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 험 값
(2) 계산 및 결과없음.
(3) 결 론
(4) 토 의
오실로스코프의 사용법
1.목 적
2. 장치 및 기구
3. 이 론
4. 실험방법
(2) 계산 및 결과없음.
(3) 결 론
(4) 토 의
오실로스코프의 사용법
1.목 적
2. 장치 및 기구
3. 이 론
4. 실험방법
본문내용
에 정류기 각 부품의 기능을 살펴보자.
* 변압기 : FARADAY의 전자기 유도 원리에 의하여 교류전압의 세기를 낮추거나 크게 한다. 전압의 변화는 1차와 2차 양단에 감. 코일 수에 비례한다. 예로 200VOLT가 걸린 1차에 감. 코일 수가 1,000회일 때 500회 코일이 감. 2차에서 나오는 전압기를100VOLT 이다. 반대로 2차에 감. 코일의 수를 1차에 감. 수보다 크게 하면 전압이 크게 된다.
이러한 원리로 발전소에서 발전된 전기를 송전할 때는 저항열에 의한 전력손실을 줄이기 위하여 전압을 144,000VOLT까지 높게 승압시켜서 보낸다. 원리는 변압기에서 소모되는 열손실을 무시하면 1차 코일에서 2차 코일로 전달되는 전력의 크기는 같다. 전력은 전압과 전류의 곱이므로 전압을 높이면 전류가 작아진다. 송전선의 전기 저항에 발생하는 열은
Q= 이므로 전류의 세기가 작아지면 열손실은 줄어든다.
* 다이오드 : 가장 기본적인 반도체 소자로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 소자의 접합(junction)으로 구성되어있다. P형 반도체는 원자 외곽의 전자준위가 차려면 전자가 하나 부족한 상태로 +이온의 Hole이 전기를 나르는 carrier 로 동작한다. 반면 N형 반도체는 꽉 찬 상태에서 1개의 전자가 남는 상태로 전자가 - 전하를 나르는 CARRIER로 동작한다. 이러한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를 접합한 것이 pn접합(pn junction)으로 가장기본적인 반도체 소자로 다이오드라고 하고 아래의 기호로 표시한다.
기본적인 기능은 p극에 +전압, n극에 -전압이 가해지는 회로(순방향)가 구성이 되면 다이오드의 전기저항이 없게 되어 연결된 상태가 되나, 반대로 p극에 - 전압,n극에 +전압( 역방향)이 걸리면 다이오드의 전기저항이 무한대가 되어서 회로가 끊어진 것과 같이 된다. 한마디로 표현하면 다이오드에 걸리는 p극의 전압이 n극의 전압보다 높으면 연결되어 전류가 흐르고, 낮으면 저항값이 무한대가 되어 회로가 단선이 되는 기능을 갖는 소자이다.
* 축전기 : 축전기는 전하를 저장하는 소자로 축전기에 걸리는 전압이 높으면 전하를 저장하였다가 전압이 떨어지면 저장된 전하가 빠져나가 감소하는 전류의 흐름을 회복시키는 기능을 지녔다.
다음의 [그림 7-1]은 정류 회로기의 회로도이다. 이 회로에서 변압기 대신에 저주파 발진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림의 회로에서 T2 T2\' (점선 부분)를 끊어서 다이오드를 하나만 사용하면 반파 정류회로가 되고, t2 t2\'를 케이블로 연결시키면 두 개의 다이오드가 동시에 사용되며 이는 전파 정류회로가 된다.
1) 반파 정류 특성 측정
(1) [그림 7-1]과 같이 구성된 정류 회로기를 준비하여 전원에 연결한다. 이때 오실로스코프에 BNC 코드를 CH1에 연결하여 사용한다.
(2) T2 , T2\' 를 끊고 (반파정류) 오실로스코프의 BNC 코드(PROBE, 탐침)의 검은색 집게를 G에 연결한다.
(3) BNC 코드의 PROBE TIP을 T1에 연결한 후 교류 파형을 그린다. VOLT/DIV와 TIME/DIV를 이용하여 파형이 잘 보일 수 있도록 조절한 후 그린다.
(4) 이 때 최대전압 VP를 읽어 기록한다. VOLTS/DIV 가 가리키는 눈금값이 스크린의 정사각형 표시 한 칸의 값이므로 이를 이용하여 읽는다.
(5) PROBE TIP을 T2에 연결한 후 파형을 그린다.(T1와 차이점을 잘 분석한다.)
(6) t3에 연결하고 s1과 S2를 닫은 축전기 C1과 C2가 작동하게 한 후 의 파형을 그린다. 그리고 직류전압을 읽어 기록한 후 교류 최대전압 VP와 비교해 본다.
2) 전파 정류 특성 측정
(1) T2 T2\'을 주어진 연결선을 이용하여 연결하고 (전파정류:다이오드 두 개를 동시에 사용) 오실로스코프의 BNC 코드 (PROBE,탐침)의 검은색 집게를 G에 연결한다.
(2) 위의 반파 정류 특성 실험 과정(3)~(7)를 반복하여 실행한다.
3) 주파수 특성 측정
(1) 실험 1),2)의 과정에서 시간 축인 x축의 특성을 이용하여 교류신호의 주파수를 측정한다.
(2) TIME/DIV를 이용하여 한 파장의 주기 T를 읽는다. TIME/DIV가 가리키는 눈금값이 스크린의 정사각형 한 칸의 값이므로 이를 이용하여 주기를 읽을 수 있다.
(3) 그래프상의 주기를 측정하여 교류 파형의 주파수가 60HZ임을 확인하다. 60HZ라면 파형의 주기가 T=1/60sec =16.7msec 임을 비교한다.
일반물리학실험레포트
-오실로스코프의 사용법-
* 변압기 : FARADAY의 전자기 유도 원리에 의하여 교류전압의 세기를 낮추거나 크게 한다. 전압의 변화는 1차와 2차 양단에 감. 코일 수에 비례한다. 예로 200VOLT가 걸린 1차에 감. 코일 수가 1,000회일 때 500회 코일이 감. 2차에서 나오는 전압기를100VOLT 이다. 반대로 2차에 감. 코일의 수를 1차에 감. 수보다 크게 하면 전압이 크게 된다.
이러한 원리로 발전소에서 발전된 전기를 송전할 때는 저항열에 의한 전력손실을 줄이기 위하여 전압을 144,000VOLT까지 높게 승압시켜서 보낸다. 원리는 변압기에서 소모되는 열손실을 무시하면 1차 코일에서 2차 코일로 전달되는 전력의 크기는 같다. 전력은 전압과 전류의 곱이므로 전압을 높이면 전류가 작아진다. 송전선의 전기 저항에 발생하는 열은
Q= 이므로 전류의 세기가 작아지면 열손실은 줄어든다.
* 다이오드 : 가장 기본적인 반도체 소자로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 소자의 접합(junction)으로 구성되어있다. P형 반도체는 원자 외곽의 전자준위가 차려면 전자가 하나 부족한 상태로 +이온의 Hole이 전기를 나르는 carrier 로 동작한다. 반면 N형 반도체는 꽉 찬 상태에서 1개의 전자가 남는 상태로 전자가 - 전하를 나르는 CARRIER로 동작한다. 이러한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를 접합한 것이 pn접합(pn junction)으로 가장기본적인 반도체 소자로 다이오드라고 하고 아래의 기호로 표시한다.
기본적인 기능은 p극에 +전압, n극에 -전압이 가해지는 회로(순방향)가 구성이 되면 다이오드의 전기저항이 없게 되어 연결된 상태가 되나, 반대로 p극에 - 전압,n극에 +전압( 역방향)이 걸리면 다이오드의 전기저항이 무한대가 되어서 회로가 끊어진 것과 같이 된다. 한마디로 표현하면 다이오드에 걸리는 p극의 전압이 n극의 전압보다 높으면 연결되어 전류가 흐르고, 낮으면 저항값이 무한대가 되어 회로가 단선이 되는 기능을 갖는 소자이다.
* 축전기 : 축전기는 전하를 저장하는 소자로 축전기에 걸리는 전압이 높으면 전하를 저장하였다가 전압이 떨어지면 저장된 전하가 빠져나가 감소하는 전류의 흐름을 회복시키는 기능을 지녔다.
다음의 [그림 7-1]은 정류 회로기의 회로도이다. 이 회로에서 변압기 대신에 저주파 발진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림의 회로에서 T2 T2\' (점선 부분)를 끊어서 다이오드를 하나만 사용하면 반파 정류회로가 되고, t2 t2\'를 케이블로 연결시키면 두 개의 다이오드가 동시에 사용되며 이는 전파 정류회로가 된다.
1) 반파 정류 특성 측정
(1) [그림 7-1]과 같이 구성된 정류 회로기를 준비하여 전원에 연결한다. 이때 오실로스코프에 BNC 코드를 CH1에 연결하여 사용한다.
(2) T2 , T2\' 를 끊고 (반파정류) 오실로스코프의 BNC 코드(PROBE, 탐침)의 검은색 집게를 G에 연결한다.
(3) BNC 코드의 PROBE TIP을 T1에 연결한 후 교류 파형을 그린다. VOLT/DIV와 TIME/DIV를 이용하여 파형이 잘 보일 수 있도록 조절한 후 그린다.
(4) 이 때 최대전압 VP를 읽어 기록한다. VOLTS/DIV 가 가리키는 눈금값이 스크린의 정사각형 표시 한 칸의 값이므로 이를 이용하여 읽는다.
(5) PROBE TIP을 T2에 연결한 후 파형을 그린다.(T1와 차이점을 잘 분석한다.)
(6) t3에 연결하고 s1과 S2를 닫은 축전기 C1과 C2가 작동하게 한 후 의 파형을 그린다. 그리고 직류전압을 읽어 기록한 후 교류 최대전압 VP와 비교해 본다.
2) 전파 정류 특성 측정
(1) T2 T2\'을 주어진 연결선을 이용하여 연결하고 (전파정류:다이오드 두 개를 동시에 사용) 오실로스코프의 BNC 코드 (PROBE,탐침)의 검은색 집게를 G에 연결한다.
(2) 위의 반파 정류 특성 실험 과정(3)~(7)를 반복하여 실행한다.
3) 주파수 특성 측정
(1) 실험 1),2)의 과정에서 시간 축인 x축의 특성을 이용하여 교류신호의 주파수를 측정한다.
(2) TIME/DIV를 이용하여 한 파장의 주기 T를 읽는다. TIME/DIV가 가리키는 눈금값이 스크린의 정사각형 한 칸의 값이므로 이를 이용하여 주기를 읽을 수 있다.
(3) 그래프상의 주기를 측정하여 교류 파형의 주파수가 60HZ임을 확인하다. 60HZ라면 파형의 주기가 T=1/60sec =16.7msec 임을 비교한다.
일반물리학실험레포트
-오실로스코프의 사용법-
키워드
추천자료
[일반물리학실험] 강체의 단진동 예비보고서
[일반물리학실험] 전류와자기장 예비레포트
[일반물리학실험]쿨롱의법칙
[일반물리학실험] 취트스톤 브릿지를 이용한 저항 측정
[일반물리학실험] 전기 기초 실험 -예비-
[일반물리학실험] 함수발생기 결과 리포트
[일반물리학실험] 수조를 이용한 등전위선 측정
[일반물리학실험] R
[일반물리학] 힘의 평형 실험 - 힘의 합성대를 이용하여 몇 개의 힘이 평형이 되는 조건을 연...
[일반물리학실험] 포물선 운동(Projectile Motion) : 포물선 운동을 수평운동과 수직운동으로...
일반물리학실험 결과 - 자유낙하의 가속
[일반물리학실험] 탄도 궤도 실험 - 실험목적, 기초원리, 소요도구, 실험방법 및 결과, 분석,...
일반물리학실험 결과보고서 - 전류저울
일반물리학실험 결과 - 이차원 충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