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및기사작성_오보란 무엇인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들어가며

1. 오보란 무엇인가?

2. 오보의 원인

3. 과거 그리고 현재

4. 오보 바로 잡기

나가며

본문내용

와 정정」,『오보와 정정』, 한국 언론 연구 위원회 , 1990, 198~212쪽, 참조.
이러한 것들은 모두 오보가 발생한 후의 처리방법이므로 가장 좋은 방법은 오보를 내지 않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여러 서적에서 오보에 대해 평가하고 오보를 막기 위한 방법들을 제시해 놓은 것을 찾아 볼 수 있었다. 여기에 내가 생각하는 오보를 막는 방법을 말하자면 그러기 위해서는 보도를 하기 전에 정확한 정보에 대한 수집과 치밀한 검토로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오보의 가능성을 최대한 줄여야 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언론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직업의식과 윤리의식부터 바로 잡아야 할 것이다. 그리고 실제로 옴부즈맨을 통한 오보의 정정도 시행되고 있다. 이렇듯 옴부즈맨과 같은 제도와 규제의 확립이 필요할 것이다. 그리고 언론 뿐 아니라 수용자들도 진실인가, 오보인가에 대한 날카로운 시각을 가져야 할 것이다. 실제로 지난 학기에 선배와 함께 인터넷으로 매일경제의 기사를 보다가 표기상의 오보를 발견했던 일이 있었다. 기사에 어떤 기업의 사장 이름이 잘못 표기된 것이었다. 인터넷 기사에도 기자 실명제가 적용돼 선배는 인터넷에 나와 있는 기자의 메일 주소로 정정을 요구하는 메일을 보냈다. 이렇듯 매체 환경의 변화에 따라 수용자는 더 쉽게 언론에 접할 뿐 아니라 수용자로서의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 것이다. 그때 당시에는 이러한 행동이 별 것 아닌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이런 수용자의 눈과 역할이 오보를 막는 좋은 방법 중 하나이다. 무엇인가 의심쩍은 것이 있다면 비판적으로 생각하는 자세가 중요할 것이다.
나가며
지금까지 오보에 대한 정의와 발생요인 그리고 사례를 통해 오보를 만들어낸 언론의 태도와 그 오보를 정정하기 위해 간략하게 방안을 제시해보았다. 많은 여러 서적들을 살펴보면서 오보로 인해 개인적으로나 사회적 그리고 국가적으로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피해를 입었을지를 생각해보았다. 과거에는 그 정도가 또 얼마나 심했을지 짐작해 볼 수도 있었다. 언론은 어렵게 쟁취해낸 민주주의의 실현을 돕는 국민과 하나 될 수 있는 중요한 기능을 해나가야 한다. 언론의 보도 기능은 그 영향력이 망각하기 때문에 작은 것 하나에도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충분히 있다. 작은 실수에서부터 의도적인 행위로 인한 오보는 다시는 발생하지 않도록 다방면으로 노력을 기울어야 한다. 언론의 입장에서 진실한 보도를 기본으로 하는 해결해야할 과제이기도 하며 사회적으로도 해결해야할 과제이며 수용자의 입장에서도 함께 풀어나가야 할 과제인 것이다. 여기서 수용자가 주인의식을 발휘해 경쟁 체제 속에서 발생하는 하나의 상품이라면 상품인 기사를 좀 더 높은 품질을 자랑 할 수 있도록 날카로운 시선으로 바라보아야 할 필요가 있다. 변화한 매체 환경 속에서 수용자의 역할이 더욱 커짐에 따라 쉽게 접할 수 있는 인터넷을 통한 오보의 바로 잡는 데에 참여할 수 있다. 언론은 그 본래의 기능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며 영향력을 염두에 두고 항상 사소한 것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 가격1,8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2.04.20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416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