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한국인의 일본사」가 바라 보는 일본의 문화
제 1장 일본사의 여명
제 2장 한반도 문명의 도래, 그리고 국가의 성립
제 3장 고대 국가의 성립과 와해, 그리고 열도라는 위치
제 4장 일본 고대의 세계 - 한국과의 비교
제 5장 사무라이의 역사와 성격
제 6장 사무라이 문화
제 7장 근대의 성공, 제국의 승리
제 8장 전쟁의 역사와 천황
제 9장 일본 땅의 조선인, 재일동포
제 10장 현대 일본 사회와 전통
제 11장 21세기 전환기의 전망과 대응
제 12장 신도와 불교
제 13장 신도와 유교
제 14장 일본 사회를 관통하는 신도
제 1장 일본사의 여명
제 2장 한반도 문명의 도래, 그리고 국가의 성립
제 3장 고대 국가의 성립과 와해, 그리고 열도라는 위치
제 4장 일본 고대의 세계 - 한국과의 비교
제 5장 사무라이의 역사와 성격
제 6장 사무라이 문화
제 7장 근대의 성공, 제국의 승리
제 8장 전쟁의 역사와 천황
제 9장 일본 땅의 조선인, 재일동포
제 10장 현대 일본 사회와 전통
제 11장 21세기 전환기의 전망과 대응
제 12장 신도와 불교
제 13장 신도와 유교
제 14장 일본 사회를 관통하는 신도
본문내용
교, 불교와 유교가 신도와 결합되어 우리나라나 중국과는 다른 모습으로 발전하는 과정을 살펴보고 그 과정 속에서 앞서 살펴본 일본의 특징들을 다시 정리하고 있다.
불교는 일본의 신도와 함께 결합되면서 부처도 일본의 여러 신 중에 하나가 되었다. 주술적 의미가 불교에서 강해지고 불교를 관통하는 최고의 원리가 일본의 불교에서는 대체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결국 일본의 불교는 장례식, 조상 숭배, 주술적 기도처럼 기존의 신도적 의례를 대신하여 각종 종교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로써 경제 이익을 사원 경영의 제원으로 돌리는 일종의 비지니스 조직으로 살아남았고 신도를 보완하는 기능을 담당하여 일본 사회에서 막강한 위치를 확보하였다.
제 13장 신도와 유교
유교도 불교와 마찬가지로 신도의 강한 영향 아래로 흡수되는 과정을 겪는다. 게다가 일본의 유교에서는 불교의 경우보다도 더 신도의 성격을 명확히 드러나기 때문에, 일본 유교의 발전과정을 살피며 신도의 본질을 이해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일본에서 유교는 우리나라나 중국에서처럼 하늘과 같은 최고의 원리를 향하기보다는 유교를 사회 안정의 도구로 사용하는 경향이 강하다.
제 14장 일본 사회를 관통하는 신도
일본의 불교와 유교는 신도라는 그릇에 맞추어, 철학성이 탈락되고 일본만의 불교와 유교가 탄생했다. 신도는 사전적인 정의로 설명할 수 없는 일본의 정치, 문화 가치관 등에 강력히 작용하는 우리나라의 한과 같은 어떠한 정신이자 가치이다. 신도를 이해하고 일본의 역사, 사회, 문화를 다른 보편적 역사와 비교하며 살펴봤을 때, 일본의 문화를 더욱 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불교는 일본의 신도와 함께 결합되면서 부처도 일본의 여러 신 중에 하나가 되었다. 주술적 의미가 불교에서 강해지고 불교를 관통하는 최고의 원리가 일본의 불교에서는 대체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결국 일본의 불교는 장례식, 조상 숭배, 주술적 기도처럼 기존의 신도적 의례를 대신하여 각종 종교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로써 경제 이익을 사원 경영의 제원으로 돌리는 일종의 비지니스 조직으로 살아남았고 신도를 보완하는 기능을 담당하여 일본 사회에서 막강한 위치를 확보하였다.
제 13장 신도와 유교
유교도 불교와 마찬가지로 신도의 강한 영향 아래로 흡수되는 과정을 겪는다. 게다가 일본의 유교에서는 불교의 경우보다도 더 신도의 성격을 명확히 드러나기 때문에, 일본 유교의 발전과정을 살피며 신도의 본질을 이해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일본에서 유교는 우리나라나 중국에서처럼 하늘과 같은 최고의 원리를 향하기보다는 유교를 사회 안정의 도구로 사용하는 경향이 강하다.
제 14장 일본 사회를 관통하는 신도
일본의 불교와 유교는 신도라는 그릇에 맞추어, 철학성이 탈락되고 일본만의 불교와 유교가 탄생했다. 신도는 사전적인 정의로 설명할 수 없는 일본의 정치, 문화 가치관 등에 강력히 작용하는 우리나라의 한과 같은 어떠한 정신이자 가치이다. 신도를 이해하고 일본의 역사, 사회, 문화를 다른 보편적 역사와 비교하며 살펴봤을 때, 일본의 문화를 더욱 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추천자료
일본문화수용에 대하여...
일본식문화와 영양
일본문화 - 드라마의 모든 것
2009년 2학기 일본대중문화론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일본문화가 한국에 미친 영향
일본문화의 이해
[일본전통문화] 영화 ”한밤중의 야지상 기타상“을 통해 본 에도시대
(A+자료) 일본 문화의 숨은 形을 읽고 줄거리 요약 및 감상문 및 느낀점과 나의소감 분석
일본의 장례문화 - 장례문화,일본의장례산업현황,한국과일본의장례문화비교.ppt
애니메이션 ≪이누야샤 (犬夜叉/Inuyasha)≫가 미치는 일본문화 인지효과에 대한 사례 분석
[일본문화의 이해 과제] 일본의 화과자(わがし)와 한국의 한과
[일본사회문화의 이해 공통 A형]과제물 - 루스 베네딕트의 『국화와 칼』(여러 출판사에서 번...
일본대중문화의 역사적 변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