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스파게티 구조물의 제한
2. 스파게티 구조물의 설계 컨셉
3. 스파게티 구조물의 설계 과정
4. 설계도
5. 실험결과
2. 스파게티 구조물의 설계 컨셉
3. 스파게티 구조물의 설계 과정
4. 설계도
5. 실험결과
본문내용
중앙에 위치한 기둥을 견고하게 제작을 했고 주기둥은 면적이 넓을수록 더 많이 버틴다고 생각하여 바깥쪽 기둥에 붙여 제작해서인지 많은 하중을 버틸 수 있었던 것 같다. 그리고 트러스 구조물이 힘을 분산시킬 것이라고 생각하여 주기둥에 트러스 구조물을 추가했던 점도 하중을 버티는데 큰 역할을 했다고 생각한다.
- 못했던 점 -
스파게티 타워 구조물을 제작하면서 처음 설계를 했던대로 제작을 하였으나 면의 두께를 생각하지 못하고 제작을 해서인지 약간의 오차가 발생하게 되어 급하게 수정을 해서 제작을 해서 크기도 예상했던 것보다 커지고 무게도 더 나가게 되어서 완전한 구조물이 되지 못한 것 같다. 그리고 트러스를 붙일 때 안쪽 구조물과 바깥쪽 구조물의 연결이 튼튼하지 못했다. 그리고 제작 간 온도차이로 인해 스파게티 면이 깨지는 현상이 일어나기도 했다.
- 개선 사항 -
트러스 구조물을 붙일 때 각도를 예상했던 것보다 더 주게 되면 더 안정적일 것이라고 생각된다. 그리고 구조물을 제작할 때는 일정한 장소에서 제작 및 보관을 한다면 깨지는 현상이 덜할 것이다. 부재를 만들 때 좀 더 정밀하게 만들어서 구조물이 평평해진다면 더욱더 많은 하중을 버틸 수 있을 것이다.
- 못했던 점 -
스파게티 타워 구조물을 제작하면서 처음 설계를 했던대로 제작을 하였으나 면의 두께를 생각하지 못하고 제작을 해서인지 약간의 오차가 발생하게 되어 급하게 수정을 해서 제작을 해서 크기도 예상했던 것보다 커지고 무게도 더 나가게 되어서 완전한 구조물이 되지 못한 것 같다. 그리고 트러스를 붙일 때 안쪽 구조물과 바깥쪽 구조물의 연결이 튼튼하지 못했다. 그리고 제작 간 온도차이로 인해 스파게티 면이 깨지는 현상이 일어나기도 했다.
- 개선 사항 -
트러스 구조물을 붙일 때 각도를 예상했던 것보다 더 주게 되면 더 안정적일 것이라고 생각된다. 그리고 구조물을 제작할 때는 일정한 장소에서 제작 및 보관을 한다면 깨지는 현상이 덜할 것이다. 부재를 만들 때 좀 더 정밀하게 만들어서 구조물이 평평해진다면 더욱더 많은 하중을 버틸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