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한 각 무더기의 중량백분율(%)
5. 상기의 시험을 두 번 실시하여 그 측정값의 차가 비중시험의 경우에는 그 값의 0.02이하, 흡수율 시험의 경우에는 0.05 이하 이어야 한다.
5.참고 사항
1. 굵은 골재의 비중은 일반적으로 2.5~2.7 정도이다.
2. 댐콘크리트용 골재의 비중은 2.6정도 이상을 표준으로 한다.
3. 콘크리트용 부순돌의 비중은 2.5이상이고, 흡수율은 3%이하로 한다.
6.유의 사항
1. 대표적인 시험용 골재를 채취할 때는 여러 군데에서 하도록 한다.
2. 표면건조 작업 중 골재내부의 수분이 증발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3. 5mm체를 통화는 시료는 모두 버리고 물에 깨끗이 씻어야한다. 그렇지 않으면 시험 중에 철망태에서 빠져 오차가 생기기 쉽다.
4. 콘크리트 배합설계의 기준으로 이용할 때는 굵은 골재를 항량이 될 때까지 건조시킬 필요는 없다.
7.고 찰
하지만 콘크리트 배합설계시 흡수율이 낮고 비중이 크며 입자가 작은 잔골재를 배합한다면 시멘트의 양을 줄임은 물론이며 W/C의 양을 줄이고 워커빌리티를 향상시킬수도 있으며 나아가서는 수화열을 낮춤으로써 콘크리트의 건조수축에 잘견디고 장기강도가 큰 구조물을 만들 수 있다고 하겠다.
5. 상기의 시험을 두 번 실시하여 그 측정값의 차가 비중시험의 경우에는 그 값의 0.02이하, 흡수율 시험의 경우에는 0.05 이하 이어야 한다.
5.참고 사항
1. 굵은 골재의 비중은 일반적으로 2.5~2.7 정도이다.
2. 댐콘크리트용 골재의 비중은 2.6정도 이상을 표준으로 한다.
3. 콘크리트용 부순돌의 비중은 2.5이상이고, 흡수율은 3%이하로 한다.
6.유의 사항
1. 대표적인 시험용 골재를 채취할 때는 여러 군데에서 하도록 한다.
2. 표면건조 작업 중 골재내부의 수분이 증발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3. 5mm체를 통화는 시료는 모두 버리고 물에 깨끗이 씻어야한다. 그렇지 않으면 시험 중에 철망태에서 빠져 오차가 생기기 쉽다.
4. 콘크리트 배합설계의 기준으로 이용할 때는 굵은 골재를 항량이 될 때까지 건조시킬 필요는 없다.
7.고 찰
하지만 콘크리트 배합설계시 흡수율이 낮고 비중이 크며 입자가 작은 잔골재를 배합한다면 시멘트의 양을 줄임은 물론이며 W/C의 양을 줄이고 워커빌리티를 향상시킬수도 있으며 나아가서는 수화열을 낮춤으로써 콘크리트의 건조수축에 잘견디고 장기강도가 큰 구조물을 만들 수 있다고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