광고의 사례
대출 광고
대출광고는 기반이 불안정한 제2금융권 이하의 검증되지 않은 금융사를 홍보하는 경우가 많다. 때문에 소비자가 광고만을 보고 무심코 돈을 빌리게 되면 높은 대출 금리를 감당하지 못하고 채무를 이행하지 못하는 신용불량자가 되기 쉽다.
러시앤캐시 광고의 경우, 코믹한 캐릭터를 모델로 하여 대출에 대한 경계심을 누그러뜨리고 소비자들에게 자연스럽게 다가가고 있다. 하지만 연 대출 금리가 50%에 육박하여 급한 상황에서 대출을 하는 소비자들을 더 악화된 상황에 빠뜨릴 수 있는 위험한 광고이다.
불법 퇴폐 음란 광고물
‘대화방’, ‘출장마사지’ 등의 이름으로 거리에 무분별하게 뿌려지고 있는 불법 퇴폐·음란 광고물들이 청소년들에게 왜곡된 성가치관을 심어주고 있다. 이 전단들은 주차된 승용차에 배포된 뒤 거리에 아무렇게나 버려져 대다수의 청소년들이 쉽게 접하게 된다.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92%가 음란광고물을 접촉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다.
인터넷 신문의 배너 광고
인터넷 신문은 접근성이 좋아 남녀노소 쉽게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이용하는 사람들의 눈에 불쾌감을 주는 것이 있다. 바로 각종 배너 광고이다. 원하는 정보를 보기위해 클릭을 하면 무분별한 광고 창들이 기사 양옆, 상단, 하단은 물론이고 기사 중간 중간에 팝업창으로까지 뜬다. 이는 기사를 읽는 대중들에게 불편함을 줄 뿐만 아니라 노골적인 그림과 문구는 보는 이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만든다.
4. 결론
현대 광고는 사회의 가치관을 변화시키고 문화에 지대한 영향을 주기도 한다. 또한 가치관과 생활양식이 다양해짐에 따라 삶의 질적인 향상을 꾀하고 개선하기위해 광고의 사회적 기능에 대한 비판과 지성의 소리가 커지고 있다. 결국 좋은 광고란 시대적 흐름을 잘 반영하고 매체의 특징을 잘 활용하되, 무엇보다 광고가 의도하는 바를 긍정적으로 잘 전달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그리하여 소비자의 공감을 이끌어냄으로써 광고의 본래 목적을 달성하고, 나아가 사회적 순기능의 역할을 다 할 수 있을 때 좋은 광고, 착한광고가 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끝.
지구촌 곳곳에서 노력하는 기업의 기술과 가치의 중요성을 효과적으로 전달하였다.
지구 온난화에 대응하여 나무를 심고 숲을 가꾸는 일의 가치를 대중에게 전하고 있다.
3.2 나쁜 광고의 사례
대출 광고
대출광고는 기반이 불안정한 제2금융권 이하의 검증되지 않은 금융사를 홍보하는 경우가 많다. 때문에 소비자가 광고만을 보고 무심코 돈을 빌리게 되면 높은 대출 금리를 감당하지 못하고 채무를 이행하지 못하는 신용불량자가 되기 쉽다.
러시앤캐시 광고의 경우, 코믹한 캐릭터를 모델로 하여 대출에 대한 경계심을 누그러뜨리고 소비자들에게 자연스럽게 다가가고 있다. 하지만 연 대출 금리가 50%에 육박하여 급한 상황에서 대출을 하는 소비자들을 더 악화된 상황에 빠뜨릴 수 있는 위험한 광고이다.
불법 퇴폐 음란 광고물
‘대화방’, ‘출장마사지’ 등의 이름으로 거리에 무분별하게 뿌려지고 있는 불법 퇴폐·음란 광고물들이 청소년들에게 왜곡된 성가치관을 심어주고 있다. 이 전단들은 주차된 승용차에 배포된 뒤 거리에 아무렇게나 버려져 대다수의 청소년들이 쉽게 접하게 된다.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92%가 음란광고물을 접촉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다.
인터넷 신문의 배너 광고
인터넷 신문은 접근성이 좋아 남녀노소 쉽게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이용하는 사람들의 눈에 불쾌감을 주는 것이 있다. 바로 각종 배너 광고이다. 원하는 정보를 보기위해 클릭을 하면 무분별한 광고 창들이 기사 양옆, 상단, 하단은 물론이고 기사 중간 중간에 팝업창으로까지 뜬다. 이는 기사를 읽는 대중들에게 불편함을 줄 뿐만 아니라 노골적인 그림과 문구는 보는 이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만든다.
4. 결론
현대 광고는 사회의 가치관을 변화시키고 문화에 지대한 영향을 주기도 한다. 또한 가치관과 생활양식이 다양해짐에 따라 삶의 질적인 향상을 꾀하고 개선하기위해 광고의 사회적 기능에 대한 비판과 지성의 소리가 커지고 있다. 결국 좋은 광고란 시대적 흐름을 잘 반영하고 매체의 특징을 잘 활용하되, 무엇보다 광고가 의도하는 바를 긍정적으로 잘 전달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그리하여 소비자의 공감을 이끌어냄으로써 광고의 본래 목적을 달성하고, 나아가 사회적 순기능의 역할을 다 할 수 있을 때 좋은 광고, 착한광고가 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