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학원론-마케팅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경영학원론-마케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
(4). 브랜드 중심의 성장 전략
P&G는 철저한 브랜드 위주 경영의 원칙을 강조한다. \"우리는 브랜드별로 독립된 팀이 예산은 물론 기획, 마케팅, 영업까지 독자적으로 꾸려갑니다. 브랜드간 벤치마킹이나 내부 경쟁을 통해 상당한 시너지 효과를 내고 있는 셈이지요 알 라즈와니 한국 P&G 사장의 말이다.
7. 시사점
한 기업이 다국적 기업을 표방하면서 해외시장진출을 염두에 두고 제품과 서비스를 선택할 때는 글로벌화와 현지화간의 깊은 갈 등이 존재하게 된다. 비용절감을 위해서는 글로벌화의 필요성이 훨씬 더 많이 대두되는 반면에 각국의 서로 다른 수요패턴과 정부규제 등은 현지화를 추구해야 할 필요성을 더욱 높게 증가시킨다. 이와 같은 글로벌화 제품을 설계하는 데 있어서는 크게 두 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다. 가장 좋은 방법은 제품의 설계단계에서부터 글로벌제품을 디자인하는 것이다. 이는 각국간의 수요의 공통점에 주력하여 가능한 한 표준화된 제품을 만들고 이를 핵심부품화하여 일부기능에서만 현지적응함으로써 글로벌화와 현지화를 동시에 추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마케팅믹스에는 제품의 포지셔닝, 가격, 광고, 유통과 같은 여러 가지 마케팅믹스의 구성요소가 글로벌화와 현지적응간에 서로 다른 욕구가 존재한다. 따라서 효과적인 해외마케팅활동을 위해서는 각각의 마케팅믹스에 현지화와 글로벌화의 균형을 이루는 것이 중요하다.
앞에서 다룬 P&G의 일본에서 경영 성과는 실패에 가까웠지만, 그들은 실패 직전에서 다시 경영에서 성공을 거두었다. 그들이 예전의 위기에서 벗어날 수 있었던 것은 한발 앞선 경영전략을 추진했기 때문이다. P&G는 각 국가에 진출하면서 그 국가에 맞는 경영전략을 펼쳤으며, 회사의 이름을 앞세우는 경영전략을 지양한 대신, 각 브랜드를 중심으로 공격적인 마케팅을 펼친결과 오늘날과 같은 결과를 얻을수가 있었다.
여기서 볼수 있는 주요 시사점은 다음과 같이 다섯가지로 요약할수 있다.
첫째, P&G는 동종의 여러 브랜드간에 소비자가 혼동하지 않게 도와주고, 한 브랜드가 성공하고 다른 브랜드가 실패하더라도 그룹전체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는 마케팅전략을 실행하였다.
다시 말하면, P&G와 같은 경우에는 P&G가 생산하는 여러 가지 종류의 제품을 각각 다른 브랜드매니저에게 맡겨 그 브랜드매니저가 그 제품의 생산, 판매 및 마케팅활동을 모두 책임지게 하는 브랜드 매니지먼트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
P&G에서 생산되는 팬틴의 경우 팬틴이라는 그 고유의 브랜드만을 강조함으로써 그 제품이 P&G의 제품이라는 것을 인식하지 못하게 하고, 이로 인해 팬틴이라는 자사 브랜드가 실패하더라도 P&G라는 회사의 이미지가 실추되는 일이 없도록 해주는 것이 그 실례라 할수 있다.
둘째, 현지국의 소비자를 이해해야 한다.
셋째, 현지국의 경쟁상황에 맞춰 신제품을 출시해야 한다.
넷째, 광고를 통해 회사의 이미지를 효율적으로 알려야 한다.
다섯째, 자국의 유통시스템을 효율적으로 파고들 수 있어야 한다.
이번 레포트를 통해서 국내기업에 진출한 거대한 세계기업에 대해서 많은걸 알게 되었으며, 글로벌 시대에 대비해야할 우리들의 자세에 대해 더 많은걸 느낄 수 있었다.
참고문서
http://www.pg.co.kr/about/intro.asp
http://blog.naver.com/junwon21?Redirect=Log&logNo=120007532191
1.월마트 기업소개
1963년 7월2일 아칸사주에서 1호점을 개점한지 40여년 만에 월마트는 시어즈, 케이마트를 제치고 세계 제일의 소매기업이 되었다. 월마트는 1000억 달러 이상의 매출을 기록하고 있으며 월마트의 동료(월마트는 종업원을 associates employee라는 표현을 쓰고 있음)의 수만도 80만(미국 외 10만 명 포함)여 명에 달하고 있다. 또한 공급업체만도 11만개에 달하고 있으며, 배송센터도 40여 개나 있다. 월마트의 사업전략은 “소비자는 보다 싼 가격의 제품을 원하고 있으며, 월마트는 이에 부응하여 항상 싼 가격으로 제품을 공급한다(everyday low price : EDLP)”는 것이다.(현재는 -아껴서 잘 살아라 Save Money, Live Better-이다) 동일하거나 비슷한 제품을 주위 상점보다 싼 가격에 살 수 있다면, 그 상점은 매우 유리한 입장에 설 수 있다. 물론 영업과 관련한 각종 서비스가 그 상점의 실적과 관련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소비자의 상점 선택에 있어서 핵심적인 의사결정요인은 가격임에 틀림없다. 보단 싼 가격에 제품을 공급한다는 것이 매우 경쟁우위적인 요소가 됨은 누구나 알고 있다. 경쟁사인 케이마트나 시어즈 등도 이러한 사실을 몰랐을 리가 없다. 그러나 월마트는 이들 경쟁기업들을 따돌리고 세계 제일의 소매기업이 되었다. 월마트의 성공요인은 저가격 전략보다는 저비용 전략으로 설명하는 것이 타당할 것 이다. 보통 할인소매업이나 회원 도매클럽 등에서의 판매가격은 거의 비슷한 수준을 보이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이다. 월마트의 성공은 싼 가격에 제품을 공급할 수 있는 원가구조가 남달리 뛰어났다는 점이다. 월마트의 손익구조를 살펴볼 때 월마트의 영업이익률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판매관리비가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이라는 사실을 쉽게 판단할 수 있다. 그러면 어떻게 월마트가 이러한 원가구조를 가질 수 있었을까? 이에 대한 해답은 월마트의 창업자 샘 월튼의 가격에 대한 남다른 생각과 독특한 경영철학, 그리고 저 원가 구조의 핵심인 탁월한 물류시스템에 있다.
2.월마트의 경영철학
①월마트의 창업자 샘 월튼
월마트의 기업경쟁력을 살펴보기 전에 월마트의 창업자인 샘 월튼에 대해서 알아볼 필요가 있다. 일반적인 기업이 다 그러하듯이 창업자의 경영이념이 그 기업경쟁력의 원천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는 월마트의 경우에도 예외가 아니기 때문이다. 어려서 어려운 생활을 한 샘 월튼은 미주리 대학을 졸업하고 JC페니상점에서 일하게 되는데 이 경험이 향후 샘 월튼이 소매업에 뛰어드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고 한다. JC페니에서의 근무는 길지 않았따. 1년 반 정도의 근무 후 태평양전쟁의 발발로 군에 입대하였기

키워드

경영,   마케킹,   부품,   전문화,   단순화
  • 가격5,000
  • 페이지수96페이지
  • 등록일2012.04.05
  • 저작시기2012.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383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