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안동 하회마을
2) 세계 문화유산으로서의 하회마을
(1) 세계 문화유산으로 지정된 하회마을
(2) 세계 문화유산 지정으로 인한 효과
3) 관광지로서의 하회마을
(1) 하회마을 관광의 현황
(2) 하회마을의 전통 놀이
4) 하회마을 관광객 수의 변화 추세
5) 하회마을을 보존하기 위한 안동시의 노력
(1) 하회마을의 훼손
(2) 안동시의 노력
6) 하회마을 장소 마케팅 전략에 대하여 생각해 본 것
(1) 하회마을이라는 장소를 더욱 더 알릴 수 있도록 하는 방법
(2) 하회마을 관광 수용 가능 인원 제한이 하회마을 관광에 미치는 영향
(3) 하회마을 안내 책자가 하회마을 장소에 대한 것들을 잘 반영하고 있는지 여부
<참고문헌 & 웹사이트>
2) 세계 문화유산으로서의 하회마을
(1) 세계 문화유산으로 지정된 하회마을
(2) 세계 문화유산 지정으로 인한 효과
3) 관광지로서의 하회마을
(1) 하회마을 관광의 현황
(2) 하회마을의 전통 놀이
4) 하회마을 관광객 수의 변화 추세
5) 하회마을을 보존하기 위한 안동시의 노력
(1) 하회마을의 훼손
(2) 안동시의 노력
6) 하회마을 장소 마케팅 전략에 대하여 생각해 본 것
(1) 하회마을이라는 장소를 더욱 더 알릴 수 있도록 하는 방법
(2) 하회마을 관광 수용 가능 인원 제한이 하회마을 관광에 미치는 영향
(3) 하회마을 안내 책자가 하회마을 장소에 대한 것들을 잘 반영하고 있는지 여부
<참고문헌 & 웹사이트>
본문내용
지만 골목 골목에 위치하고 있는 문화재의 위치를 잘 표시해주고 있다. 관광객들에게 문화재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2) 하회마을 관광 수용 가능 인원 제한이 하회마을 관광에 미치는 영향
하회마을을 방문했을 당시에는 평일이라서 그런지 한산한 마을의 모습을 볼 수 있었는데 하회마을을 문화재를 살펴볼 때 골목 골목에 위치해 있는 문화재가 많았고 이러한 곳은 많은 사람들이 한 번에 붐볐을 때 제대로 살펴보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었다. 하지만 안동시 측에서 동시 관람객 수용 가능 인원을 제한했다고 해서 하회마을을 방문하는 관광객 수가 급격히 줄어들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3) 하회마을 안내 책자가 하회마을 장소에 대한 것들을 잘 반영하고 있는지 여부
하회마을 안내 책자에는 안동 하회마을 현황과 관광 안내 전화번호, 하회마을 소개와 하회마을에서 볼 수 있는 놀이들과 하회마을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관광 안내도와 그에 맞는 문화재에 관한 설명이 있는데 안내 책자를 보기 전과 본 후를 비교해 보았을 때 안내 책자에 실려 있는 관광 안내도가 문화재의 위치를 찾는데 큰 도움이 되고 있다. 하회마을을 해설사의 도움이 없이 관광하는 사람들이라면 안내 책자는 관광에 꽤나 도움이 된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안내 책자 구성의 아쉬움을 말하자면 안내 책자에는 하회마을의 위치에 대한 내용이나 마을의 공간구성 -예를 들면 하회 마을에서의 중심은 어디이며, 중심에서는 어떤 것이 있고 어떤 것이 이루어지는지- 에 대한 내용이 자세하게 나와 있지 않은데 이러한 내용을 좀 더 보완한다면 처음 하회마을을 관광지 측면 뿐 아니라 마을 그 자체로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그리고 안내 책자에 나와 있는 놀이들 -예를 들면 하회별신굿탈놀이- 이 행해진다면 어디에서 행해지는지 구체적인 장소에 관한 것들을 언급한다면 더 좋은 책자가 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참고문헌 & 웹사이트>
[저서]
김홍기, 2008 문화재 지정 이후 전통마을 보존 방침과 경관 변용에 관한 연구
- 안동 하회마을을 중심으로, 대학건축학회지회연합회논문집
문태현, 이덕희, 2002 안동 하회마을의 문화관광 정책
[웹 자료]
경북일보 http://www.kyongbuk.co.kr
세계일보 http://www.segye.com
안동하회마을 www.hahoe.or.kr
통계청 www.kostat.go.kr
(2) 하회마을 관광 수용 가능 인원 제한이 하회마을 관광에 미치는 영향
하회마을을 방문했을 당시에는 평일이라서 그런지 한산한 마을의 모습을 볼 수 있었는데 하회마을을 문화재를 살펴볼 때 골목 골목에 위치해 있는 문화재가 많았고 이러한 곳은 많은 사람들이 한 번에 붐볐을 때 제대로 살펴보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었다. 하지만 안동시 측에서 동시 관람객 수용 가능 인원을 제한했다고 해서 하회마을을 방문하는 관광객 수가 급격히 줄어들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3) 하회마을 안내 책자가 하회마을 장소에 대한 것들을 잘 반영하고 있는지 여부
하회마을 안내 책자에는 안동 하회마을 현황과 관광 안내 전화번호, 하회마을 소개와 하회마을에서 볼 수 있는 놀이들과 하회마을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관광 안내도와 그에 맞는 문화재에 관한 설명이 있는데 안내 책자를 보기 전과 본 후를 비교해 보았을 때 안내 책자에 실려 있는 관광 안내도가 문화재의 위치를 찾는데 큰 도움이 되고 있다. 하회마을을 해설사의 도움이 없이 관광하는 사람들이라면 안내 책자는 관광에 꽤나 도움이 된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안내 책자 구성의 아쉬움을 말하자면 안내 책자에는 하회마을의 위치에 대한 내용이나 마을의 공간구성 -예를 들면 하회 마을에서의 중심은 어디이며, 중심에서는 어떤 것이 있고 어떤 것이 이루어지는지- 에 대한 내용이 자세하게 나와 있지 않은데 이러한 내용을 좀 더 보완한다면 처음 하회마을을 관광지 측면 뿐 아니라 마을 그 자체로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그리고 안내 책자에 나와 있는 놀이들 -예를 들면 하회별신굿탈놀이- 이 행해진다면 어디에서 행해지는지 구체적인 장소에 관한 것들을 언급한다면 더 좋은 책자가 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참고문헌 & 웹사이트>
[저서]
김홍기, 2008 문화재 지정 이후 전통마을 보존 방침과 경관 변용에 관한 연구
- 안동 하회마을을 중심으로, 대학건축학회지회연합회논문집
문태현, 이덕희, 2002 안동 하회마을의 문화관광 정책
[웹 자료]
경북일보 http://www.kyongbuk.co.kr
세계일보 http://www.segye.com
안동하회마을 www.hahoe.or.kr
통계청 www.kostat.go.kr
추천자료
조선왕조 실록에 대하여
시민운동에서 바라본 중국 역사왜곡 대응방향
공간 예술의 이해
창덕궁 답사기
창덕궁을 다녀와서
고구려사귀속문제
부천아인스월드 ( 소개 및 시장여건분석, 사례, 에듀테인먼트, 공연 이벤트문제점 등)
부천아인스월드 분석 ( 소개, 시장여건, 국내·외 사례, 공연이벤트 문제점)
일본의 인형극 가부키(歌舞伎)
(논술자료) 중국의 동북공정에 대한 대처-발해는 우리역사의 한부분이다
경주시 도경경관 이미지 조사
세종대왕릉(영릉) 탐방기 후기 완벽작성
경남 지방 일대 답사(불국사 답사)
여행의 나라 독일 [독일의 유명관광지와 축제. 관광산업현황 . 관광정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