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속의 라이벌(창덕궁)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창덕궁 (昌德宮)

Ⅰ-1. 창건배경

Ⅰ-2. 역사와 변천사

▲ 공간구성과 배치

3. 창덕궁 위치도

4. 창덕궁 감상

< 연혁 >

본문내용

을 파고 태극정, 청의정, 소요정 등의 정자를 짓음. 또 그 후에 낙민정, 취규정, 심추정 등을 세움
1636 (인조14) 12월 병자호란 일어나 남한산성으로 피함
1637 (인조15) 1월 창경궁으로 환궁함
1647 (인조25) 6월~11월 창덕궁을 중건함
1660 (효종卽) 전왕의 왕비들을 위한 전각이 새로 세워지기 시작함
1656 (효종 7) 8월 인조 계비이며 효종의 계모인 조대비의 거처를 위해 인정전 뒤편의 옛 흠경각 자리에 만수전의 건립을 착수하여 이듬해에 완공함
1687 (숙종13) 9월 만수전과 천경루가 화재로 소실되고 이후에 재건되지 않음
1704 (숙종30) 12월 임진왜란 때 원군을 파견했던 명나라 신종을 위해 대보단을 준공함
1744 (영조20) 10월 승정원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인정문과 좌우행각이 소실됨
1776 (정조卽) 9월 후원에 규장각을 설치함
1777 (정조 1) 9월 인정전 앞뜰에 품계석이 설치함
1782 (정조 6) 중희당을 건립함
1785 (정조 9) 8월 수강재를 건립함
1803 (순조 3) 12월 인정전이 소실되어 이듬해 중건하다.
1811 (순조11) 3월 예문관과 향실의 화재로 많은 서적과 기물이 소실됨
1824 (순조24) 8월 인정전 뒤편에 있던 경복전이 소실됨
1833 (순조33) 10월 내전에 큰 화재가 발생하여 大造殿과 熙政堂을 비롯한 행각, 침전 등이 소실된 뒤 이듬해 9월에 재건함
1847 (헌종13) 후궁들을 위해 낙선재를 건립함
1857 (철종 8) 인정전을 완전히 해체 수리함. 중건 후 약 53년만에 개수됨
1863 (고종卽) 12월 고종 창덕궁 인정전에서 즉위함
1877 (고종14) 창경궁과 함께 창덕궁 개수공사를 함
1897 (광무 1) 10월 대한제국이 선포되고 고종은 황제에 즉위함
1905 (광무 9) 11월 을사조약이 체결됨
1907 (융희 1) 8월 순종 덕수궁 돈적전에서 즉위함
1908 (융희 2) 인정전 개수와 함께 진선문이 철거됨. 공사의 집행은 일인들의 탁지부 건축소에서담당하였음
1910 (융희 4) 8월 22일 인정전에서 한일합방이 강제체결됨
1917 11월 대조전 서쪽 갱의실에서 불이 나 대조전을 비롯한 내전이 대부분 소실됨. 순종과 황후는 후원의 연경당으로 피신함
1920 창덕궁 중건공사를 완료함. 대조전, 희정당, 흥복헌, 경훈각, 함원정 등을 완공함.
경복궁의 건물을 헐어서 보수함으로써 경복궁의 교태전, 강녕전 등 내전의 대부분이 철거됨
1926 4월 26일 순종 대조전에서 승하함
1976~1978 본격적으로 昌德宮 정비작업을 시작함
1990~1998 대대적인 정비사업을 시행하다. 정전지역, 침전지역, 낙선재지역, 후원 건물들을 복구
1994~1997 낙선재 일원 정비사업을 시행함
1995~1997 돈화문 해체복원 및 전면 월대를 복원정비함
1995~1999 진선문과 숙장문 일대, 어도등 인정문외 행각일원의 중건 및 복원이 이루어짐
1997 12월 UNESCO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됨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2.04.30
  • 저작시기2005.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436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