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온난화로 인한 지구기온 상승과 전력사용량 증가의 관계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배경
1.2 연구목적
1.3 연구범위
1.4 연구방법

2. 본론
2.1 변수의 정의
2.2 데이터 값
2.3 기술통계량
2.4 분산형 차트
2.5 회귀분석

3. 결론
3.1 요약 및 결론
3.2 한계점
3.3 해결방안
3.4 참고자료

본문내용

실효과를 크게 일으킨다. 그로인해 지구온난화는 더욱 가속화되어 악순환의 반복이 일어난다.
1.4 연구방법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온상승과 전력사용량 증가의 인과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단순선형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종속변수를 지구 연간 평균 기온으로 두고, 독립변수를 인구 1인당 전력소비량으로 두었다.
2. 본론
2.1 변수의 정의
종속변수를 1980년도부터 2008년까지의 지구 연간 평균 기온으로 하고, 독립변수를 2000년도부터 2009년까지의 인구 1인당 전력소비량으로 하였다.
2.2 데이터 값
기후별


평균기온(℃)
1980
13.3 (℃)
 
1981
13.6 (℃)
 
1982
14.4 (℃)
 
1983
14.3 (℃)
 
1984
13.9 (℃)
 
1985
14.2 (℃)
 
1986
13.7 (℃)
 
1987
14.3 (℃)
 
1988
14.2 (℃)
 
1989
14.9 (℃)
 
1990
15.5 (℃)
 
1991
14.4 (℃)
 
1992
14.8 (℃)
 
1993
14.0 (℃)
 
1994
15.6 (℃)
 
1995
14.5 (℃)
 
1996
14.5 (℃)
 
1997
15.2 (℃)
 
1998
15.8 (℃)
 
1999
15.0 (℃)
 
2000
14.9 (℃)
 
2001
15.3 (℃)
 
2002
14.7 (℃)
 
2003
14.3 (℃)
 
2004
14.9 (℃)
 
2005
13.8 (℃)
 
2006
14.7 (℃)
 
2007
15.3 (℃)
 
2008
15.0 (℃)
* 통계표명 :
기상개황
* 수록기간 :
[년]1980 ~ 2008
* 출처 :
부산광역시
정책기획실
비전전략담당관실
구 분
인구 1인당
전력소비량
단 위
Unit
kWh/人
2000년
5067
2001년
5444
2002년
5845
2003년
6126
2004년
6491
2005년
6883
2006년
7191
2007년
7607
2008년
7922
2009년
8092
2.3 기술통계량
인구 1인당 전력소비량
평균
6666.8
표준 오차
331.0849
중앙값
6687
최빈값
#N/A
표준 편차
1046.983
분산
1096172
첨도
-1.28855
왜도
-0.09484
범위
3025
최소값
5067
최대값
8092

66668
관측수
10
신뢰 수준(95.0%)
748.9662
평균기온(℃)
평균
14.58621
표준 오차
0.115937
중앙값
14.5
최빈값
14.3
표준 편차
0.624342
분산
0.389803
첨도
-0.50621
왜도
-0.03062
범위
2.5
최소값
13.3
최대값
15.8

423
관측수
29
신뢰 수준(95.0%)
0.237487
2.4 분산형 차트
2.5 회귀분석
요약 출력
회귀분석 통계량
다중
상관계수
0.092016
결정계수
0.008467
조정된
결정계수
-0.11547
표준 오차
0.481297
관측수
10
분산 분석
 
자유도
제곱합
제곱 평균
F 비
유의한 F
회귀
1
0.015825
0.015825
0.068314
0.80041
잔차
8
1.853175
0.231647

9
1.869
 
 
 
 
계수
표준 오차
t 통계량
P-값
하위 95%
상위 95%
하위 95.0%
상위 95.0%
Y 절편
15.05701
1.03285
14.57812
4.81E-07
12.67525
17.43876
12.67525
17.43876
인구 1인당 전력소비량
-4E-05
0.000153
-0.26137
0.80041
-0.00039
0.000313
-0.00039
0.000313
잔차 출력
확률 출력
관측수
예측치
평균기온(℃)
잔차
표준 잔차
백분율
평균기온(℃)
1
14.85407
0.145927
0.321588
5
13.8
2
14.83897
0.061026
0.134487
15
14.3
3
14.82291
0.477087
1.051381
25
14.7
4
14.81166
-0.11166
-0.24607
35
14.7
5
14.79704
-0.49704
-1.09536
45
14.9
6
14.78134
0.118659
0.261495
55
14.9
7
14.76901
-0.96901
-2.13545
65
15
8
14.75234
-0.05234
-0.11535
75
15
9
14.73973
0.560271
1.2347
85
15.3
10
14.73292
0.26708
0.588578
95
15.3
3. 결론
3.1 요약 및 결론
지구기온 상승과 전력사용량 증가의 관계를 분석하려고 하였다. 둘 사이에 인과관계가 존재한다면 전력사용량을 줄이면 지구온난화를 저지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회귀분석한 결과 결정계수의 값은 0.008467으로 나왔고, p값은 0.80041으로 나왔다. 때문에 추정된 회귀식은 자료를 잘 설명하지 못하였고, 전력사용량 증가가 지구기온 상승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는 결론이 나왔다.
3.2 한계점
지구기온 상승에 대한 데이터는 오랜 기간 축적된 자료를 가지고 분석해야 하지만 그에 상응하는 전력사용량 데이터가 부족해 제대로 된 회귀분석을 하지 못하였다. 전력사용량 데이터가 많다면 더 정확한 분석을 할 수 있을 것이다.
3.3 해결방안
프레온 가스는 분자 당 온실효과를 가장 크게 일으킨다. 프레온 가스는 에어컨 냉장고 등의 냉매로 많이 사용되어 사용량을 줄이기가 쉽지 않다. 몬트리올 의정서를 개정하여 프레온 가스 사용을 규제하였지만 경제적인 이유로 이를 따르지 않는 국가가 많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EU는 2011년부터 친환경 에어컨 냉매를 의무화 하기로 한다. 또한 연세대는 냉매와 실외기가 없는 친환경 에어컨을 개발하여 상용화를 앞두고 있다. 이렇게 지구온난화를 막기 위해서는 전세계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3.4 참고자료
온난화 현상
http://100.naver.com/100.nhn?docid=703697
(출처 지구온난화 [地球溫暖化, global warming ] 네이버 백과사전)
통계청 http://www.kostat.go.kr/
한국전력공사 http://www.kepco.co.kr/al warming

키워드

지구,   온난화,   기온,   전력,   사용량
  • 가격2,8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2.05.09
  • 저작시기2012.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448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