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폐소생술(CPR)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심폐소생술(CPR)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심폐소생술

◎ 심폐소생술 목적
◎ 심폐소생술의 연결고리
◎ 응급상황
◎ 기본 심폐소생술의 단계
◎ 이물질로 인한 기도폐쇄의 구조
◎ 상급 심폐소생술
◎ 자동 체외 제세동기의 적용

본문내용

과 왼쪽 젖꼭지의 측부에 부착하면 되는데 액와부에서 전극패드의 윗부분이 7
cm 정도 떨어지게 부착하면 된다 주의 해야 할 점은 전극패드 부착 부위에 물기
없어야 된다는 점이다
3. 리듬의 분석
자동체외제세동기는 자체적으로 심장리듬을 분석할 수 있다. 모든 구조자가 손
떼고 'ANALYZE' 버튼을 누르면 5~15초 정도 동안 리듬을 분석한다. 어떤 기계는
부착되면 자동으로 인식을 하기도 한다. 이후 'Shock advised (indicated)' 'No
shock advised (indicated)'의 신호가 음성이나 모니터에 나타나게 된다.
4. 제세동
기계가 심실세동올 인식하면 자동으로 충전이 되고 그것에 대한 신호가 나온다.
든 사람들올 환자의 몸에서 손을 떼게 하고 'SHOCK’ 버튼을 누르면 기계에서 정
진 에너지만큼 나가게 된다. 한번 제세동 후 심실세동이 지속되면 기계는 다시
전되고 두 번째 제세동을 하게 된다. 심실세동이 지속될 경우 세 번까지 제세동
저절로 하게 되어있기 때문에 중간에 구조자가 접촉해서는 안 된다. 세 번의 제
동 후 자발순환의 회복이 보이지 않으면 1분간 심폐소생술을 시행하고 다시
'ANALYZE' 버튼을 눌러 다시 반복하면 된다.
두 번째와 세 번째 제세동 중간에 환자와 접촉하게 되면 기계가 리듬을 인식하는
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접촉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기계가 'No
shock advised (indicated)'를 나타낼 때까지 반복하고 ‘No shock advised
(indicated)'가 나타나더라도 자발순환의 증거가 보이지 않으면 심폐소생술을 지
하여야 한다. 환자가 자발순환이 있고 호흡이 돌아온 경우에는 자동체외제세동기를
부착시킨 채로 회복 자세를 취해주고 3O-60초마다 호흡과 순환의 유무를 확인하
서 응급구조팀의 도착을 기다린다.
자동체외제세동기의 적용 및 주의할 점
8세 이상이며 체중이 25 kg 이상인 사람으로 의식이 없고 호흡이 없으면서 순환
증후가 보이지 않는 경우에 적용한다.
물기가 있는 경우 전극패드 사이에 수포막이 형성되어 효과적으로 심장에 에너
를 전달할 수 없기 때문에 환자 몸의 습기를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고, 인공심박
기나 삽입형 제세동기가 삽입되어 있는 환자의 경우에는 이들 기계와 적어도 2.5
cm 이상 떨어진 부위에 전극패드를 부착하여야 한다.
< 그림 1>
(1)
(2)
(3)
(4)
<그림 2>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4.06
  • 저작시기2007.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386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