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가족복지 전달체계의 개념과 의미
2. 가족복지 전달체계의 업무분류
1) 국가부문 가족복지 전달체계
(1) 중앙정부
(2) 지방정부
2) 민간부문 가족복지 전달체계
(1) 건강가정지원센터
(2) 사회복지관
2. 가족복지 전달체계의 업무분류
1) 국가부문 가족복지 전달체계
(1) 중앙정부
(2) 지방정부
2) 민간부문 가족복지 전달체계
(1) 건강가정지원센터
(2) 사회복지관
본문내용
위한 1차적인 역할을 수행
- 민주적이고 양성평등한 가족구조를 확립하기 위한 최선을 다하며, 다양한 형태의 가족에 대한 사회적 수용 증대를 위한 지역사회 공동체 형성에 힘을 쓰고 있음
수
주민참여의 중심이 되는 것 뿐 아니라 지방 문화 => 창조의 기초가 되며, 지역의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중심지로서의 역할을 수행
(2) 사회복지관
① 사회복지관 가족복지사업의 특성
첫째, 지역사회복지관에서는 가족을 단위로 하여 생태체계적 관점을 통한 사정과 개입이 가능
-> 가족 내의 역동성과 관계의 유형, 자원 등 가족 내부 환경에 대한 사정과 개입뿐 아니라 가족 외부환경과의 관계유형과 연계범위에 대한 사정을 통해 개입이 가능하다는 것
둘째, 지역사회복지관에서는 대상별, 문제유형별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가족의 복합적인 문제해결을 위한 one-stop서비스 제공이 가능
셋째, 지역을 기반으로 한 연계망을 통해 가용자원의 극대화와 가족의 지역사회의 적응을 보다 원활히 도모 할 수 있음
② 지역사회복지관 가족복지사업의 주요기능
첫째, 가족관계증진기능
- 가족 간의 의사소통을 원활히 하고 기대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이상적인 가족관계를 유지함과 동시에 가족의 능력을 개발강화하는 사업, 가족문제 예방적 프로그램을 포함함
(예: 부모교육, 부부교육, 의사소통 향상 교육, 부부상담, 가족상담 등)
둘째, 가족기능 보완기능
- 사회구조 변화로 부족한 가족기능, 특히 부모역할을 보완하기 위하여 주로 아동과 청소년을 대상으로실시되는 서비스
(예: 방과 후 아동보호 및 보육, 공부방 운영, 심성발달 프로그램, 진로탐색 및
지도 등)
셋째, 가정문제 해결치료기능
- 가족단위 또는 문제가 발생한 가족원에 대한 진단, 치료, 사회복귀 지원 서비스
(예: 특수아동 조기교육, 장애인 사회적응 프로그램, 알코올 및 약물치료, 정신장애인서비스, 청소년범죄 예방사업, 학교부적응 학생지도, 이혼, 위기가정, 재혼가정 개입, 아동학대, 성폭력, 가정폭력 서비스 등)
넷째, 부양가족 지원기능
- 요보호 가족원을 돌보는 가족원의 부양부담을 줄여 주고 관련정보를 공유하는 등 부양가족대상 지원 서비스
예 치매노인가족 지원 장애인 가정 지원 만성질환 ( : , , 부양가족 모임, 장애아동 부모상담, 기타 부양가족 지원 사업 등)
참고
유 영주(1989). 한국가족의 기능연구
1980, 유 영주 외, 2004, 최 규련 2007
여성가족부
보건복지부
- 민주적이고 양성평등한 가족구조를 확립하기 위한 최선을 다하며, 다양한 형태의 가족에 대한 사회적 수용 증대를 위한 지역사회 공동체 형성에 힘을 쓰고 있음
수
주민참여의 중심이 되는 것 뿐 아니라 지방 문화 => 창조의 기초가 되며, 지역의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중심지로서의 역할을 수행
(2) 사회복지관
① 사회복지관 가족복지사업의 특성
첫째, 지역사회복지관에서는 가족을 단위로 하여 생태체계적 관점을 통한 사정과 개입이 가능
-> 가족 내의 역동성과 관계의 유형, 자원 등 가족 내부 환경에 대한 사정과 개입뿐 아니라 가족 외부환경과의 관계유형과 연계범위에 대한 사정을 통해 개입이 가능하다는 것
둘째, 지역사회복지관에서는 대상별, 문제유형별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가족의 복합적인 문제해결을 위한 one-stop서비스 제공이 가능
셋째, 지역을 기반으로 한 연계망을 통해 가용자원의 극대화와 가족의 지역사회의 적응을 보다 원활히 도모 할 수 있음
② 지역사회복지관 가족복지사업의 주요기능
첫째, 가족관계증진기능
- 가족 간의 의사소통을 원활히 하고 기대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이상적인 가족관계를 유지함과 동시에 가족의 능력을 개발강화하는 사업, 가족문제 예방적 프로그램을 포함함
(예: 부모교육, 부부교육, 의사소통 향상 교육, 부부상담, 가족상담 등)
둘째, 가족기능 보완기능
- 사회구조 변화로 부족한 가족기능, 특히 부모역할을 보완하기 위하여 주로 아동과 청소년을 대상으로실시되는 서비스
(예: 방과 후 아동보호 및 보육, 공부방 운영, 심성발달 프로그램, 진로탐색 및
지도 등)
셋째, 가정문제 해결치료기능
- 가족단위 또는 문제가 발생한 가족원에 대한 진단, 치료, 사회복귀 지원 서비스
(예: 특수아동 조기교육, 장애인 사회적응 프로그램, 알코올 및 약물치료, 정신장애인서비스, 청소년범죄 예방사업, 학교부적응 학생지도, 이혼, 위기가정, 재혼가정 개입, 아동학대, 성폭력, 가정폭력 서비스 등)
넷째, 부양가족 지원기능
- 요보호 가족원을 돌보는 가족원의 부양부담을 줄여 주고 관련정보를 공유하는 등 부양가족대상 지원 서비스
예 치매노인가족 지원 장애인 가정 지원 만성질환 ( : , , 부양가족 모임, 장애아동 부모상담, 기타 부양가족 지원 사업 등)
참고
유 영주(1989). 한국가족의 기능연구
1980, 유 영주 외, 2004, 최 규련 2007
여성가족부
보건복지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