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심-신라면 해외진출전략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농심-신라면
해외진출전략



서론
Ⅰ. 선정동기

Ⅱ. 기업소개
(1) 기업이념 (企業理念) (http://www.nongshim.com)
(2) 비전 2015
(3) 3대 정신 & 핵심가치
NONGSHIM CI

Ⅲ. 신라면 소개
1) 제품특징
2) 신라면의 마케팅 전략 (http://www.shinramyun.com)


본론
Ⅰ. 국내시장 현황

Ⅱ. 해외진출동기

Ⅲ. 중국 진출현황
농심 신라면의 중국 진출 성과

Ⅳ. 중국 시장환경분석
1. 중국 라면시장의 특징
1) 시장 집중도가 높다.
2) 시장이 지역적으로 차별화되어 있다.
3) 시장이 포화로 기울고 있으며 발전공간은 한계가 있다.
4) 합자기업이 떠오르고 있다.
2. 중국라면시장의 성장률
3. 중국라면시장의 소비 및 가격

Ⅴ. 농심 신라면의 중국시장 진출
1. 농심의 중국 진출과정
2. 농심의 중국시장에 대한 마케팅 전략(4p)
(1) 제품 전략 [Product]
(2) 가격 전략 [Price]
(3) 촉진 전략 [Promotion]
(4) 유통 전략 [Place]
3. 농심 신라면의 SWOT 분석
4. 농심 신라면의 STP
(1) 세분화(Segmentation)
(2) 타겟 시장(Targeting).
(3) 포지셔닝(Positioning)
5. 농심의 중국에서의 성과
1) 중국 법인별 매출 현황
2) 판매 지역 및 현황

결론
Ⅰ.결론

Ⅱ. 개선방안 및 효과
개선방안 3가지
1. 위생
2. 웰빙
3. 건더기


출처

본문내용

요 공략 대상을 대형 할인매장으로 제한했다. 중국에서 월마트나 까르푸 같은 할인매장은 단순한 슈퍼마켓 이상으로 의미가 있다.
중류층 이상이 쇼핑하는 장소로 시장에서 오피니언 리더 구실을 한다. 할인매장에서 잘 팔리는 제품은 구전효과가 만만치 않다. 또 다른 이유도 있다. 흔히 중국에서 외상 거래는 판매 대금을 뜯기는 지름길이라고 한다. 아니면 외상 매출금 회수 때문에 대리점에 질질 끌려 다니는 사례도 적지 않다. 대형 할인매장은 다르다. 대부분 다국적기업이 운영하고 중국 할인매장도 대기업들이 운영한다. 상하이에는 현재 대형 할인매장이 28개 있다.
농심은 상하이 한 곳에만 집중적으로 공략하면서 유통망을 완벽하게 장악할 수 있었다. 상하이를 10개 지역으로 분류해 대리점 연쇄점 할인점에 대한 모든 자료를 철저하게 분석해 유통 전산망을 구축해 놓았다.
상하이(上海) 유통중심지인 구베이(古北) 까르푸 매장 인스턴트식품 진열대에는 농심 신라면이 가장 눈에 띄는 좋은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베이징 국제 무역 전시 센터 옆에 있는 까르푸 매장도 마찬가지다. 슈퍼마켓에서 가장 좋은 진열 위치를 차지한다는 것은 그만큼 잘 팔리는 제품이라는 의미다.
즉, 중국 일반상점에서 농심 신라면을 찾기란 쉽지 않다. 그렇지만 까르푸, 월마트, 메트로 등 대형 할인매장에는 신라면이 반드시 있다. 그것도 대부분 매장에서 좋은 위치를 차지한다. 이러한 점은 모두 신라면이 기존의 단순한 라면과는 다른 고품질의 라면이라는 점을 보여준다.
5. 농심의 중국에서의 성과
1) 중국 법인별 매출 현황
출처 : 농심 사이트
2) 판매 지역 및 현황
지역별 신라면 판매 현황 중국 시장내 봉지면 및 라면의 점유율
출처 : 농심 내부 자료
왼쪽 그래프는 농심 라면이 팔리고 있는 지역을 나타내고 있는 그래프이다. 표에서 보면, 상해와 동북 3성 지역 그리고 홍콩 지역이 농심 라면이 주로 팔리는 곳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오른쪽 그래프에서는 판매 추이가 더 높은 그래프가 봉지면, 판매추이가 더 낮은 추이가 용기면 이다. 그래프에서 보면 용기면 보다 봉지면이 중국 시장에서 훨씬 더 판매율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결론
Ⅰ.결론
농심은 국내 라면시장에서의 낮은 매출증가율 및 소비량증가율로 인해
세계 시장 진출로 눈을 돌리게 되었고,
중국을 전초기지로 삼고 있습니다.
중국에서의 마케팅은
신라면 특유의 매운맛 등을 잘 살렸으며,
중국이라는 나라의 특성에 대해 잘 파악하였습니다.
이를 기반으로 고급화 마케팅을 통해 중국시장에 성공적으로 자리잡았습니다.
이러한 중국시장의 경험을 토대로 세계 시장 진출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Ⅱ. 개선방안 및 효과
개선방안 3가지
면 폴리추가 ( 위생 ) - 면만 한 번 따로 더 포장
나트륨 축소 ( 웰빙 )
건더기 크게 ( 씹는 맛 )
최근 중국은 경제가 수준의 빠른 발전으로 건강과 위생 등과 같은 높은 차원의 욕구에 대해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습니다.
그에 부응하기 위해 3가지의 개선방안을 생각해 보았습니다.
이 방안들은 주로 중국의 상류층에 관한 마케팅입니다.
중국은 상류층만으로도 인구가 매우 많아 7000만에 육박합니다.
농심은 이미 중국진출의 성공사례에서, 중국에서는 고급화 마케팅이 충분한 효과를 거둘 수 있음을 확인하였습니다.
1. 위생
위생과 관련하여 농심은 최근에 쥐머리, 애벌레 등으로 라면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것은 아니지만 기업 이미지에 많은 손상을 입은 것이 사실입니다.
이에 위생을 강조하기 위하여 면에만 추가로 투명한 비닐 ( 폴리 ) 포장을 하여 고급스러우면서도 깨끗한 이미지를 제고하는데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라 예상합니다.
이와 유사한 사례로는 진로 소주가 일본에서 포장 등의 차별화, 고급화로 인해서 우리나라에서와 같은 제품인데도 2배에서 많게는 10배의 가격으로 판매가 되었고, 성공을 거두었던 전례가 있습니다.
2. 웰빙
세계적으로 나트륨 일일 권장량은 2000mg 정도인데 보통 신라면의 한 봉지에 들어있는 양만해도 1930mg 에 이릅니다. 나트륨은 과다 섭취 시 고혈압, 위축성 위염과 위암, 동맥손상, 칼슘 배설 증가로 인한 골격계 질환 등을 유발시킵니다. 이와 같은 사실을 바탕으로 웰빙과 관련하여 나트륨을 줄여보자는 생각입니다.
나트륨을 줄이면 자연히 맛이 싱거워 질 수 있는데, 커피믹스에서 설탕 조절부분이 있는 것 처럼 소금을 따로 포장하여 각자의 입맛에 맞게 맞추어 먹을 수 있게 하는 방법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3. 건더기
개선방안의 도입부에 말씀을 드렸다시피 지금 제안하는 개선방안들은 상류층을 위주로 하고 있습니다. 해서 우리나라에서는 약간 힘들 수도 있는 마케팅 하나를 더 추가해 보려고 합니다. 라면의 식사대용으로써의 시대는 지났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재력이 있는 사람들이라면 돈을 더 투자하더라도 맛있는 라면을 먹기 원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생각해낸 방안은 건더기스프의 크기를 확대 시키자는 것입니다.
우리가 항시 라면을 샀을 때 포장에는 매우 맛깔스러운 재료들이 라면에 얹어져 있지만 막상 안을 확인해 보면 산산조각 난 재료들 뿐 입니다.
포장에 그려진 그림처럼 풍성하고 맛있는 재료를 포함한 상품이 상류층에 충분히 어필할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됩니다.
물론 모든 제품을 이렇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신라면> <신라면 +>등으로 구분을 두어 소비자들에게 선택의 폭을 넓혀주자는 생각입니다.
출처
· 농심 사이트 ( http://www.nongshim.com )
· 신라면 사이트 ( http://www.shinramyun.com)
· 농심 발간 홍보 책자 ( 중앙 도서관 대여 )
· 해외진출정보시스템 ( http://www.ois.go.kr )
· 국가질량감독검험검역총국
· KOTRA ( http://www.kotra.or.kr )
· 산업연구원 ( http://www.kiet.re.kr )
· 인터넷 기사
바둑대회 ( http://blog.naver.com/foodicom/30043473561 )
진로고급화 ( http://blog.naver.com/hongjig?Redirect=Log&logNo=140005522559 )
  • 가격3,3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12.04.23
  • 저작시기2012.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420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