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전자 실험 -RLC회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실험 과정

□ 실험 결과

□ 실험 과정

□ 실험 결과

□ 실험 과정

□ 공진 주파수

□ 실험 결과

□ 고찰

본문내용

공진이라 부릅니다. 이것이 바로 LC공진의 정체입니다.
[ 출처 : http://rfdh.com/bas_rf/begin/reso.htm ]
□ 실험 결과
Level
-f <--- 0 ---> +f
BW(3dB)
-6dB
-3dB
0dB
3dB
6dB
주파수 ( 실험값 )
8.98 k㎐
9.73 k㎐
10.78 k㎐
12.18 k㎐
13.13 k㎐
4.15 k㎐
공진 주파수 이론값 : 10.73 k㎐
공진주파수를 구하는데 이 공식을 사용하였으며,
실험의 초기 값으로 L = 0.1mH , C = 0.022 uF 값을 사용하였습니다.
[ 실험 3. RLC 직렬 회로에 대한 고찰 ]
이론으로 계산해 본 공진주파수는 10.73 k㎐ 로, 실험으로 측정한 공진주파수 10.78 k㎐ 와 오차( + 0.05 k㎐ )가 크지 않아 실험이 잘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오차가 생긴 이유에 대해서 생각하고 아래와 같이 정리 하였습니다.
□ 이론값과 실험값이 차이가 나는 이유
우리가 실험 하는 장비에 모든 저항 성분 때문에 장비의 오차가 있습니다. 장비 오차와 측정오차를 무시한다고 해도 R에도 C와 L성분이 있고, L에도 C와 R의 성분이 있고, C에도 R과 L성분이 있기 때문에 아마도 이런 오차가 생겼다고 생각합니다.
□ 고찰
기초전자전기 실험 1 수업을 할 때는 디지털로 진폭의 크기를 화면에 나타내주는 오실로스코프여서 보다 정확하게 실험 결과를 정량적으로 알 수가 있었습니다. 우리가 실험한 실험 장치는 주파수 발생기에서 나오는 출력을 아날로그 식으로 나타내는 오실로스코프라서 크기를 정확히 측정하는데 한계가 있었습니다. 디지털 방식이었으면 보다 정확한 실험값을 얻을 수 있었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하지만 여기서 우리가 정확한 실험을 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경향성을 파악하는 실험이라서 오차와 상관없이 이론에 맞게 실험 한 것인지를 알아보았습니다. 실험 1, 2 는 전체적으로 이론과 실험의 오차가 컸으나 경향성을 파악하는데 지장은 없어서 실험 의도와 맞게 실험 결과에 만족하고, 실험 3은 경향성과 더불어 오차 또한 적어서 실험이 잘되었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김성열 조교분이 전자가 기계에 필요한 이유 ( 메카트로닉스 )를 생각해 보라고 하셨는데, 제 생각은 과학이 점점 발달됨에 따라서 기계가 정밀화되고 고도화 되고 이에 맞는 제어가 필요합니다. 기계를 제어하는데 전자는 물과 물고기의 관계처럼 꼭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기계에서 모자란 기술은 전자측면으로 보완하거나 접목된다면 실생활에 필요한 기계나, 기계 가공에 필요한 기계 등이 더욱 더 발전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렇게 기계과 전자의 접목만 아니라 바이오와 기계의 조합 등 한가지의 학문의 범주의 국한된 시각에서 벗어나 여러 가지 학문을 통합 접목하여 실생활에 도움이 되는 것을 연구하는 자세가 우리 공학도가 가져야할 자세라고 생각합니다. 이상으로 레포트를 마치겠습니다. 실험을 하면서 RLC회로의 전반적인 이론과 더불어 실험에 많은 도움을 주신 김성열 조교분께 감사의 말을 전합니다. 수고하셨습니다.
  • 가격1,8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2.04.16
  • 저작시기2012.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402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