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응급상황에서의 일반적인 문제와 특수문제 A+ ( shock 환자,Stroke 환자,Cardiac arrest 환자,TA(traffic accident) 환자,두부손상환자 등등)문헌고찰, 간호, 치료 A+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인간호학-응급상황에서의 일반적인 문제와 특수문제 A+ ( shock 환자,Stroke 환자,Cardiac arrest 환자,TA(traffic accident) 환자,두부손상환자 등등)문헌고찰, 간호, 치료 A+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응급상황 -

-비응급 상황-

▶ shock 환자

▶ Stroke 환자

▶ Cardiac arrest 환자

▶ TA(traffic accident) 환자

▶ 두부손상환자

▶ 흉부손상환자

▶ 복부손상환자

▶ 화상환자

▶ Drug intoxication 환자

▶ CO intoxication 환자

▶ Fracture 환자

▶ Hemorrhage 환자

▶ 질식 환자

▶ 소아 열성 경련

▶ 소아 탈수

▶ 교상환자

본문내용

따라서는1~2분간인경우도있음
②제2기
-호흡곤란시기에들어가면먼저흡기성,이어서호기성의호흡곤란을보이며흡기성에 서호기성으로변할때의식을잃고전신경련이일어나며,안색은청색증이되고동공 이산대됨
③제3기:가사기,호흡및순환이일시정지됨
④제4기:종말호흡기,깊은경련성흡기를하며이어서정지함
질식사인 경우 3대 특징
- 혈액이 유동성으로 응고되고 암혈색이 되는 것
- 장기에 혈액이 울체 됨
- 안결막-피부-점막 등에 좁쌀크기의 출혈점이 나타남
4. 치료
발견 즉시 원인을 제거
산소 흡입-인공호흡-심장 마사지 등을 실시함
또한 호흡중추 자극제, 강심제를 주사함
▶ 소아 열성 경련
1. 정의
- 고열과 함께 전신에 일어나는 경련으로 6개월~5세 사이의 어린이가 고열과 함께 경련을 일으키는 것을 말함
- 대개 체온이 갑자기 올라갈 때 일어남
- 중추신경계 감염으로 인한 경련은 제외되며 온몸이 뻣뻣해지다가 팔다리를 떠는 형태의 발작을 하는데 안구가 돌아가고 의식이 없음
- 보통 15분 이내에 그치며 어린이들은 아직 뇌가 충분히 발달하지 않아 열이 나면 뇌세포 가 자극을 받아 경련을 일으키게 됨.
- 보통 18~22개월 정도의 나이에 발생, 5세 이후에는 드뭄, 여아보다는 남아에게 흔함
- 경련 후 특별한 이상은 없이 열이 내린 후 7~10일이면 뇌파도 정상이 됨.
- 모든 어린이의 3~4%가 이 증상을 경험, 재발 확률은 약 30% 정도로 특히 1세 이전에 처음 으로 발생하는 경우 50% 이상은 재발
2. 원인
- 확실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나 고열로 인한 뇌의 산소 부족, 뇌부종, 탈수, 뇌내 독소 침입 등에 의한 것으로 추정
- 원인 질환으로는 감기가 약 70%를 차지하고 편도염인두염중이염위장염돌발진 등. 유전 성 경향이 있어 환자 가족의 60~70%가 열성경련을 경험
3. 증상
- 증세는 대개 38℃ 이상으로 갑자기 열이 오르면서 안구가 돌아가거나 고정되며, 양쪽 손 발이 경직되거나 규칙적인 굴곡 현상
- 의식은 없고 입술에 청색증이 나타나거나 침을 많이 흘리기도
- 15분 이내에 증세는 사라지고 경련을 멈춘 뒤에는 잠을 자게 됨.
- 경련의 양상은 다양
- 한쪽 손발이나 입술 등에만 오는 초점성 경련이 올 수 있고 움직이지 않을 수도 있으며 15분 이상 경련을 지속하는 경우도. 온몸이 동시에 경직되는 강직성 경련, 경직한 것처럼 전신을 떠는 강직간대성 경련 등이 일어나는 경우가 많음.
- 전신 경련은 뇌염이나 수막염 등 중추신경계 질환이 있을 때도 일어난다.
- 발열이 계기가 되어 일어나는 간질 발작도 있음
▶ 소아 탈수
1. 정의
- 탈수는 세포외액의 소실로부터 발생하는 심각한 질환
- 아동은 체액의 비율 중 세포외액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으므로 성인보다 탈수상태에 더 취 약, 탈수를 방치할 경우 저혈량성 쇼크와 사망으로 이루어 질 수 있음
* 탈수의 기준
- 갈증 느끼면 이미 탈수 상태, 탈수는 필요한 수분양보다 적은 양의 수분을 공급받은 상태를 말함 (대개 체중의 1%이상 수분이 부족할 때를 탈수상태라 함)
- 물을 찾게 되는 갈증은 보통 체중의 0.8~2% 이상 탈수가 됐을 때 느낌
-> 사람들은 자신이 탈수 상태인지 모를 수 있음. 특히 노령자
- 커피나 알코올을 마셨다면 수분 소실이 더욱 심각해짐
하루 6잔 커피를 마시면 전체 수분량의 2.7%가 감소, 알코올도 이뇨작용으로 만성 탈 수를 유발
2. 유형
- 저장성 탈수 : 나트륨의 손실이 수분의 손실보다 더 많아져 혈청의 나트륨 수치가 130mEp/L 이하로 떨어질 때 발생, 주로 부적절한 정맥 요법, 위장염, 신장증, 부신기능부 전 혹은 위액 분비가 이뤄지지 않을 때 발생
- 등장성 탈수 : 나트륨과 수분의 손실이 동일하여 혈청의 나트륨 수치가 정상으로 나오는 것으로 체액손실은 세포 내와 세포외 공간 모두에서 이루어짐, 아동에게서 가장 일반적인 탈수의 형태
- 고장성 탈수 : 수분의 손실이 나트륨의 손실보다 더 클 때 발생, 높은 비율의 전해질을 함유하고 있는 용약으로 설사 치료를 받고 있는 유아는 이러한 유형의 탈수를 일으킴. 탈 수의 유형 중 가장 위험한 것으로 아동이 심각한 구토나 당뇨성 요붕증이 있을 때 또한 발생
3. 증상
- 탈수의 정도에 달려 있음
- 체중감소, 빠르고 약한 맥박, 저혈압, 말초 순환의 감소, 소변 배설량의 감소와 비중의 증가, 피부 긴장도의 감소, 점막의 건조, 눈물의 부족, 영아의 함몰된 천문
- 경증(체중감소가 5%미만), 중증도(체중감소가 5~10%), 중증(체중감소가 10% 이상)
▶ 교상환자
1. 정의
- 경주 중독(injected poisining) 또는 자창 중독
- 사람을 포함한 동물에 물려서 생긴 상처
- 상처의 특징은 감염을 일으킬 가능성이 많다는 것과 특수한 질환(창상전염병)에 걸릴 수가 있다는 것, 또 유독동물에 의한 독물의 주입을 받는 데 있음
- 창상전염병이란 상처를 침입문으로 하는 외과적 특이성 전염증으로, 증세가 나타났을 때는 상처가 치유되어 있을 경우도 있음. 주요한 것에 파상풍,광견병,비탈저,비저,창상 디프테리아,서교증,방선균증,야토병 등
2. 유형
1) 벌에 의한 교상
- 국소 홍반과 부종, 통증이 나타나며 처치방법으로는 바늘이나 수술용 메스를 이용해서 독 침을 먼저 제거. 족집게를 사용하면 조직 깊숙이 박힐 염려가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음
- 쏘인 부위를 깨끗이 하고 얼음찜질을 20분가량 한 후 필요시엔 드레싱
2) 뱀에 의한 교상
- 국소 증상으로 물린 즉시 강한 작열통을 느끼며 종창이 생기고 심한 출혈
- 뱀에 물린 상처는 위쪽에 두 개의 이빨 자국이 있으며 아래쪽에도 두 군데의 물린 자국이 남음
- 물린지 한 시간 이내에 피부에 수포가 생기며 차츰 커지고 출혈 증세를 보이며 피부색이 암적색으로 변색되고 현저한 종창이 생김
- 전신 증상으로는 근육이 경련을 일으키고 근섬유속연축이 일어나며 특히 입 주위가 심함
3) 동물에 의한 교상
- 일반적으로 위험성은 적으나 감염의 우려가 있으며 물린 동물이 공수병이 없는지 확인
- 상처가 생겼을 때는 관통됐는지, 표피손실 정도인지, 상처의 형태를 파악하며 신경계, 맥 관계 근골격계 손상에 대해 광범위하게 검사
  • 가격3,0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12.04.30
  • 저작시기2012.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433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