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서론
Ⅰ. 2012년 각 방송사들의 총 파업 사태 원인
• 본론
Ⅱ. 각 방송사들의 파업 과정
1)MBC
2)KBS
3)YTN
4)각 방송사들의 파업, 제작거부 동향
Ⅲ. 총 파업의 진실
1)각 방송사들의 총파업, 정당화 될 수 있는가?
가)노조에서 바라보는 관점
나)회사에서 바라보는 관점
다)시청자들의 바라보는 관점
2)장기간 파업으로 인한 방송사들의 손해(광고, 시청률)
가)노조 입장
나)회사 입장
Ⅳ. 잇따른 방송사 파업의 시발점
• 결과
Ⅴ. 총파업에 대한 근본적인 원인과 해결책
Ⅵ. 총파업에 대한 나의 생각참고자료
Ⅰ. 2012년 각 방송사들의 총 파업 사태 원인
• 본론
Ⅱ. 각 방송사들의 파업 과정
1)MBC
2)KBS
3)YTN
4)각 방송사들의 파업, 제작거부 동향
Ⅲ. 총 파업의 진실
1)각 방송사들의 총파업, 정당화 될 수 있는가?
가)노조에서 바라보는 관점
나)회사에서 바라보는 관점
다)시청자들의 바라보는 관점
2)장기간 파업으로 인한 방송사들의 손해(광고, 시청률)
가)노조 입장
나)회사 입장
Ⅳ. 잇따른 방송사 파업의 시발점
• 결과
Ⅴ. 총파업에 대한 근본적인 원인과 해결책
Ⅵ. 총파업에 대한 나의 생각참고자료
본문내용
방송사 총 파업 분석 및 결과
Ⅰ.2012년 각 방송사들의 총 파업 사태 원인
┗━━━━━━━━━━─────────…
1. 2012년 1월 25일, MBC 방송국 기자들이 뉴스 제작을 거부
·01월 30일 : 본격적인 파업에 돌입
· 03월 12일 : 전국 18곳의 MBC 지역 노조까지 총파업에 가세, 장기적인 연대파업으로 확대
2. MBC 총 파업 사태의 이유
·뉴스 공정성 회복을 위한 보도 본부장과 보도국장의 사진 사퇴 요구
·공정 방송 실현과 MBC 김재철 사장의 퇴진 등 인적 쇄신을 요구 조건을 내 걸음
-부패한 현 정권의 편에 서서 뉴스보도의 내용을 감시 ·통제하여 시청자들의 눈과 귀를 막고 있는 간부급 인사들을 지목 이들의 책임을 추궁
3. MBC 총 파업 사태에 대한 사측 입장
·명분 없는 정치 파업일 뿐이며, 이는 분명한 불법 파업이라는 입장
·사내 규정에 따라 불법 파업에 동참하는 모든 직원에 대해 무노동, 무임금을 적용
Ⅰ.2012년 각 방송사들의 총 파업 사태 원인
┗━━━━━━━━━━─────────…
≪ 사 진 ≫
▲ 서울 종로구 보신간 앞에서 열린 MBC, KBS, TYN 방송 3사 공동파업 선포식
출처: 경향신문
Ⅱ. 각 방송사들의 파업 과정
┗━━━━━━━━━━─────────…
1)MBC
· 김재철 사장 부임 후:
MBC 뉴스의 보도가 불공정하고 굉장히 편파적이라는 비판을 자주 받음.
·평균 시청률, 신뢰도 감소:
탐사보도 프로그램이 연달아 폐지되면서 보도 기능이 부실해졌다는 지적을 받음.
·연초< 뉴스 개선안> 제안:
근본적인 해결책을 기대할 수 없다고 판단, 김재철 사장이 임명한 보도 본부장과 보도 국장의 사퇴를 요구.
·노조 vs 사측 갈등 본격화:
1월 25일: 제작 거부 돌입
1월 30일: 김재철 사장의 퇴진요구
1월 19일~27일: 파업 찬반 투표 진행
3월 12일: 오전 6시부터 파업 돌입
2) KBS
·MBC에 이은 파업 돌입:
3월 2일 00시를 기해 KBS기자회를 시작으로 제작거부에 들어감.2012년 3월 6일 오전 5시부터 총파업에 돌입.
· 기치를 내걸음:
부당징계, 막장인사 분쇄 및 김인규 사장 퇴진을 목표로 파업에 들어감.
·사측 입장:
” 김 사장 퇴진과 임원 철회를 요구하는 불법파업에 대해서는 법과 사규에 따라 엄정하게 대처하겠다”라는 입장
3) YTN
·노조 찬반 투표:
MBC, KBS에 이어 보도전문채널인 YTN도 노조의 파업 찬반 투표 가결.
2월 23~29일 노조원 368명을 대상으로 실시.
317명이 참여해 208명이 찬섬함으로 가결, 파업에 돌입함.
·공정방송 회복이라는 점 강조:
해직자 복직을 가로막고 있는 배석규 사장은 연임 자격이 없다는 입장.
공정방송 투쟁 과정에서 해직된 6명이 돌아오는게 곧 공정방송 회복이라는 점 강조.
3월 8일부터 사흘간 파업을 벌이면서 3개 방송사가 동시에 파업을 벌이는 초유의 상황이 벌어짐.
Ⅰ.2012년 각 방송사들의 총 파업 사태 원인
┗━━━━━━━━━━─────────…
1. 2012년 1월 25일, MBC 방송국 기자들이 뉴스 제작을 거부
·01월 30일 : 본격적인 파업에 돌입
· 03월 12일 : 전국 18곳의 MBC 지역 노조까지 총파업에 가세, 장기적인 연대파업으로 확대
2. MBC 총 파업 사태의 이유
·뉴스 공정성 회복을 위한 보도 본부장과 보도국장의 사진 사퇴 요구
·공정 방송 실현과 MBC 김재철 사장의 퇴진 등 인적 쇄신을 요구 조건을 내 걸음
-부패한 현 정권의 편에 서서 뉴스보도의 내용을 감시 ·통제하여 시청자들의 눈과 귀를 막고 있는 간부급 인사들을 지목 이들의 책임을 추궁
3. MBC 총 파업 사태에 대한 사측 입장
·명분 없는 정치 파업일 뿐이며, 이는 분명한 불법 파업이라는 입장
·사내 규정에 따라 불법 파업에 동참하는 모든 직원에 대해 무노동, 무임금을 적용
Ⅰ.2012년 각 방송사들의 총 파업 사태 원인
┗━━━━━━━━━━─────────…
≪ 사 진 ≫
▲ 서울 종로구 보신간 앞에서 열린 MBC, KBS, TYN 방송 3사 공동파업 선포식
출처: 경향신문
Ⅱ. 각 방송사들의 파업 과정
┗━━━━━━━━━━─────────…
1)MBC
· 김재철 사장 부임 후:
MBC 뉴스의 보도가 불공정하고 굉장히 편파적이라는 비판을 자주 받음.
·평균 시청률, 신뢰도 감소:
탐사보도 프로그램이 연달아 폐지되면서 보도 기능이 부실해졌다는 지적을 받음.
·연초< 뉴스 개선안> 제안:
근본적인 해결책을 기대할 수 없다고 판단, 김재철 사장이 임명한 보도 본부장과 보도 국장의 사퇴를 요구.
·노조 vs 사측 갈등 본격화:
1월 25일: 제작 거부 돌입
1월 30일: 김재철 사장의 퇴진요구
1월 19일~27일: 파업 찬반 투표 진행
3월 12일: 오전 6시부터 파업 돌입
2) KBS
·MBC에 이은 파업 돌입:
3월 2일 00시를 기해 KBS기자회를 시작으로 제작거부에 들어감.2012년 3월 6일 오전 5시부터 총파업에 돌입.
·
부당징계, 막장인사 분쇄 및 김인규 사장 퇴진을 목표로 파업에 들어감.
·사측 입장:
” 김 사장 퇴진과 임원 철회를 요구하는 불법파업에 대해서는 법과 사규에 따라 엄정하게 대처하겠다”라는 입장
3) YTN
·노조 찬반 투표:
MBC, KBS에 이어 보도전문채널인 YTN도 노조의 파업 찬반 투표 가결.
2월 23~29일 노조원 368명을 대상으로 실시.
317명이 참여해 208명이 찬섬함으로 가결, 파업에 돌입함.
·공정방송 회복이라는 점 강조:
해직자 복직을 가로막고 있는 배석규 사장은 연임 자격이 없다는 입장.
공정방송 투쟁 과정에서 해직된 6명이 돌아오는게 곧 공정방송 회복이라는 점 강조.
3월 8일부터 사흘간 파업을 벌이면서 3개 방송사가 동시에 파업을 벌이는 초유의 상황이 벌어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