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험-탄산염의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Title

1. Purpose

2. Theory

3. Apparatus & Chemicals

4. Procedure

5. Reference

6. Data & Results

7. Discussion

본문내용

= 22.99, 탄소 = 12.01, 산소 = 16)이므로 미지시료 A의 분자량의 평균은 109.87이므로 미지시료 A는 탄산나트륨()이다.
7. Discussion
이 실험은 탄산염이 염산과 반응하면서 생긴 이산화탄소로 미지시료가 어떤 시료인지 알아보는 실험이었는데 이 실험을 통해 이상기체 상태방정식에 대해 자세히 알고 분자량이란 시료의 특성도 알 수 있다.
① 첫 번째 실험의 자료를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첫 번째 실험에서는 유리관에 차있는 물에 이산화탄소가 녹아 이산화탄소의 양이 정확히 측정되지 않는데 두 번째 실험부터는 물이 포화상태가 되어 더 이상 이산화탄소가 녹지 않으므로 정확한 측정값이 나오므로 첫 번째 실험의 자료는 사용하지 않고 두 번째 실험부터 사용하게 된다.
② 수위 조절기의 높이와 유리관의 물높이를 같게 하는 이유는
만약 수위 조절기의 높이가 유리관의 물높이보다 높다면 측정된 증기압이 외부보다 높아지고 유리관의 물높이가 수위조절기보다 높다면 측정된 증기압은 외부보다 낮아져서 실험의 오차를 내게 되므로 수위 조절기의 높이와 유리관의 물높이를 같게 해야 한다.
③ 오차의 원인
⒜ 계산에 사용된 온도는 실험실의 온도로 충분한 시간이 지나지 않았으므로 이산화탄소와 열평형이 이루어지지 않아 이산화탄소의 온도는 다를 수 있는데 이 때문에 오차가 발생했을 수 있다.
⒝ 압력도 측정값과 다를 수 있는데 수위 조절기의 높이와 유리관의 물높이가 다르면 압력이 외부와 달라져서 증기압이 보정된 압력이 달라지게 되는데 이 때문에 물높이의 차이가 오차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압력은 매시간 일정하지 않고 조금씩 변하게 되는데 이를 고려하여 압력을 측정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오차가 생길 수 있다.
⒞ 온도에 따라 부피는 차이를 보이게 되는데 충분한 시간 후에 부피를 측정하여 외부와의 열평형 후에 부피를 측정한 것이 아니므로 부피가 더 크게 측정되었을 수 있고, 실험기구 사용법의 미숙함으로 인해 부피가 정확히 측정되지 않았을 수도 있다.
또한, 탄산염과 염산의 반응이 정확히 모두 반응될 정도의 충분한 시간이 흐르지 않았을 수 있는데 이 때문에 부피의 측정이 정확하지 않을 수 있다.
⒟ 이상기체 상태방정식은 사실 이상기체 즉, 절대온도 0K일 때, 부피가 0이 되는 기체를 말하는데 이는 가상의 기체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이상기체 상태방정식이 적용되지 않고 근사값만을 나타내게 되는데 이 때문에 오차가 생길 수 있다.
  • 가격1,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4.16
  • 저작시기2012.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402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