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열전대 Calibration
1. 실험목표
2. 준비물
3. 이론
4. 실험방법
5. 결과 및 결론
6. 토의
1. 실험목표
2. 준비물
3. 이론
4. 실험방법
5. 결과 및 결론
6. 토의
본문내용
것이다. 우리가 실험할 때 항온수조의 위쪽이 완전히 개방되어있었다. 그 때문에 주변의 실험실 공기와의 접촉을 통하여 상대적으로 표면에 있는 부동액은 온도가 낮아졌을 것이고 대류가 일어났을 것이다.
2)기준온도의 간격이 부정확함
-10℃에서 시작하여 10℃간격으로 측정을 하였는데 warmer를 이용하여 온도를 높이느라 정확한 온도를 만들지 못하여 약간의 오차가 있었다. 깔끔하지 못한 온도 때문에 보간법을 사용하게 되었고 그 과정에서 작은 오차가 있었던 것 같다.
3)열전대의 산화
열전대를 만든 것이 저번 15일이었고 실험을 22일에 하였는데 이 일주일 사이에 열전대의 접점이 산화되어 측정에 영향을 주었을 수 있다.
열전대라고 하는 이름도 생소한 도구에 대해서 직접 만들고 이용하여 온도도 측정해 보았다. 지금은 생소하지만 현장에 나가서는 많이 사용하게 될 도구이고, 그렇기 때문에 어떠한 원리로 온도를 측정하는 것인지를 알아야 하기에 실험을 하게 된 것이다. 열전대 이외에도 앞으로 사용하게 될 기계공학에 사용되는 도구들의 원리를 알고 사용할 것이다.
참고문헌
네이버 블로그
http://blog.naver.com/kkhpys?Redirect=Log&logNo=130094090999
http://kissulsa.com/30015815695
http://blog.naver.com/apexkim123?Redirect=Log&logNo=110026833418
네이버 까페
http://cafe.naver.com/techmecha.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11519&
2)기준온도의 간격이 부정확함
-10℃에서 시작하여 10℃간격으로 측정을 하였는데 warmer를 이용하여 온도를 높이느라 정확한 온도를 만들지 못하여 약간의 오차가 있었다. 깔끔하지 못한 온도 때문에 보간법을 사용하게 되었고 그 과정에서 작은 오차가 있었던 것 같다.
3)열전대의 산화
열전대를 만든 것이 저번 15일이었고 실험을 22일에 하였는데 이 일주일 사이에 열전대의 접점이 산화되어 측정에 영향을 주었을 수 있다.
열전대라고 하는 이름도 생소한 도구에 대해서 직접 만들고 이용하여 온도도 측정해 보았다. 지금은 생소하지만 현장에 나가서는 많이 사용하게 될 도구이고, 그렇기 때문에 어떠한 원리로 온도를 측정하는 것인지를 알아야 하기에 실험을 하게 된 것이다. 열전대 이외에도 앞으로 사용하게 될 기계공학에 사용되는 도구들의 원리를 알고 사용할 것이다.
참고문헌
네이버 블로그
http://blog.naver.com/kkhpys?Redirect=Log&logNo=130094090999
http://kissulsa.com/30015815695
http://blog.naver.com/apexkim123?Redirect=Log&logNo=110026833418
네이버 까페
http://cafe.naver.com/techmecha.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11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