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카 와일드 - 이상적인 남편 : 반(反)보수를 소재로 하는 유미주의적 작품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오스카 와일드 - 이상적인 남편 : 반(反)보수를 소재로 하는 유미주의적 작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작가의 사상과 작품의 구조에 따른 문제 제기

본론: 반(反)보수와 유미주의의 관계

결론 : 유미주의의 당위성에 대하여

본문내용

즐기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양측 모두가 이 작품을 즐기게 될 때 Oscar Wilde는 비로서 미(美)를 추구하게 된 것이며, 세상의 중심에 서게 되는 것이다.
그의 작품에 나타나는 유미적 요소가 다분한 재치 있는 대사들은 무의미한 농담임에도 불구하고 그 무의미함을 통해 당대 사회 속의 무위(無爲)와 허상(虛像)을 비꼰다.
유미주의, 즉 ‘예술을 위한 예술’이 타인에게도 강요될 수 있는 당위성이 있는지는 의문이다. Oscar Wilde 스스로도 예술의 정의나 그것을 추구하는 방법론에 대해 이런 저런 논평을 쓰기도 하였으나, 그다지 타인에게 객관성을 인정받지는 못했다. 풍자잡지『펀치』(Punch)지는 유미주의 추종 세력을 인위적으로 결성된 ‘자기들끼리 서로 경탄하는 사람들의 모임’이라고 비꼬기도 하였다. 그러나 타인에게까지 요구하는 당위성을 주장하는 것에는 어폐가 있다고 하더라도, 반대로 유미주의를 비판하는 자들이 옹호하는 도덕의 부조리와 허위성을 고발함과 동시에 자신의 미의식을 실현하기 위해 그 외의 실체들을 단순히 소재거리로만 바라보는 그의 사상은 지극히 개인주의적이면서 나아가 실존주의적 경향(사르트르나 하이데거, 카뮈 등의 사상가들과의 차이라면 그들은 자신의 본능 즉, 미에 대한 추구마저도 무의미한 것으로 상정하였다는 점이 있겠다)까지 드러난다. 그런 관점에 입각하여 작품『이상적인 남편』(An Ideal Husband)을 보자면, 그가 작품에 담았던 실질적 주제가 무엇인지는 사실 그다지 중요한 것이 아니며 작품의 구성을 통해 우리는 그가 탐미주의, 개인주의, 실존주의를 창작을 통해 몸소 실천한 실천적 사상가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게다가 실존주의가 후에 많은 예술분야에 얼마나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는 지만 보더라도 그가 충분히 문학계(예술계)에서 주목받을 가치가 있는 작가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 참고문헌 -
Peter Funke 저. 한미희 역.『Oscar Wilde』(Oscar Wilde) 서울: 한길사, 1999.
Oscar Wilde 저. 윤미덕 역.『이상적인 남편』(An Ideal Husband) 서울: 동인, 2001.
Rita Felski 저. 김영찬 역.『근대성과 페미니즘』(The Gender of Modernity) 서울: 거름, 1998.
Joseph Heath, Andrew Potter 저. 윤미경 역.『혁명을 팝니다』(The Rebel Sell) 서울: 마티, 2006.

키워드

  • 가격1,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4.16
  • 저작시기200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4043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