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대구 비슬산
- 주 빙하지형과 다양한 화강암 지형들 -
(1) 들어가며
(2) 비슬산의 다양한 화강암 지형들
1) 핵석(돌알, core stone)과 석비레(푸석바위, saprolite)
2) 토르(탑바위, tor)
3) 주빙하기후 지형 - 암괴류(돌강)와 애추(너덜지대,너덜겅)
4) 판상절리와 박리
5) 다각형균열(거북등바위)
- 주 빙하지형과 다양한 화강암 지형들 -
(1) 들어가며
(2) 비슬산의 다양한 화강암 지형들
1) 핵석(돌알, core stone)과 석비레(푸석바위, saprolite)
2) 토르(탑바위, tor)
3) 주빙하기후 지형 - 암괴류(돌강)와 애추(너덜지대,너덜겅)
4) 판상절리와 박리
5) 다각형균열(거북등바위)
본문내용
결정되기 때문이다.
4) 판상절리와 박리
판상절리란 위에서 살펴보았던 대로 화강암이 지표 깊이에 따른 압력차로 생기는 절리가 지표와 수평한 상태로 생기는 것이다. 그 모양이 마치 판을 겹쳐 놓은 것과 같다 해서 판상절리라고 한다.
박리란 양파의 껍질이 벗겨지듯이 바위의 껍질이 벗겨지는 현상을 말하는데 ‘돌껍질’이라 부르기도 한다.
판상절리와 박리의 차이는 뚜렷하게 구분되는 기준이 있는 것은 아니나 판상절리가 양호하게 발달하면 박리가 나타나는데 판상절리의 경우 그 두께가 박리에 비해 두껍고 판이 떨어지듯이 발달하나 박리는 얇은 껍질이 벗겨지듯이 발달하는 차이를 보인다.
5) 다각형균열(거북등바위)
암석 껍질의 한 종류인 거북등바위는 생긴 모습이 마치 갈라진 거북 등과도 같아 보여서 붙여진 이름이다. 거북등바위가 잘 발달하는 화강암은 석영, 장석, 운모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처럼 제각기 다른 광물로 구성된 화강암의 경우 외부 온도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예를 들면 온도가 높아지면 광물은 팽창하고 온도가 내려가면 광물은 수축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석영, 장석, 운모 등은 각각 팽창하는 비율과 수축하는 비율이 달라서 조직 간에 틈이 생긴다.
4) 판상절리와 박리
판상절리란 위에서 살펴보았던 대로 화강암이 지표 깊이에 따른 압력차로 생기는 절리가 지표와 수평한 상태로 생기는 것이다. 그 모양이 마치 판을 겹쳐 놓은 것과 같다 해서 판상절리라고 한다.
박리란 양파의 껍질이 벗겨지듯이 바위의 껍질이 벗겨지는 현상을 말하는데 ‘돌껍질’이라 부르기도 한다.
판상절리와 박리의 차이는 뚜렷하게 구분되는 기준이 있는 것은 아니나 판상절리가 양호하게 발달하면 박리가 나타나는데 판상절리의 경우 그 두께가 박리에 비해 두껍고 판이 떨어지듯이 발달하나 박리는 얇은 껍질이 벗겨지듯이 발달하는 차이를 보인다.
5) 다각형균열(거북등바위)
암석 껍질의 한 종류인 거북등바위는 생긴 모습이 마치 갈라진 거북 등과도 같아 보여서 붙여진 이름이다. 거북등바위가 잘 발달하는 화강암은 석영, 장석, 운모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처럼 제각기 다른 광물로 구성된 화강암의 경우 외부 온도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예를 들면 온도가 높아지면 광물은 팽창하고 온도가 내려가면 광물은 수축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석영, 장석, 운모 등은 각각 팽창하는 비율과 수축하는 비율이 달라서 조직 간에 틈이 생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