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복지의 전달체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가족복지 전달체계의 개념과 의미

2. 가족복지 전달체계의 업무분류
1) 국가부문 가족복지 전달체계
(1) 중앙정부
(2) 지방정부
2) 민간부문 가족복지 전달체계
(1) 건강가정지원센터
(2) 사회복지관

본문내용

위한 1차적인 역할을 수행
- 민주적이고 양성평등한 가족구조를 확립하기 위한 최선을 다하며, 다양한 형태의 가족에 대한 사회적 수용 증대를 위한 지역사회 공동체 형성에 힘을 쓰고 있음

주민참여의 중심이 되는 것 뿐 아니라 지방 문화 => 창조의 기초가 되며, 지역의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중심지로서의 역할을 수행
(2) 사회복지관
① 사회복지관 가족복지사업의 특성
첫째, 지역사회복지관에서는 가족을 단위로 하여 생태체계적 관점을 통한 사정과 개입이 가능
-> 가족 내의 역동성과 관계의 유형, 자원 등 가족 내부 환경에 대한 사정과 개입뿐 아니라 가족 외부환경과의 관계유형과 연계범위에 대한 사정을 통해 개입이 가능하다는 것
둘째, 지역사회복지관에서는 대상별, 문제유형별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가족의 복합적인 문제해결을 위한 one-stop서비스 제공이 가능
셋째, 지역을 기반으로 한 연계망을 통해 가용자원의 극대화와 가족의 지역사회의 적응을 보다 원활히 도모 할 수 있음
② 지역사회복지관 가족복지사업의 주요기능
첫째, 가족관계증진기능
- 가족 간의 의사소통을 원활히 하고 기대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이상적인 가족관계를 유지함과 동시에 가족의 능력을 개발강화하는 사업, 가족문제 예방적 프로그램을 포함함
(예: 부모교육, 부부교육, 의사소통 향상 교육, 부부상담, 가족상담 등)
둘째, 가족기능 보완기능
- 사회구조 변화로 부족한 가족기능, 특히 부모역할을 보완하기 위하여 주로 아동과 청소년을 대상으로실시되는 서비스
(예: 방과 후 아동보호 및 보육, 공부방 운영, 심성발달 프로그램, 진로탐색 및
지도 등)
셋째, 가정문제 해결치료기능
- 가족단위 또는 문제가 발생한 가족원에 대한 진단, 치료, 사회복귀 지원 서비스
(예: 특수아동 조기교육, 장애인 사회적응 프로그램, 알코올 및 약물치료, 정신장애인서비스, 청소년범죄 예방사업, 학교부적응 학생지도, 이혼, 위기가정, 재혼가정 개입, 아동학대, 성폭력, 가정폭력 서비스 등)
넷째, 부양가족 지원기능
- 요보호 가족원을 돌보는 가족원의 부양부담을 줄여 주고 관련정보를 공유하는 등 부양가족대상 지원 서비스
예 치매노인가족 지원 장애인 가정 지원 만성질환 ( : , , 부양가족 모임, 장애아동 부모상담, 기타 부양가족 지원 사업 등)
참고
유 영주(1989). 한국가족의 기능연구
1980, 유 영주 외, 2004, 최 규련 2007
여성가족부
보건복지부
  • 가격2,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4.10
  • 저작시기2012.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391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