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운동과 1920년대 민족해방운동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1) 무단통치

① 식민통치기구 정비

② 수탈체제 확립

③ 민중의 처지

2) 1910년대 민족해방운동

① 국내

② 국외

3) 3·1운동

① 배경

② 전개

③ 의의

2. 1920년대 민족해방운동

1) 문화정치

2) 부르주아 민족주의 운동

① 국내

② 국외

3) 사회주의운동

4) 신간회운동

본문내용

민족주의세력이 우세한 중앙본부는 합법성을 지키는데 힘을 쏟아 구체적인 활동을 하지 못했지만, 사회주의세력이 우세한 지회는 지방의 노동·농민운동과 크고 작은 사건에 직접 개입하여 민중 이익을 대변하고 일제의 탄압과 수탈에 맞섬.
○ 1929.11.3. 광주학생운동이 일어나자 항일열기를 전국 형태의 시위로 확산시키려한 ‘민중대회’를 열려고 하자 일제가 간부 44명을 체포해 무산. 이후 신간회의 노선이 빠르게 우경화되어 자치운동파와 손잡자고 주장. 코민테른도 중국의 국공합작이 깨지자 식민지 반제민족통일전선에 부정적 인식을 갖게 됨. 신간회 해소론의 배경.
* 해소론자들은 신간회를 만든 근본 정신인 비타협주의가 무시되고 도리어 개향화했다고 주장. 민중의 계급이익을 옹호할 수 없고, 강령도 구체적 운동지침이 없어 투쟁의식을 말살시키고 있다고 함. 1931.5.16. 전체대회를 열어 해소 결의안이 통과.
→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진영이 함께 일제에 대항할 수 있는 유일한 대중적 합법공간을 스스로 허물어뜨린 것은 잘못. 비타협적 민족주의세력이 구심점을 잃고 그 뒤 분산·고립되어 일부가 친일파가 되는 원인 됨.
→ 최초의 반일민족통일전선이라는 역사적 의의를 가짐.
  • 가격9,66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2.10.23
  • 저작시기2012.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471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