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목차
서론
문헌고찰
분만1기, 2기 간호사정
분만 3기, 4기 간호사정
산과력, 과거력, 등등 간호과정
문헌고찰
분만1기, 2기 간호사정
분만 3기, 4기 간호사정
산과력, 과거력, 등등 간호과정
본문내용
L 2 D 0 A AA 1, SA 1
임신
횟수
분 만
년 월(유산)
분 만
형 태
분만 총
소요시간
합병증
유, 무
신 생 아
성별
체중
1
2
3
4
1997 (유산)
2003. 11. 7
2004. (유산)
2011. 7. 19
C/S
C/S
20시간
무
무
여
여
3kg
3.08kg
1) 과거 임신기간 중에 문제점이 없었는가? 없었어요.
2) 과거 산욕기간 중에 문제점이 없었는가? 없었어요.
3) 신생아에게 문제점이 없었는가? 없어요.
4) 유산경험이 있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가?
있음.
이유 : 첫 번째 자연유산은 대학 때 너무 힘들어서 하혈로 자연유산 됐어요.
두 번째 인공유산은 첫째아이 낳고 나서 바로 임신되어 병원에서 위험하다고 하여 인공유산 했어요.
Ⅴ. 현재 산과력
1. 산전 기록
1) 마지막 월경 2010. 6. 15 분만 예정일 2011. 7. 26
2) 임신기간 중 문제점이 있었는가? (합병증, 투약경험 등) 없었어요.
일 시
임신주수
체 중
혈 압
선진부/태향
자궁저부 높 이
태아심음
Fetal movement
4/20
5/25
6/22
7/13
26+1
31+1
35+1
38+1
61kg
64kg
65kg
65.35kg
123/71
130/75
121/65
129/68
-
-
-
-
-
-
-
-
138회/min
141회/min
153회/min
148회/min
+
+
+
+
3) 산전진찰 기록
4) 임상검사(검사종류, 검사일, 결과해석)
① CBC
검사
정상치
결과
임상적 의의
7/20
증가
감소
WBC
4.5-11×/ul
8.88
급성감염, 백일해
순환장애, 홍역, 외상
세균감염,
약이나 급성 백혈병 등에 의한 골수 기능저하
RBC
M:4.6-6.2×/ul
F:4.2-5.4×/ul
3.48 ↓
심한설사, 탈수, 급성약중독, 폐섬유증Secondary,
Polycythemia
빈혈, 출혈
용혈성 빈혈,
골수기능부전,
Addison's disease
Rheumatic fever
Hb
M:13.5-18.0g/dl
F:12.0-16.0g/dl
10.5 ↓
만성폐색성폐질환(COPD),
울혈성 심부전
빈혈, 임신,
간경화, 심한 출혈
갑상선 기능 항진증,
Hct
M:40-54%
F:38-47%
30.7 ↓
적혈구 과다증,
적혈구증가증,
탈수
빈혈, 백혈병,
갑상선 기능 항진증, 간경화증
PLT
150-400×/ul
209
암, 외상, 결핵,
만성백혈병,
진성 적혈구 증가증, 심장병,
류마티스관절염, 만성췌장염
알러지,
급성백혈병, 재생불량성 빈혈, 폐렴,
암화학요법중,
대형수술 후, 감염
검사명
검사일
검사결과
조직검사
2011-7-19
Fallopian tube, lefr, tubal ligation :
1. No pathologic diagnosis
2. Presence of lumen.
② 조직검사
2. 분만기록
1) 분만형태 C/Sec 진통 및 마취방법 전신마취
2) 실혈량 500ml 태반무게 500g
3) 진통 및 분만 과정 중에 문제점이 있었는가? 없었어요.
4) 신생아 : 성별 여 체중 3.08 kg
Apgar Score 1분 8 점 5분 9 점
3. 현재 투약중인 약물약품명
투약방법
적응증 및 효과
부작용
금기
H/S
1000ml
성인 1회 500 ~ 1000ml를 점적 정맥주사한다.
순환혈액량 및 조직간액의 감소시 세포외액의 보급
대량 급속 투여시 뇌부종, 폐수종, 말초의 부종이 나타날 수 있다.
젖산 혈증 환자
D/W 5%
1000ml
1회 500∼1000 mL 정맥주사한다.
탈수증 특히 수분결핍시의 수분보급
포도당 검출이 동반되는 다뇨증
저장성 탈수증 환자
수분과다상태 환자
H/D
1000ml
성인 1회 500~1,000mL를 점적 정맥주사한다.
순환혈액량 및 조직간액의 감소시 세포외액의 보급보정
대량급속투여에 의해 뇌부종, 폐부종, 말초부종이 나타날 수 있다.
고나트륨혈증 환자
수분과다상태 환자
5% D/S
1000ml
성인 1일 500~1,000mL를 2~3회 나누어 점적 정맥주사한다.
탈수증, 수술전후 등의 수분전해질 보급
대량급속투여에 의해 뇌부종, 폐부종, 말초부종, 산증이 나타날 수 있다.
수분과다상태 환자
고나트륨혈증 환자
ceftezole Na
세프테졸으로서 1일 0.5~4g(역가)을 1~2회 분할 정맥 또는 근육주사한다.
패혈증
신우신염, 방광염, 요도염
드물게 쇽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충분히 관찰하고 천명, 불쾌감, 어지러움, 변의, 발한 등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하고 적절한 처치
이 약에 의하여 쇽의 병력이 있는 환자
Ketocin
근육주사 및 정맥주사시 초회 용량은 10mg을 투여하고 유지용량으로 10~30mg을 4~6시간마다 투여한다.
중등도 및 중증의 통증에 대한 단기요법
때때로 부종, 드물게 아나필락시스, 기관지경련, 후두부종, 저혈압, 발진과 같은 과민반응, 체중증가, 발열, 감염, 무력증이 나타날 수 있다.
소화성궤양환자 또는 궤양이나 천공 전력이 있는 환자
Loxfen tab
1회 60㎎(1정) 1일 3회 경구투여한다.
수술후, 외상후 및 발치후의 소염진통.
때때로 발진, 가려움증 또는 드물게 두드러기 등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러한 증상이 나타난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한다.
소화성 궤양 환자
중증의 혈액이상 환자
Livera tab
1일 300-400mg을 3-4회 분할하여 식전 및 취침시 경구투여 한다.
소화불량, 구역, 구토, 변비 등의 증상치료
-
7세 미만 영유아
Unithergine tab
1회 0.125-0.25mg을 1일 2-4회 경구투여한다
다음의 경우 출혈의 방지 및 치료:
태반만출 후, 분만 후,유산 후 출혈, 자궁퇴축부전
구역, 구토, 복통,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임부 및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부인
고혈압, 임신중독증 환자
Agio gran
1회 6-12g을 저녁식후에 복용
단순성, 만성, 경련성 변비의 완화, 병후회복기, 임신기에 생기는 변비의 완화
드물게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난다.
장폐색 환자
위장관내의 협작증 및 연하곤란 환자
진단되지 않는 복통, 구역, 구토 환자
임신
횟수
분 만
년 월(유산)
분 만
형 태
분만 총
소요시간
합병증
유, 무
신 생 아
성별
체중
1
2
3
4
1997 (유산)
2003. 11. 7
2004. (유산)
2011. 7. 19
C/S
C/S
20시간
무
무
여
여
3kg
3.08kg
1) 과거 임신기간 중에 문제점이 없었는가? 없었어요.
2) 과거 산욕기간 중에 문제점이 없었는가? 없었어요.
3) 신생아에게 문제점이 없었는가? 없어요.
4) 유산경험이 있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가?
있음.
이유 : 첫 번째 자연유산은 대학 때 너무 힘들어서 하혈로 자연유산 됐어요.
두 번째 인공유산은 첫째아이 낳고 나서 바로 임신되어 병원에서 위험하다고 하여 인공유산 했어요.
Ⅴ. 현재 산과력
1. 산전 기록
1) 마지막 월경 2010. 6. 15 분만 예정일 2011. 7. 26
2) 임신기간 중 문제점이 있었는가? (합병증, 투약경험 등) 없었어요.
일 시
임신주수
체 중
혈 압
선진부/태향
자궁저부 높 이
태아심음
Fetal movement
4/20
5/25
6/22
7/13
26+1
31+1
35+1
38+1
61kg
64kg
65kg
65.35kg
123/71
130/75
121/65
129/68
-
-
-
-
-
-
-
-
138회/min
141회/min
153회/min
148회/min
+
+
+
+
3) 산전진찰 기록
4) 임상검사(검사종류, 검사일, 결과해석)
① CBC
검사
정상치
결과
임상적 의의
7/20
증가
감소
WBC
4.5-11×/ul
8.88
급성감염, 백일해
순환장애, 홍역, 외상
세균감염,
약이나 급성 백혈병 등에 의한 골수 기능저하
RBC
M:4.6-6.2×/ul
F:4.2-5.4×/ul
3.48 ↓
심한설사, 탈수, 급성약중독, 폐섬유증Secondary,
Polycythemia
빈혈, 출혈
용혈성 빈혈,
골수기능부전,
Addison's disease
Rheumatic fever
Hb
M:13.5-18.0g/dl
F:12.0-16.0g/dl
10.5 ↓
만성폐색성폐질환(COPD),
울혈성 심부전
빈혈, 임신,
간경화, 심한 출혈
갑상선 기능 항진증,
Hct
M:40-54%
F:38-47%
30.7 ↓
적혈구 과다증,
적혈구증가증,
탈수
빈혈, 백혈병,
갑상선 기능 항진증, 간경화증
PLT
150-400×/ul
209
암, 외상, 결핵,
만성백혈병,
진성 적혈구 증가증, 심장병,
류마티스관절염, 만성췌장염
알러지,
급성백혈병, 재생불량성 빈혈, 폐렴,
암화학요법중,
대형수술 후, 감염
검사명
검사일
검사결과
조직검사
2011-7-19
Fallopian tube, lefr, tubal ligation :
1. No pathologic diagnosis
2. Presence of lumen.
② 조직검사
2. 분만기록
1) 분만형태 C/Sec 진통 및 마취방법 전신마취
2) 실혈량 500ml 태반무게 500g
3) 진통 및 분만 과정 중에 문제점이 있었는가? 없었어요.
4) 신생아 : 성별 여 체중 3.08 kg
Apgar Score 1분 8 점 5분 9 점
3. 현재 투약중인 약물약품명
투약방법
적응증 및 효과
부작용
금기
H/S
1000ml
성인 1회 500 ~ 1000ml를 점적 정맥주사한다.
순환혈액량 및 조직간액의 감소시 세포외액의 보급
대량 급속 투여시 뇌부종, 폐수종, 말초의 부종이 나타날 수 있다.
젖산 혈증 환자
D/W 5%
1000ml
1회 500∼1000 mL 정맥주사한다.
탈수증 특히 수분결핍시의 수분보급
포도당 검출이 동반되는 다뇨증
저장성 탈수증 환자
수분과다상태 환자
H/D
1000ml
성인 1회 500~1,000mL를 점적 정맥주사한다.
순환혈액량 및 조직간액의 감소시 세포외액의 보급보정
대량급속투여에 의해 뇌부종, 폐부종, 말초부종이 나타날 수 있다.
고나트륨혈증 환자
수분과다상태 환자
5% D/S
1000ml
성인 1일 500~1,000mL를 2~3회 나누어 점적 정맥주사한다.
탈수증, 수술전후 등의 수분전해질 보급
대량급속투여에 의해 뇌부종, 폐부종, 말초부종, 산증이 나타날 수 있다.
수분과다상태 환자
고나트륨혈증 환자
ceftezole Na
세프테졸으로서 1일 0.5~4g(역가)을 1~2회 분할 정맥 또는 근육주사한다.
패혈증
신우신염, 방광염, 요도염
드물게 쇽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충분히 관찰하고 천명, 불쾌감, 어지러움, 변의, 발한 등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하고 적절한 처치
이 약에 의하여 쇽의 병력이 있는 환자
Ketocin
근육주사 및 정맥주사시 초회 용량은 10mg을 투여하고 유지용량으로 10~30mg을 4~6시간마다 투여한다.
중등도 및 중증의 통증에 대한 단기요법
때때로 부종, 드물게 아나필락시스, 기관지경련, 후두부종, 저혈압, 발진과 같은 과민반응, 체중증가, 발열, 감염, 무력증이 나타날 수 있다.
소화성궤양환자 또는 궤양이나 천공 전력이 있는 환자
Loxfen tab
1회 60㎎(1정) 1일 3회 경구투여한다.
수술후, 외상후 및 발치후의 소염진통.
때때로 발진, 가려움증 또는 드물게 두드러기 등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러한 증상이 나타난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한다.
소화성 궤양 환자
중증의 혈액이상 환자
Livera tab
1일 300-400mg을 3-4회 분할하여 식전 및 취침시 경구투여 한다.
소화불량, 구역, 구토, 변비 등의 증상치료
-
7세 미만 영유아
Unithergine tab
1회 0.125-0.25mg을 1일 2-4회 경구투여한다
다음의 경우 출혈의 방지 및 치료:
태반만출 후, 분만 후,유산 후 출혈, 자궁퇴축부전
구역, 구토, 복통,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임부 및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부인
고혈압, 임신중독증 환자
Agio gran
1회 6-12g을 저녁식후에 복용
단순성, 만성, 경련성 변비의 완화, 병후회복기, 임신기에 생기는 변비의 완화
드물게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난다.
장폐색 환자
위장관내의 협작증 및 연하곤란 환자
진단되지 않는 복통, 구역, 구토 환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