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⓵ 당뇨병(질환)이란?
1) 정의
2) 원인
3) 종류
❶ 제 1형 당뇨병
❷ 제 2형 당뇨병
❸ 임신성 당뇨병
❹ 췌장(=이자)제거 당뇨병
4) 증상
❶ 당뇨병의 증상
❷ 대혈관 합병증 / 미세혈관 합병증
5) 진단
6) 검사
7) 치료
❶ 식이요법
❷ 인슐린요법
❸ 운동요법
❹ 생활관리
8) 예방방법
⓶ 비만이란?
1) 정의
2) 원인
3) 치료
1) 정의
2) 원인
3) 종류
❶ 제 1형 당뇨병
❷ 제 2형 당뇨병
❸ 임신성 당뇨병
❹ 췌장(=이자)제거 당뇨병
4) 증상
❶ 당뇨병의 증상
❷ 대혈관 합병증 / 미세혈관 합병증
5) 진단
6) 검사
7) 치료
❶ 식이요법
❷ 인슐린요법
❸ 운동요법
❹ 생활관리
8) 예방방법
⓶ 비만이란?
1) 정의
2) 원인
3) 치료
본문내용
무게가 차지하는 비율을 백분율(%)로 나타내며, 정상치는 성인 남자의 경우 15∼18%, 여자의 경우 20∼25%다. 일반적으로 남자의 경우 25%이상, 여자의 경우 30%이상을 비만으로 판정한다. 비만의 기준 중 하나가 표준체중 백분율이다. 본인의 키에서 100을 빼 0.9를 곱한 값이 키에 맞는 표준체중이다. 몸무게가 표준체중의 120%를 초과할 때 비만이라고 한다.
또 다른 기준으로 흔히 사용되는 것이 바로 체질량 지수(BMI, body mass index)이다.
체질량 지수는 체지방량을 간접적으로 평가하는 도구로서 체중(kg)을 키(m)의 제곱으로 나눈 값(kg/㎡)으로 19∼70살 성인들에게 사용할 수 있다.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과체중은 BMI 25∼29.9kg/㎡, 비만을 BMI≥30kg/㎡으로 정의한다. 이 체질량지수가 남녀 모두 22이면 사망률이 가장 낮고, 지수가 높을 수록 사망률도 높아지나 낮아도 사망률은 증가된다.
2) 원인
오랜 기간에 걸쳐 에너지 소비량에 비해 영양소를 과다 섭취할 경우 에너지 불균형에 의해 비만이 유발된다.
3) 치료
생활 습관을 개선하여 식사량을 줄이고 운동량을 증가시키는 것과 더불어 행동요법이 필요하다. 식이 요법은 칼로리 섭취를 줄이는 것이 가장 중요한데, 평소에 섭취하던 열량보다 500~1000kcal 정도를 덜 섭취하도록 권장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식사 중의 영양소 조성에 따라 체중 감소 효과에 차이가 있다고 알려지고 있다. 운동은 체중이 줄어든 후 다시 증가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므로 매우 중요하다. 치료 효과가 나타나기 위해서는 적어도 매일 30분 정도의 운동이 필요하다.
이러한 생활 습관 개선 이외에도 약물을 통해 비만을 치료하기도 한다. 비만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의 종류는 크게 식욕억제제와 지방의 흡수를 저해하는 약으로 나눌 수 있고, 장기간 사용이 허가된 약물은 시부트라민(sibutramine)과 오르리스타트(orlistat) 두 가지가 있다.
-시부트라민은 식욕억제제의 일종으로 1년 동안 복용할 경우 평균적으로 약 5~9%의 체중을 줄여준다. 그러나 약으로 인해 두통, 구갈(심한 갈증), 불면증 및 변비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고, 혈압과 맥박수가 다소 증가할 수 있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혈압과 맥박수를 체크해야 한다. 따라서 혈압이 잘 조절되지 않는 고혈압 환자의 경우에는 비만 치료제로 시부트라민을 처방하지 않는다.
-오르리스타트는 지방분해효소의 억제제로 체내에서 지방이 소화되지 못하도록 하는 약이다. 따라서 섭취한 지방의 약 30%는 소화 및 흡수되지 않고 그대로 몸 밖으로 배출된다. 부작용으로 대변이 자주 마렵거나 지방변 등이 나타날 수 있지만 이러한 증상은 환자 스스로가 섭취하는 지방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완화될 수 있다. 지방 흡수율의 감소로 인해 장에서의 지용성비타민의 흡수율도 떨어질 수 있으므로 추가로 종합비타민제를 복용하는 것이 좋다. 수술은 심한 비만 (BMI ≥ 40 Kg/m2)인 환자에서 시행하며 체중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뛰어난 편이다.
또 다른 기준으로 흔히 사용되는 것이 바로 체질량 지수(BMI, body mass index)이다.
체질량 지수는 체지방량을 간접적으로 평가하는 도구로서 체중(kg)을 키(m)의 제곱으로 나눈 값(kg/㎡)으로 19∼70살 성인들에게 사용할 수 있다.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과체중은 BMI 25∼29.9kg/㎡, 비만을 BMI≥30kg/㎡으로 정의한다. 이 체질량지수가 남녀 모두 22이면 사망률이 가장 낮고, 지수가 높을 수록 사망률도 높아지나 낮아도 사망률은 증가된다.
2) 원인
오랜 기간에 걸쳐 에너지 소비량에 비해 영양소를 과다 섭취할 경우 에너지 불균형에 의해 비만이 유발된다.
3) 치료
생활 습관을 개선하여 식사량을 줄이고 운동량을 증가시키는 것과 더불어 행동요법이 필요하다. 식이 요법은 칼로리 섭취를 줄이는 것이 가장 중요한데, 평소에 섭취하던 열량보다 500~1000kcal 정도를 덜 섭취하도록 권장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식사 중의 영양소 조성에 따라 체중 감소 효과에 차이가 있다고 알려지고 있다. 운동은 체중이 줄어든 후 다시 증가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므로 매우 중요하다. 치료 효과가 나타나기 위해서는 적어도 매일 30분 정도의 운동이 필요하다.
이러한 생활 습관 개선 이외에도 약물을 통해 비만을 치료하기도 한다. 비만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의 종류는 크게 식욕억제제와 지방의 흡수를 저해하는 약으로 나눌 수 있고, 장기간 사용이 허가된 약물은 시부트라민(sibutramine)과 오르리스타트(orlistat) 두 가지가 있다.
-시부트라민은 식욕억제제의 일종으로 1년 동안 복용할 경우 평균적으로 약 5~9%의 체중을 줄여준다. 그러나 약으로 인해 두통, 구갈(심한 갈증), 불면증 및 변비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고, 혈압과 맥박수가 다소 증가할 수 있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혈압과 맥박수를 체크해야 한다. 따라서 혈압이 잘 조절되지 않는 고혈압 환자의 경우에는 비만 치료제로 시부트라민을 처방하지 않는다.
-오르리스타트는 지방분해효소의 억제제로 체내에서 지방이 소화되지 못하도록 하는 약이다. 따라서 섭취한 지방의 약 30%는 소화 및 흡수되지 않고 그대로 몸 밖으로 배출된다. 부작용으로 대변이 자주 마렵거나 지방변 등이 나타날 수 있지만 이러한 증상은 환자 스스로가 섭취하는 지방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완화될 수 있다. 지방 흡수율의 감소로 인해 장에서의 지용성비타민의 흡수율도 떨어질 수 있으므로 추가로 종합비타민제를 복용하는 것이 좋다. 수술은 심한 비만 (BMI ≥ 40 Kg/m2)인 환자에서 시행하며 체중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뛰어난 편이다.
추천자료
우리나라 대사증후군의 유병률 Prevalence of the metabolic syndrome in Korea
식이섬유소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
[영양과건강]식이섬유소의 종류와 건강상 효과, 난소화성 탄수화물의 기능에 대해
식이섬유소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
식이섬유소,Phytochemical과 항산화 영양소, 건강보조식품과 식품첨가물
노인의 스트레스
[생활과건강]사례자 35세 여대생 박씨를 위한 체중감소 식사요법과 운동요법
[케이스스터디]폐쇄성죽상동맥경화증, 협심증 케이스스터디(CaseStudy), 천식, 당뇨병 케이스...
[생활과건강]1) 뇌졸중을 예방하기 위한 환자 교육내용 2) 편마비로 인해 기동성과 활동에 제...
[가정학과 A형] 건강한 임신과 출산을 위하여 임신 저해요소, 임신부의 생체변화와 이에 따...
[노년기 영양관리] 노화와 영양, 노년기의 영양섭취, 노인의 영양상태에 영향을 주는 요인, ...
존슨의 7개 행동체계 적용, 간호이론 1) 존슨의 이론에 대해 정리하기 2) 대상자(만성질환자)...
[생활과 건강] 1) 당뇨의 합병증을 급성과 만성으로 구분하여 정리. 2) 제2형 당뇨병 환자를...
건강한 생활습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