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지석묘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엄격한 계급체계는 나타나지 않지만 도둑질한 자를 종으로 삼는다는 조항으로부터도 일정 수준의 계급은 있었음을 미뤄볼 수도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한국의 지석묘 연구가 어려운 이유, 앞으로 지석묘 연구에 필요한 관점에 대해 개인적 생각을 덧붙여 논했고, 본인 나름의 분석을 통해 지석묘 사회가 계급 사회였다는 점을 역설했다. 비록 전공하는 분야가 아니라 관련 지식이 적었던 탓에 어려움이 있었지만 관련된 글을 읽고 생각을 덧붙이려 노력하니 글을 써나갈 수 있었다. 그리고 지석묘에 대한 표면적이고도 단편적인 지식만 알고 거기서 사고를 멈추는 것이 아니라, 지석묘의 이면에 담긴 당시의 사람들의 모습을 파악하려고 노력할 때 진정한 안목을 갖출 수 있음을 깨닫게 되었다. 비록 우리는 지석묘에 대한 모든 것을 규명할 수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현재와 과거를 이어주는 ‘징검다리’인 지석묘를 통해 과거와 끊임없이 소통함으로써 우리 조상들이 한반도에 뿌리내리기 시작한 문화의 원류를 좀 더 상세히 이해할 날이 오기를 기원해 본다.
참고문헌
강봉원, 2008, 『한국 고고학의 일 방향』, 서울: 학연문화사.
최정필, 2010, 『고고학과 한국상고사의 제문제』, 서울: 주류성.
  • 가격3,36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2.10.23
  • 저작시기2012.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471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