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Ⅱ. 간호사례연구 양식
1. 서론
2. 문헌고찰
3. 사례연구 기간 및 방법
4. 간호과정
2. 간호과정 적용
참고문헌
1. 서론
2. 문헌고찰
3. 사례연구 기간 및 방법
4. 간호과정
2. 간호과정 적용
참고문헌
본문내용
N/S
정주용&
기타 멸균용제
IV,20-1000ml
①수분 및 전해질 결핍시 보충(나트륨 결핍,염소결핍), 주사제의 용해 희석
②고나트륨증수분과다상태 환자,부종과 복수를 동반한 간경화 환자
③지속되는 비경구 치료동안 또는 환자 평가의 근거로 임상적 평가와 주기적인 실험적인 평가는 체액평형,전해질농도,산염기 평형의 변화를 모니터링하는데 필요하다.
Hartmann
혈액 및 체액 대용제
IV,보통 성인 1회 500~1,000mL를 점적 정맥주사합니다. 투여속도는 시간당 300~500mL(분당 80~130 방울)로 하십시오.
투여량, 투여속도는 연령,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하십시오.
①혈장과 유사한 전해질 조성을 가진 수액으로서 탈수 및 수술시의 수분 및 전해질 보급용으로 사용하는 수액제제
②젖산혈증 환자
③1) 칼슘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구연산을 가한 혈액과 혼합하면 응혈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주의하십시오.
2) 인산 이온 및 탄산이온과 침전을 생성하므로 인산 또는 탄산을 함유하는 제제와 배합하지 마십시오.
Pacetin
2세대 세팔로스포린계
(주로 그람양성,음성균에 작용하는 것)
IV,세폭시틴나트륨으로서 1회 1~2g(역가)을 6~8시간마다 다음과 같이 근육, 정맥 또는 점적정맥주사.
①폐렴과 폐농양 등 하기도 감염증, 신우신염, 방광염, 임질, 복막염, 복부내 농양등 북부내 감염증, 자궁
내막염, 골반봉소염등 부인과감염증, 패혈증, 골 및 관절감염증, 피부 및 연조직 감염증
②이 약에 의하여 쇽의 병력이 있는 환자
③1) 정맥내 대량 투여에 의해 드물게 혈관통, 혈전성 정맥염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주사액의 조제,주사부위, 주사방법 등에 대하여 충분히 주의하고 , 주사속도는 가능한한 천천히 하십시오.(정맥주사)
2) 용해후 가능한한 빨리 사용하십시오. 부득이 보존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실온보존시 24간이내, 냉장보존시 5일 이내에 사용하십시오
Tridol
해열진통소염제
PO,성인 1회 50mg,30-60분 후에도 진통이 약할 경우 50mg추가.1일 최대 400mg
①중증 및 중증도의 급만성 동통(각종 암 등),진단 및 수술후 동통
②급성알코올중독,중추신경계작용약물중독,두부손상환자
※ 환자시행 OP 4/13→ Laparoscopic simple appendectomy
복강경하 충수돌기절제술을 시행하는 이미지(좌)와 복강경으로 보이는 충수돌기(우)
2. 간호과정 적용
1) 대상자의 간호진단 목록 작성
간호진단 목록
문제번호
진단명(원인요소 진술 - 관련된 - 간호진단)
발생일
종료일
1
질병과 관련된 통증
4/13
-
2
질병과 관련된 구토
4/13
4/13
3
수술과 관련된 불안
4/13
-
2) 간호과정 기록지
# 1. Nsg Dx : 질병과 관련된 통증 (4월13일)
Subjective Data
“배가 너무 아파요”
Pt가 배를 잡고 웅크리고 있음
똑바로 설 수 없다심.
Objective Data
1.환자 통증 척도 측정 시 4정도라고 말함.
2.촉진시 압통있음.
3.혈액검사 결과 백혈구 수치 증가 (14100↑)
간호 계획
short term goal
Pt가 통증이 경감되었다고 말함.
plan
1.환자의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2.통증의 양상 및 정도를 사정한다.
3.음식섭취 시간을 기록하고 금식시킨다.
4.환자에게 통증을 시킬 수 있는 자세를 취하도록 한다.
Implication
1.환자의 활력징후를 측정하고 기록,관찰함.
→0755 : 100/70, 68, 22, 36.5℃
0910 : 110/80, 84, 22, 36.5℃
1000 : 100/70, 72, 20, 39.5℃ 로 측정됨.
2.통증의 양상은 당기는 듯한 통증이 아랫배 쪽으로 지속적으로 나타난다고 함.
3.음식은 4/12 PM8 경 섭취하였고 물은 4/13 AM3 경 섭취하였다고 하고 금식하도록 교육함.
4.환자의 통증경감을 위해 반좌위 취해줌.
evaluation
환자가 내원 당시보다 통증이 경감되었다 말함.
조금 안정된 모습을 보임.
# 2. Nsg Dx : 질병과 관련된 구토 (4월13일)
Subjective Data
“속이 매스꺼워요”
환자가 nausea로 몹시 불편해 하심.
Objective Data
환자 ER로 내원 40분 후 Vomiting한차례 함.
간호 계획
short term goal
섭취량과 배설량의 균형이 유지된다.
환자가 nausea를 호소하지 않는다.
plan
1.섭취량과 배설량을 사정한다.
2.토물의 횟수와 양상, 양을 관찰한다.
3.전해질의 불균형을 막기 위해 처방된 약물을 투여한다.
4.탈수 증상을 사정한다.
Implication
1.환자 내원 전 4/13 PM8 경 소량의 식사를 하셨고 소량의 구토를 하였음.
2.1번의 구토를 실시하였고 내용물은 발견되지 않음.
3.전해질 불균형을 막기위해 처방된 Hartmann 1L를 투여하였음.
4.탈수증상은 보이지 않음.
evaluation
환자가 구토 후 안정된 모습보임.
처방된 약물로 전해질 균형 유지함.
# 3. Nsg Dx : 수술과 관련된 불안 (4월13일)
Subjective Data
“수술은 꼭 해야하나요?”
Objective Data
환자가 불안해 하며 걱정스러운 표정을 지음
간호 계획
short term goal
환자의 불안이 경감 되었다.
불안의 느낌을 말로 표현한다.
plan
1.불안의 정도를 사정한다.
2.수술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3.편안한 환경을 조성한다.
4.불안한 감정을 표현하도록 하며 경청한다.
Implication
1.환자가 많이 불안한 모습을 보임.
2.Dr가 수술과정에 대해 설명하고 위험하지 않음을 경각시킴.
3.환자의 편안한 환경조성을 위해 커텐을 쳐줌.
4.환자가 불안을 표현하도록 하자 “수술이 잘 못 되진 않을까요?”하고 말함.
evaluation
환자가 보호자와 편안한 대화를 나누고 계심.
참고문헌
1.전시자 외, 성인간호학 上,下(ll), 현문사
2.성인간호(상) / 현문사 / 김조자외 / 2002
3. 간호진단과 계획- 서울대학교병원
4. 사진- 다음,네이버 이미지
5. 약물- http://www.kimsonline.co.kr, http://www.cwp.co.kr/
정주용&
기타 멸균용제
IV,20-1000ml
①수분 및 전해질 결핍시 보충(나트륨 결핍,염소결핍), 주사제의 용해 희석
②고나트륨증수분과다상태 환자,부종과 복수를 동반한 간경화 환자
③지속되는 비경구 치료동안 또는 환자 평가의 근거로 임상적 평가와 주기적인 실험적인 평가는 체액평형,전해질농도,산염기 평형의 변화를 모니터링하는데 필요하다.
Hartmann
혈액 및 체액 대용제
IV,보통 성인 1회 500~1,000mL를 점적 정맥주사합니다. 투여속도는 시간당 300~500mL(분당 80~130 방울)로 하십시오.
투여량, 투여속도는 연령,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하십시오.
①혈장과 유사한 전해질 조성을 가진 수액으로서 탈수 및 수술시의 수분 및 전해질 보급용으로 사용하는 수액제제
②젖산혈증 환자
③1) 칼슘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구연산을 가한 혈액과 혼합하면 응혈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주의하십시오.
2) 인산 이온 및 탄산이온과 침전을 생성하므로 인산 또는 탄산을 함유하는 제제와 배합하지 마십시오.
Pacetin
2세대 세팔로스포린계
(주로 그람양성,음성균에 작용하는 것)
IV,세폭시틴나트륨으로서 1회 1~2g(역가)을 6~8시간마다 다음과 같이 근육, 정맥 또는 점적정맥주사.
①폐렴과 폐농양 등 하기도 감염증, 신우신염, 방광염, 임질, 복막염, 복부내 농양등 북부내 감염증, 자궁
내막염, 골반봉소염등 부인과감염증, 패혈증, 골 및 관절감염증, 피부 및 연조직 감염증
②이 약에 의하여 쇽의 병력이 있는 환자
③1) 정맥내 대량 투여에 의해 드물게 혈관통, 혈전성 정맥염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주사액의 조제,주사부위, 주사방법 등에 대하여 충분히 주의하고 , 주사속도는 가능한한 천천히 하십시오.(정맥주사)
2) 용해후 가능한한 빨리 사용하십시오. 부득이 보존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실온보존시 24간이내, 냉장보존시 5일 이내에 사용하십시오
Tridol
해열진통소염제
PO,성인 1회 50mg,30-60분 후에도 진통이 약할 경우 50mg추가.1일 최대 400mg
①중증 및 중증도의 급만성 동통(각종 암 등),진단 및 수술후 동통
②급성알코올중독,중추신경계작용약물중독,두부손상환자
※ 환자시행 OP 4/13→ Laparoscopic simple appendectomy
복강경하 충수돌기절제술을 시행하는 이미지(좌)와 복강경으로 보이는 충수돌기(우)
2. 간호과정 적용
1) 대상자의 간호진단 목록 작성
간호진단 목록
문제번호
진단명(원인요소 진술 - 관련된 - 간호진단)
발생일
종료일
1
질병과 관련된 통증
4/13
-
2
질병과 관련된 구토
4/13
4/13
3
수술과 관련된 불안
4/13
-
2) 간호과정 기록지
# 1. Nsg Dx : 질병과 관련된 통증 (4월13일)
Subjective Data
“배가 너무 아파요”
Pt가 배를 잡고 웅크리고 있음
똑바로 설 수 없다심.
Objective Data
1.환자 통증 척도 측정 시 4정도라고 말함.
2.촉진시 압통있음.
3.혈액검사 결과 백혈구 수치 증가 (14100↑)
간호 계획
short term goal
Pt가 통증이 경감되었다고 말함.
plan
1.환자의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2.통증의 양상 및 정도를 사정한다.
3.음식섭취 시간을 기록하고 금식시킨다.
4.환자에게 통증을 시킬 수 있는 자세를 취하도록 한다.
Implication
1.환자의 활력징후를 측정하고 기록,관찰함.
→0755 : 100/70, 68, 22, 36.5℃
0910 : 110/80, 84, 22, 36.5℃
1000 : 100/70, 72, 20, 39.5℃ 로 측정됨.
2.통증의 양상은 당기는 듯한 통증이 아랫배 쪽으로 지속적으로 나타난다고 함.
3.음식은 4/12 PM8 경 섭취하였고 물은 4/13 AM3 경 섭취하였다고 하고 금식하도록 교육함.
4.환자의 통증경감을 위해 반좌위 취해줌.
evaluation
환자가 내원 당시보다 통증이 경감되었다 말함.
조금 안정된 모습을 보임.
# 2. Nsg Dx : 질병과 관련된 구토 (4월13일)
Subjective Data
“속이 매스꺼워요”
환자가 nausea로 몹시 불편해 하심.
Objective Data
환자 ER로 내원 40분 후 Vomiting한차례 함.
간호 계획
short term goal
섭취량과 배설량의 균형이 유지된다.
환자가 nausea를 호소하지 않는다.
plan
1.섭취량과 배설량을 사정한다.
2.토물의 횟수와 양상, 양을 관찰한다.
3.전해질의 불균형을 막기 위해 처방된 약물을 투여한다.
4.탈수 증상을 사정한다.
Implication
1.환자 내원 전 4/13 PM8 경 소량의 식사를 하셨고 소량의 구토를 하였음.
2.1번의 구토를 실시하였고 내용물은 발견되지 않음.
3.전해질 불균형을 막기위해 처방된 Hartmann 1L를 투여하였음.
4.탈수증상은 보이지 않음.
evaluation
환자가 구토 후 안정된 모습보임.
처방된 약물로 전해질 균형 유지함.
# 3. Nsg Dx : 수술과 관련된 불안 (4월13일)
Subjective Data
“수술은 꼭 해야하나요?”
Objective Data
환자가 불안해 하며 걱정스러운 표정을 지음
간호 계획
short term goal
환자의 불안이 경감 되었다.
불안의 느낌을 말로 표현한다.
plan
1.불안의 정도를 사정한다.
2.수술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3.편안한 환경을 조성한다.
4.불안한 감정을 표현하도록 하며 경청한다.
Implication
1.환자가 많이 불안한 모습을 보임.
2.Dr가 수술과정에 대해 설명하고 위험하지 않음을 경각시킴.
3.환자의 편안한 환경조성을 위해 커텐을 쳐줌.
4.환자가 불안을 표현하도록 하자 “수술이 잘 못 되진 않을까요?”하고 말함.
evaluation
환자가 보호자와 편안한 대화를 나누고 계심.
참고문헌
1.전시자 외, 성인간호학 上,下(ll), 현문사
2.성인간호(상) / 현문사 / 김조자외 / 2002
3. 간호진단과 계획- 서울대학교병원
4. 사진- 다음,네이버 이미지
5. 약물- http://www.kimsonline.co.kr, http://www.cwp.co.kr/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