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노인요양시설의 개념
2. 노인요양시설의 특성
3. 노인요양시설의 유형과 특성
4. 노인요양시설의 종류
5. 노인요양시설의 현황
2. 노인요양시설의 특성
3. 노인요양시설의 유형과 특성
4. 노인요양시설의 종류
5. 노인요양시설의 현황
본문내용
006). 이러한 현상은 생산연령 인구층의 노인인구층에 대한 부양 부담이 증가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어 노인 에 대한 경제적 부담이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최영문, 2009).
2) 노인요양시설의 현황
노인복지 시설의 현황을 살펴보면 2006년 59,117개소 119,498명의 입소정원이었으나, 2007년에는 60,788개소 150,548명으로 시설수와 입소정원이 상당히 늘어났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2008년에는 시설 수는 63,919개소로 증가하였으나, 입소정원은 112,064명으로 정원이 줄어들었다. 자세한 내용을 보면 아래 <표 3>과 같다.
<표 3> 연도별 노인 복지시설 현황
(단위 : 개소, 명)
종 류
시 설
2008
2007
2006
시설수
입소정원
시설수
입소정원
시설수
입소정원
합계
63,919
112,064
60,788
150,548
59,117
119,498
노인
주거
복지
시설
소계
347
17,342
398
16,579
366
16,074
양로시설
306
11,520
384
13,014
351
12,509
노인공동생활가정
21
177
노인복지주택
20
5,645
14
3,565
15
3,565
노인
의료
복지
시설
소계
1,832
81,262
1,186
61,406
898
52,628
노인요양시설
1,332
66,715
1,114
51,310
815
40,589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422
3,500
노인전문병원
78
11,047
72
10,096
83
12,039
노인
여가
복지
시설
소계
59,422
57,777
56,789
노인복지관
228
211
183
경로당
57,930
56,480
55,504
노인교실
1,260
1,082
1,099
노인휴양소
4
4
3
재가
노인
복지
시설
소계
2,298
13,460
1,408
72,563
1,045
50,796
방문요양서비스
1,111
767
62,736
523
42,832
주야간보호서비스
621
10,627
504
8,109
409
6,557
단기보호서비스
217
2,833
137
1,718
113
1,407
방문목욕서비스
349
노인
보호
전문
기관
노인보호전문기관
20
19
19
출처 : 보건복지가족부. 2009. 『2009년 노인복지시설현황』. p. 5.
또한 노인복지시설 중 노인의료복지시설을 중심으로 현황을 살펴보면, 전체 노인인구 5,069,273명(2008.12.31 보건복지가족부 기준)의 인구 중에 경기도 노인인구는 919,632명으로 통계에 나타났으며, 이는 우리나라 노인 인구의 약 18%를 차지한다. 경기도 내 노인요양시설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335개의 시설에 15,391명의 정원 중 2008년 말 현재 13,318명의 노인들이 입소하여 약 87%의 입소율을 나타내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표 4>와 같다.
<표 4> 노인의료복지시설 총괄표
(단위 : 개소, 명)
시도
65세 이상
노인인구
(2008.
12.31
주민등록
인구기준)
계
노 인 요 양 시 설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노 인 전 문 병 원
시
설
수
입소인원
종
사
자
수
시
설
수
입소인원
종
사
자
수
시
설
수
입소인원
종
사
자
수
시
설
수
입소인원
종
사
자
수
정원
현원
정원
현원
정원
현원
정원
현원
합계
5,069,273
1,832
81,262
69,038
34,749
1,332
66,715
56,736
27,865
422
3,500
2,595
1,906
78
11,047
9,707
4,978
서울
890,052
136
6,111
5,811
3,230
84
5,077
4,857
2,679
49
402
358
250
3
632
596
301
부산
363,639
74
4,011
3,488
1,697
60
3,516
3,041
1,497
12
97
72
59
2
398
375
141
대구
232,499
43
2,718
2,471
1,389
31
2,151
1,960
1,022
10
82
73
51
2
485
438
316
인천
215,860
80
4,175
3,416
1,683
67
3,571
3,037
1,491
9
79
46
47
4
525
333
145
광주
118,453
49
1,984
1,603
862
41
1,917
1,546
821
8
67
57
41
대전
119,222
41
1,734
1,612
810
26
1,473
1,378
683
14
107
87
63
1
154
147
64
울산
69,995
29
1,371
1,056
525
26
1,346
1,040
511
3
25
16
14
경기
919,632
490
19,606
16,967
8,319
335
15,391
13,318
6,374
134
1,117
859
589
21
3,098
2,790
1,356
강원
209,922
116
4,851
3,971
1,996
85
4,123
3,378
1,636
26
220
146
113
5
508
447
247
충북
192,542
115
4,134
3,366
1,699
70
3,417
2,801
1,295
41
337
241
184
4
380
324
220
충남
293,688
100
4,216
3,376
1,781
66
3,197
2,508
1,207
27
226
169
117
7
793
699
457
전북
272,231
153
6,279
4,953
2,427
122
5,687
4,482
2,145
28
232
140
104
3
360
331
178
전남
338,407
136
5,151
4,343
2,195
96
4,124
3,492
1,773
33
272
172
149
7
755
679
273
경북
402,469
126
6,800
5,855
2,776
103
5,275
4,466
2,074
13
117
87
59
10
1,408
1,302
643
경남
366,471
115
6,508
5,284
2,569
93
4,937
4,048
1,923
14
115
70
63
8
1,456
1,166
583
제주
64,191
29
1,613
1,466
791
27
1,513
1,384
734
1
5
2
3
1
95
80
54
출처 : 보건복지가족부. 2009. 『2009년 노인복지시설현황』. p. 9.
2) 노인요양시설의 현황
노인복지 시설의 현황을 살펴보면 2006년 59,117개소 119,498명의 입소정원이었으나, 2007년에는 60,788개소 150,548명으로 시설수와 입소정원이 상당히 늘어났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2008년에는 시설 수는 63,919개소로 증가하였으나, 입소정원은 112,064명으로 정원이 줄어들었다. 자세한 내용을 보면 아래 <표 3>과 같다.
<표 3> 연도별 노인 복지시설 현황
(단위 : 개소, 명)
종 류
시 설
2008
2007
2006
시설수
입소정원
시설수
입소정원
시설수
입소정원
합계
63,919
112,064
60,788
150,548
59,117
119,498
노인
주거
복지
시설
소계
347
17,342
398
16,579
366
16,074
양로시설
306
11,520
384
13,014
351
12,509
노인공동생활가정
21
177
노인복지주택
20
5,645
14
3,565
15
3,565
노인
의료
복지
시설
소계
1,832
81,262
1,186
61,406
898
52,628
노인요양시설
1,332
66,715
1,114
51,310
815
40,589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422
3,500
노인전문병원
78
11,047
72
10,096
83
12,039
노인
여가
복지
시설
소계
59,422
57,777
56,789
노인복지관
228
211
183
경로당
57,930
56,480
55,504
노인교실
1,260
1,082
1,099
노인휴양소
4
4
3
재가
노인
복지
시설
소계
2,298
13,460
1,408
72,563
1,045
50,796
방문요양서비스
1,111
767
62,736
523
42,832
주야간보호서비스
621
10,627
504
8,109
409
6,557
단기보호서비스
217
2,833
137
1,718
113
1,407
방문목욕서비스
349
노인
보호
전문
기관
노인보호전문기관
20
19
19
출처 : 보건복지가족부. 2009. 『2009년 노인복지시설현황』. p. 5.
또한 노인복지시설 중 노인의료복지시설을 중심으로 현황을 살펴보면, 전체 노인인구 5,069,273명(2008.12.31 보건복지가족부 기준)의 인구 중에 경기도 노인인구는 919,632명으로 통계에 나타났으며, 이는 우리나라 노인 인구의 약 18%를 차지한다. 경기도 내 노인요양시설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335개의 시설에 15,391명의 정원 중 2008년 말 현재 13,318명의 노인들이 입소하여 약 87%의 입소율을 나타내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표 4>와 같다.
<표 4> 노인의료복지시설 총괄표
(단위 : 개소, 명)
시도
65세 이상
노인인구
(2008.
12.31
주민등록
인구기준)
계
노 인 요 양 시 설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노 인 전 문 병 원
시
설
수
입소인원
종
사
자
수
시
설
수
입소인원
종
사
자
수
시
설
수
입소인원
종
사
자
수
시
설
수
입소인원
종
사
자
수
정원
현원
정원
현원
정원
현원
정원
현원
합계
5,069,273
1,832
81,262
69,038
34,749
1,332
66,715
56,736
27,865
422
3,500
2,595
1,906
78
11,047
9,707
4,978
서울
890,052
136
6,111
5,811
3,230
84
5,077
4,857
2,679
49
402
358
250
3
632
596
301
부산
363,639
74
4,011
3,488
1,697
60
3,516
3,041
1,497
12
97
72
59
2
398
375
141
대구
232,499
43
2,718
2,471
1,389
31
2,151
1,960
1,022
10
82
73
51
2
485
438
316
인천
215,860
80
4,175
3,416
1,683
67
3,571
3,037
1,491
9
79
46
47
4
525
333
145
광주
118,453
49
1,984
1,603
862
41
1,917
1,546
821
8
67
57
41
대전
119,222
41
1,734
1,612
810
26
1,473
1,378
683
14
107
87
63
1
154
147
64
울산
69,995
29
1,371
1,056
525
26
1,346
1,040
511
3
25
16
14
경기
919,632
490
19,606
16,967
8,319
335
15,391
13,318
6,374
134
1,117
859
589
21
3,098
2,790
1,356
강원
209,922
116
4,851
3,971
1,996
85
4,123
3,378
1,636
26
220
146
113
5
508
447
247
충북
192,542
115
4,134
3,366
1,699
70
3,417
2,801
1,295
41
337
241
184
4
380
324
220
충남
293,688
100
4,216
3,376
1,781
66
3,197
2,508
1,207
27
226
169
117
7
793
699
457
전북
272,231
153
6,279
4,953
2,427
122
5,687
4,482
2,145
28
232
140
104
3
360
331
178
전남
338,407
136
5,151
4,343
2,195
96
4,124
3,492
1,773
33
272
172
149
7
755
679
273
경북
402,469
126
6,800
5,855
2,776
103
5,275
4,466
2,074
13
117
87
59
10
1,408
1,302
643
경남
366,471
115
6,508
5,284
2,569
93
4,937
4,048
1,923
14
115
70
63
8
1,456
1,166
583
제주
64,191
29
1,613
1,466
791
27
1,513
1,384
734
1
5
2
3
1
95
80
54
출처 : 보건복지가족부. 2009. 『2009년 노인복지시설현황』. p. 9.
키워드
추천자료
노인복지회관
노인 장기요양보험의 기대효과와 과제
실버타운 노블카운티의 서비스 마케팅
노인요양원 사업계획서
한국과 일본의 노인장기요양보험 비교를 통한 시사점과 개선책
노인복지시설의 개설과정에 대해서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체계와 현황 및 실태 그리고 선진국의 장기요양보험제도 및 우리나라의 ...
[노인복지론] 노인복지시설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
[노인건강 방안] 노인건강의 실태, 노인 복지제도, 노인 건강관련 제도 분석 및 문제점과 개...
사회복지서비스의 실시와 관련하여 서비스신청에서부터 보호계획의 수립실시까지의 절차를 레...
[국고보조사업, 국고보조사업 예산신청, 노인보건사업, 노인보건복지]국고보조사업의 예산신...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대한 문제점에 대해
[노인건강 방안] 노인건강의 실태, 노인 복지제도, 노인 건강관련 제도 분석 및 문제점과 개...
노인의 안전사고예방에 대한 보건교육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