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시멘트 비중 시험 결과표
2. 실험 방법 및 과정
3. 고 찰
2. 실험 방법 및 과정
3. 고 찰
본문내용
5자리 까지 밀도와 일치하므로 비중과 밀도는 그 값 이 같다고 생각해도 무방하다.)
7. 위의 실험을 2회 반복하여 얻은 비중을 평 균 내어 기록한다.
나중 눈금 읽음 값
= 20.7 cc
8. 실험이 끝난 후에는 다음 실험이 원활히 이루어 지도록 뒷정리를 깔끔히 한다.
시멘트는 물과 수화반응을 하여 굳어지므로 비중병을 씻을 때에는 절대 물을 사용해서는 안 된다.
사용한 등유는 지정된 곳에 버려 처리한다.
실험 기구들은 뒷사람이 사용하기 편리하도 록 원래 있던 자리에 재배치한다.
3. 고 찰
이 실험은 시멘트 비중을 알아보는 실험인데 시멘트의 비중은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변화한다.
장기간 저장되었을 때는 풍화에 의해 작아지기도 하고, 시멘트보다 무거운 불순물에 의해 커지기도 한다. 실험을 시작 하면서 시료를 담을 때 시멘트 포대에 1종 포틀랜드 시멘트라는 걸 보고, 이 시멘트의 비중은 평균 3.15일 것이라는 걸 알았음에도 불구하고 뜻대로 실험결과가 나오지 않았다.
첫 번째 실험에서 비중이 3.17, 두 번째 실험에서는 비중이 3.15가 나왔는데, 첫 번째 실험에서 평균보다 높은 비중이 나온 것은 실험 중 부주의 때문에 일어났다고 생각된다.
온도가 1℃변하면 용적이 약 0.2㏄ 변화되고 비중의 약 0.02의 차가 생기므로 시멘트를 넣은 전후의 비중병 중에 광유의 온도차가 0.2℃를 넘어서는 안 되지만, 우리조가 실험을 할 때에는 실험실 내의 온도 변화가 없었으므로 여기에 대한 오차는 없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우리는 깔때기와 종이를 함께 이용했기 때문에 내면에서 소실된 시멘트 분말 또한 없었기 때문에 시멘트 분말의 소실에 따른 오차는 없었다고 본다.
‘어디서 오차가 났을까’란 생각해 본 결과, 시멘트 분말의 기포를 빼는 과정이 길어지면 길어질수록 비중은 높게 나올 수밖에 없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 왜냐하면 아무리 비중병 마개를 닫았다 고해도 휘발성 유체인 등유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계속 증발하므로 시멘트 분말은 중량은 같은데, 부피는 작아지므로 비중은 커질 수밖에 없다. 첫 번째 실험 때에는 비중병 내면의 묻은 등유를 제거하려고 휴지를 말아서 넣었다가 끼어서 빼내는데 , 시멘트 분말을 넣는 양 조절이 미숙해 넣는 시간이 오래 걸려서 비중이 커졌다고 본다.
두 번째 실험은 첫 번째 실험할 때보다 숙달되어서 시간이 반 이상 단축되었는데 그래서 그런지 비중이 거의 맞아 떨어졌다. 시멘트 비중시험은 숙달이 되어야 비로소 제대로 된 비중을 알 수 있는 것 같다.
그리고 실험을 할 때에 오전에 실험했던 사람들이 실험을 잘못하여 비중병에 시멘트가 붙어서 떨어지질 않아 애를 먹었는데 붙은 이유는 아마 시멘트 분말을 넣을 때 참을성 없이 많이 넣었거나, 실험 후 비중병을 절대 물로 씻으면 안 된다는 주의사항을 어기고 물로 씻어 물과 시멘트가 반응을 했을 거라고 생각된다.
비중 실험은 숙달과 정밀화가 중요하다. 비중실험이 정확히 이루어진다면 콘크리트의 배합계산에 의해 콘크리트의 정확한 강도를 알 수 있어 구조물을 더욱 완고하게 지을 수 있다. 반면에, 잘못된 실험으로 인해 멀쩡한 시멘트를 풍화되었다고 판정해버려 낭비할 수도 있다.
시멘트 비중 시험
목 차
1. 시멘트 비중 시험 결과표
----- p 1
2. 실험 방법 및 과정
----- p 2 ∼ p 5
3. 고 찰
----- p 6
참고 문헌 및 자료
http://www.standard.go.kr : 국가표준인증종합정보센터
KS L - 5110 ( 시멘트 비중 시험 방법, 목적 )
토목재료학 : 구미서관
p 19 ~ p 44
p 375 ~ p 376
http://www.naver.com : 백과사전
7. 위의 실험을 2회 반복하여 얻은 비중을 평 균 내어 기록한다.
나중 눈금 읽음 값
= 20.7 cc
8. 실험이 끝난 후에는 다음 실험이 원활히 이루어 지도록 뒷정리를 깔끔히 한다.
시멘트는 물과 수화반응을 하여 굳어지므로 비중병을 씻을 때에는 절대 물을 사용해서는 안 된다.
사용한 등유는 지정된 곳에 버려 처리한다.
실험 기구들은 뒷사람이 사용하기 편리하도 록 원래 있던 자리에 재배치한다.
3. 고 찰
이 실험은 시멘트 비중을 알아보는 실험인데 시멘트의 비중은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변화한다.
장기간 저장되었을 때는 풍화에 의해 작아지기도 하고, 시멘트보다 무거운 불순물에 의해 커지기도 한다. 실험을 시작 하면서 시료를 담을 때 시멘트 포대에 1종 포틀랜드 시멘트라는 걸 보고, 이 시멘트의 비중은 평균 3.15일 것이라는 걸 알았음에도 불구하고 뜻대로 실험결과가 나오지 않았다.
첫 번째 실험에서 비중이 3.17, 두 번째 실험에서는 비중이 3.15가 나왔는데, 첫 번째 실험에서 평균보다 높은 비중이 나온 것은 실험 중 부주의 때문에 일어났다고 생각된다.
온도가 1℃변하면 용적이 약 0.2㏄ 변화되고 비중의 약 0.02의 차가 생기므로 시멘트를 넣은 전후의 비중병 중에 광유의 온도차가 0.2℃를 넘어서는 안 되지만, 우리조가 실험을 할 때에는 실험실 내의 온도 변화가 없었으므로 여기에 대한 오차는 없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우리는 깔때기와 종이를 함께 이용했기 때문에 내면에서 소실된 시멘트 분말 또한 없었기 때문에 시멘트 분말의 소실에 따른 오차는 없었다고 본다.
‘어디서 오차가 났을까’란 생각해 본 결과, 시멘트 분말의 기포를 빼는 과정이 길어지면 길어질수록 비중은 높게 나올 수밖에 없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 왜냐하면 아무리 비중병 마개를 닫았다 고해도 휘발성 유체인 등유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계속 증발하므로 시멘트 분말은 중량은 같은데, 부피는 작아지므로 비중은 커질 수밖에 없다. 첫 번째 실험 때에는 비중병 내면의 묻은 등유를 제거하려고 휴지를 말아서 넣었다가 끼어서 빼내는데 , 시멘트 분말을 넣는 양 조절이 미숙해 넣는 시간이 오래 걸려서 비중이 커졌다고 본다.
두 번째 실험은 첫 번째 실험할 때보다 숙달되어서 시간이 반 이상 단축되었는데 그래서 그런지 비중이 거의 맞아 떨어졌다. 시멘트 비중시험은 숙달이 되어야 비로소 제대로 된 비중을 알 수 있는 것 같다.
그리고 실험을 할 때에 오전에 실험했던 사람들이 실험을 잘못하여 비중병에 시멘트가 붙어서 떨어지질 않아 애를 먹었는데 붙은 이유는 아마 시멘트 분말을 넣을 때 참을성 없이 많이 넣었거나, 실험 후 비중병을 절대 물로 씻으면 안 된다는 주의사항을 어기고 물로 씻어 물과 시멘트가 반응을 했을 거라고 생각된다.
비중 실험은 숙달과 정밀화가 중요하다. 비중실험이 정확히 이루어진다면 콘크리트의 배합계산에 의해 콘크리트의 정확한 강도를 알 수 있어 구조물을 더욱 완고하게 지을 수 있다. 반면에, 잘못된 실험으로 인해 멀쩡한 시멘트를 풍화되었다고 판정해버려 낭비할 수도 있다.
시멘트 비중 시험
목 차
1. 시멘트 비중 시험 결과표
----- p 1
2. 실험 방법 및 과정
----- p 2 ∼ p 5
3. 고 찰
----- p 6
참고 문헌 및 자료
http://www.standard.go.kr : 국가표준인증종합정보센터
KS L - 5110 ( 시멘트 비중 시험 방법, 목적 )
토목재료학 : 구미서관
p 19 ~ p 44
p 375 ~ p 376
http://www.naver.com : 백과사전
추천자료
부가가치세
외국자본의 국내진출과 시사점
국민연금의 문제점과 해결방안(A++보고서,최신자료)
[여성]일, 가족 양립(work-familybalancing)의 전망과 여성노동의 미래
[유통관리]할인점의 PB확대 정책이 유통구조에 미치는 영향 (리포트)
[노인취업 및 노인복지] 고령자 노동의 실태와 고령자 노동, 고용의 문제점 및 대안책 제언 (...
스마트폰 중독과 정신건강과의 관계 분석
[인공수정학] 실습보고서 - 정자 감별법과 관찰법
[은퇴문제]은퇴인구의 증가와 노후대비 부족문제 보고서
[단체급식관리 B형] 우리나라 병원 급식의 현황과 식단의 특성을 조사하여 보고서를 작성하시...
GMO의 개념 및 현황,GMO의 정의 및 LMO,GMO와 육종의 차이점,국내 주요 작물의 자급률,GMO가 ...
현대기아자동차 현 기업 경영상황분석과 현대자동차 국내외 마케팅 SWOT,STP,4P전략분석및 현...
첨단 종합 사회 복지관 기관 분석보고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