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정부vs 정부
한미FTA추가 협상
2.정부 vs 기업
경남기업과 베트남의 자원개발 협의
3.정부vs개인
강릉시와 주민과의 토지보상문제
4.기업 vs 기업
5.기업 vs 개인
이랜드 사태
6.개인vs개인
아프가니스탄의 한국인 인질 협상
한미FTA추가 협상
2.정부 vs 기업
경남기업과 베트남의 자원개발 협의
3.정부vs개인
강릉시와 주민과의 토지보상문제
4.기업 vs 기업
5.기업 vs 개인
이랜드 사태
6.개인vs개인
아프가니스탄의 한국인 인질 협상
본문내용
1.정부vs 정부
한미FTA추가 협상
오바마는 선거당시 한미FTA를 실패한협상으로 규정지으며 재협상을 한다 선언.당선이후 재협상 돌입한다.
2010. 11.30(화)~12.3(금)간 워싱턴 인근에서 한•미 FTA 관련 양국 통상장관회의를 진행했다. (4일 동안 총 20회 회의 개최)
- 우리 대표단은 통상교섭본부장 외 외교통상부, 기획재정부, 지식경제부, 국토해양부 관계관으로 구성 됐다.
양측은 12.1(수) 저녁에 상당한 의견 접근을 보았다.
- 승용차 관세철폐 일정 조정 (2015.1.1 관세 철폐, 단, 2014년까지 우리측 4%, 미측 2.5% 관세 유지)
- 다만, 미측은 돼지고기 관세철폐 일정 연장, 자동차 세이프가드 발동 요건, 관세환급 제한 도입, 미래 자동차 세제 등에서는 기존 입장 고수
그러나, 12.2(목) 오전, 미측의 승용차 관세 일정에 대한 추가 요구(2017.1.1 관세 철폐)로 인해 회의 전체가 새로운 국면에 봉착 한다.
양측간 집중적인 협상 결과, 12.2(목) 오후 양측의 이익이 균형되게 반영된 “합의요지(Agreed Elements)”를 도출
- 미측의 승용차 관세 관련 추가 요구를 일부 반영(2016.1.1 관세철폐)
- 우리측 입장*을 추가적으로 반영
한미FTA추가 협상
오바마는 선거당시 한미FTA를 실패한협상으로 규정지으며 재협상을 한다 선언.당선이후 재협상 돌입한다.
2010. 11.30(화)~12.3(금)간 워싱턴 인근에서 한•미 FTA 관련 양국 통상장관회의를 진행했다. (4일 동안 총 20회 회의 개최)
- 우리 대표단은 통상교섭본부장 외 외교통상부, 기획재정부, 지식경제부, 국토해양부 관계관으로 구성 됐다.
양측은 12.1(수) 저녁에 상당한 의견 접근을 보았다.
- 승용차 관세철폐 일정 조정 (2015.1.1 관세 철폐, 단, 2014년까지 우리측 4%, 미측 2.5% 관세 유지)
- 다만, 미측은 돼지고기 관세철폐 일정 연장, 자동차 세이프가드 발동 요건, 관세환급 제한 도입, 미래 자동차 세제 등에서는 기존 입장 고수
그러나, 12.2(목) 오전, 미측의 승용차 관세 일정에 대한 추가 요구(2017.1.1 관세 철폐)로 인해 회의 전체가 새로운 국면에 봉착 한다.
양측간 집중적인 협상 결과, 12.2(목) 오후 양측의 이익이 균형되게 반영된 “합의요지(Agreed Elements)”를 도출
- 미측의 승용차 관세 관련 추가 요구를 일부 반영(2016.1.1 관세철폐)
- 우리측 입장*을 추가적으로 반영
키워드
추천자료
한미FTA의 진실게임
한미FTA가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과 앞으로의 전망
한미FTA협상타결 이후의 찬반논의(각주포함)
한미FTA체결 결과 중 개성공단의 원산지 관련규정에 대한 내용분석과 대책
[한미FTA]한미FTA의 전망과 나의 견해-한미FTA재협상, 한미FTA비준-
한미 쇠고기협상과 촛불집회
[FTA][SOFA]한미자유무역협정(한미FTA), 한일자유무역협정(한일FTA), 한칠레자유무역협정(한...
한미FTA 협상에 대한 내용요약과 반대입장 주장
[한미FTA] 한미FTA 국회비준 주요내용과 장단점 및 영향분석-한미FTA장점단점, 한미FTA찬성반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