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자성어의 이해 - -焚書坑儒[분서갱유]에 대해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정의

2.용례

3.焚書坑儒(분서갱유)사건의 전말

4.焚書坑儒(분서갱유)사건의 중심인물 진시황

5.焚書坑儒(분서갱유)사건의 새로운 인식

6.후대의 사건의 해석

7.焚書坑儒(분서갱유)에 대한 고찰

8.참고사이트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은 사건들로 인식된 것은 한 대 유학이 부활하면서 "갱유"로 와전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6.후대의 사건의 해석
분서갱유 사건은 고대 중국사에서 널리 알려진 사건 중 하나로, 사자성어로도 널리 쓰일 정도이다. 또한 진 제국의 통일 정책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정책 중 하나로 꼽힌다. 진 왕조는 분서갱유를 통해서 이전 육국의 사상, 즉 제자백가 사상을 탄압하여 획일된 사회를 만들고자 시도하였다. 황제가 지배하는 일원적 지배체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사상의 통일이 무엇보다 중요했던 것이다.
하지만 황제지배체제의 강력한 실현을 원하던 진 왕조의 실험은 15년 만에 끝나고 곧 한 왕조가 들어섰다. 한 왕조는 진 왕조의 정치를 부정하면서 들어선 정권이고 진 왕조의 정책은 비판받기 시작했다. 분서갱유 역시비판의 집중 대상이 되었다. 게다가 점차 한나라의 황제들이 유학을 장려하면서 유학적 소양을 지닌 관리들이 정권을 잡게 되면서, 분서갱유 정책은 진시황제의 폭정의 상징으로 대두되기 시작한다.
그러한 분서갱유에 대한 비판 속에서 분서갱유 사건은 과장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물론 진시황제는 분서갱유의 사건을 통해서 유학을 탄압하였다. 하지만 기록을 찬찬히 살펴볼 때, 분서는 유학뿐 만 아니라 제자백가 전체에 대한 탄압이었고, 실상 엄격히 시행되지도 않았다. 게다가 갱유라는 사건도 유학자들을 대상으로 한 것이 아니라, 방술사들을 대상으로 일어난 사건일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한 대 유학이 부활하면서, 유학자들에 대한 억압이 집중적으로 조명을 받고, 분서갱유 사건도 유학자들에 의해 유학자들을 집중적으로 탄압한 사건으로 왜곡되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7.焚書坑儒(분서갱유)에 대한 고찰
분서갱유에 대해서 들어만 봤지 정확한 정황에 대해서 아는바가 없었다. 이번 조사로 인하여 정확한 정의 및 용례를 알게 되었다. 또한 알게 된 것이 진시황에 대한 여러 이야기 들이다 . 진시황하면 천하를 통일한 폭군으로 이미지가 각인 되어있는 것이 사실이다. 자료조사를 위해 분서갱유 사건에 집중하여 조사를 하였지만 역시 역사는 사실을 기록했다기보다 후대에 의해서 조작될 수도 있고 와전될 수도 있다는 걸 느꼈다. 물론 진시황 대에 분서갱유의 사건이 있었지만 그것이 진실로 우리가 알고 있는 것처럼 일어난 사건이었는지는 자료를 조사하면서 확실하게 단언할 수 없을 것 같다. 사자성어는 한마디로 고사에서 연유한 말이라고 하지만, 여기에는 신화·전설·역사·고전·문학 작품 등에서 나온 말이 포함된다고 한다. 사자성어를 통해서 상황을 설명할 수도 있고 비슷한 용례를 찾아 빗대어 쓸 수도 있다. 이번 조사를 통해 사자성어 ‘분서갱유’의 역사적 배경과 그에 따른 새로운 시각과 해석에 대해 접해볼 수 있었다.
8.참고사이트 및 참고문헌
네이버 백과사전
정한연, 한눈에 한권에 한손에 고사성어 끝내기,정진출판사,2009
리카이위엔, 진시황의 비밀, 시공사, 2010
이형기, 인물로 풀어 쓴 이야기 중국사, 아이템북스,2009
란윈페이, 천하제패진시황, 세종서적,2008
김신중, 고사의 세계,2000
  • 가격1,8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2.05.18
  • 저작시기2012.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476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