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와 교육] 「한국인의 일본사」가 바라 보는 일본의 문화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한국인의 일본사」가 바라 보는 일본의 문화

 제 1장 일본사의 여명
 제 2장 한반도 문명의 도래, 그리고 국가의 성립
 제 3장 고대 국가의 성립과 와해, 그리고 열도라는 위치
 제 4장 일본 고대의 세계 - 한국과의 비교
 제 5장 사무라이의 역사와 성격
 제 6장 사무라이 문화
 제 7장 근대의 성공, 제국의 승리
 제 8장 전쟁의 역사와 천황
 제 9장 일본 땅의 조선인, 재일동포
 제 10장 현대 일본 사회와 전통
 제 11장 21세기 전환기의 전망과 대응
 제 12장 신도와 불교
 제 13장 신도와 유교
 제 14장 일본 사회를 관통하는 신도

본문내용

교, 불교와 유교가 신도와 결합되어 우리나라나 중국과는 다른 모습으로 발전하는 과정을 살펴보고 그 과정 속에서 앞서 살펴본 일본의 특징들을 다시 정리하고 있다.
불교는 일본의 신도와 함께 결합되면서 부처도 일본의 여러 신 중에 하나가 되었다. 주술적 의미가 불교에서 강해지고 불교를 관통하는 최고의 원리가 일본의 불교에서는 대체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결국 일본의 불교는 장례식, 조상 숭배, 주술적 기도처럼 기존의 신도적 의례를 대신하여 각종 종교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로써 경제 이익을 사원 경영의 제원으로 돌리는 일종의 비지니스 조직으로 살아남았고 신도를 보완하는 기능을 담당하여 일본 사회에서 막강한 위치를 확보하였다.
제 13장 신도와 유교
유교도 불교와 마찬가지로 신도의 강한 영향 아래로 흡수되는 과정을 겪는다. 게다가 일본의 유교에서는 불교의 경우보다도 더 신도의 성격을 명확히 드러나기 때문에, 일본 유교의 발전과정을 살피며 신도의 본질을 이해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일본에서 유교는 우리나라나 중국에서처럼 하늘과 같은 최고의 원리를 향하기보다는 유교를 사회 안정의 도구로 사용하는 경향이 강하다.
제 14장 일본 사회를 관통하는 신도
일본의 불교와 유교는 신도라는 그릇에 맞추어, 철학성이 탈락되고 일본만의 불교와 유교가 탄생했다. 신도는 사전적인 정의로 설명할 수 없는 일본의 정치, 문화 가치관 등에 강력히 작용하는 우리나라의 한과 같은 어떠한 정신이자 가치이다. 신도를 이해하고 일본의 역사, 사회, 문화를 다른 보편적 역사와 비교하며 살펴봤을 때, 일본의 문화를 더욱 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 가격2,1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2.05.15
  • 저작시기2009.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462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