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리학 실습] 심전도 (electrocradiogram)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생리학 실습] 심전도 (electrocradiogram)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1) 심장의 구조
(2) 심장의 자극전도계
(3) 심장의 전기발현
(4) 심전도란?
(6) 심장활동의 주기

2. 실습 목표

3. 방법
(1) 준비물
(2) 과정

4. 결과 및 토의
(1) 표준사지유도법, 단극흉부유도법 및 증폭단극유도법의 각 유도에서 기록된 심전도의 특성(각 wave polarity, voltage등)을 논하라.
(2) 제 2 유도에서 기록된 심전도를 이용하여 다음을 계산하라.
(3) 호흡상태의 변화에 따른 심전도의 특성(빈도, 크기등의 변동)을 정상 심전도와 비교, 분석하라.
(4) 누운 자세에서 표준사지유도법을 이용하여 기록한 심전도로부터 평균 심실전기축을 계산하고 측정자세의 변화에 따른 전기축의 변이(axis deviation)를 관찰한다.
(5) 심장벡터도(QRS loop)를 그려라.

5. 문제
(1) Einthoven의 법칙이란?
(2) 심장의 평균전위축의 변이를 유발하는 것에는 어떤 요인들이 있는가?
(3) 심장의 흥분파전도계에 대해서 서술하라.

7. Reference

본문내용

생리학 실습 보고서
심 전 도
1. 서론
심전도(electrocradiogram)란 무엇인가? 그 원리에 대하여 살펴보자.
(1) 심장의 구조
1) 심막(Pericardium) - 크게 외측의 섬유성 심막과 내측의 장막성 심막으로 나뉘는데 장막성 심막은 벽측과 장층으로 나뉘어지고 장층(심상막, 심외막) 안쪽으로 심근층과 심내막이 있다. 또, 장막성 심막의 벽측과 장측사이에는 심막액이 있어 마찰방지 역할을 한다.
2) 심장벽 - 시상막(외층), 심근층(중층), 심내막(내층)
3) 2심방 2심실로 이루어져 있고 방간중격에는 태아기의 난원공 흔적인 난원와가 있다.
4) 판막(Valve) 및 대혈관 - 총 4개의 판막이 있으며 삼첨판, 폐동맥판, 대동맥판은 판막이 3개이다. 혈액의 역류를 방지한다.
① 우심방 - 삼첨판, 상대정맥, 하대정맥, 관상정맥
② 좌심방 - 이첨판(승모판), 폐정맥(동맥혈)
③ 우심실 - 폐동맥판, 폐동맥(정맥혈)
④ 좌심실 - 대동맥판, 대동맥
(2) 심장의 자극전도계
1) 자동능 -심장은 특수한 근육을 가지고 있어 심장 스스로가 자극을 일으키고 전도하는 능력이 있다. 이를 통하여 수축과 이완을 계속하며 자율신경계는 이 수축과 이완의 증감에만 관여한다.
2) 자극전도계 순서
① 동방결절(SA node) - Pacemaker, 상대정맥 개구부에 위치
② 방실결절(AV node) - 방간중격의 하단 우심방에 위치
③ 방실속(AV or His bundle)
④ 좌우각(R & L bundle branch)
⑤ 푸르킨예섬유(Purkinje fibers) - 전도 근섬유(심실의 고유근에 자극전달)
3) 흥분전도 속도
① Purkinje fibers - 4m/sec
② 심방근, 방실속, 심실근 - 1m/sec
③ 동방결절, 방실결절 - 0.05m/sec
(3) 심장의 전기발현
1) 정지전위(안정막 전위) - 유리모세관전극을 심근세포에 삽입하여 얻어진 전위로 -90mV 이다. 휴식기에 세포내부가 음전기이고, 표면이 양전기임을 가리킨다. 이 상태를 분극이라 한다.
2) 초과전위(막역전전위) - 전극에 흥분이 전도되어 (+) 전위가 얻어진 것을 말하며 전위는 +30mV 이다. 이 상태를 탈분극이라 하고, 다시 정지전위로 돌아가는 상태를 재분극이라 한다.
3) 활동전위 - 흥분에 의한 전위의 변동(탈분과 재분극)을 활동 전위라 한다.
(4) 심전도란?
심장이 활동하는 동안의 전기적 자극을 기록한 그래프를 심전도(ECG or EKG : Electro-cardiogram)라고 하며 일반적으로 12유도(lead)를 사용하여 기록한다. 안정 시 심장근육 세포의 안쪽은 음전극(negative charge)을 바깥쪽은 양전극(positive charge)의 분극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분극상태는 sodium ion(Na+)이 세포막으로 이동하면서 깨지게 되어 탈분극 (depolarization)이 시작되고, 이때 심근의 수축이 일어나게 된다. 심전도 상에는 구별할 수 있는 세 가지의 파장이 형성된다.
(5) 심장의 기능
1) 심장의 성질 - 흥분성, 전도성, 자동성은 전기현상으로 심전도상에서 알 수 있다.
① 흥분성 - 어떤 자극에 대하여 반응하는 성질
② 전도성 - 흥분에 의한 자극을 전달하는 성질
③ 자동성 - 스스로 자극을 일으키고 전도하는 성질
④ 수축성 - 근육 전체를 수축시키는 성질
2) 심장의 반응
① 실무율법칙 - 심장의 흥분은 어떤 자극 이상에서만 반응하는 실무율법칙에 따른다.
② 절대불응기 - 선행 흥분후의 짧은 시간으로 강한 자극에도 반응하지 않는다.
③ 상대불응기 - 절대불응기 다음으로 특히 강한 자극에만 반응한다.
④ 수공기 - 상대불응기 가운데 있는 것으로 자극에 의해 미세한 활동을 일으킨다.
⑤ 과상기 - 상대불응기 다음으로 정상보다 쉽게 자극에 반응한다.
(6) 심장활동의 주기
1) 심장의 주기(1주기 소요시간은 0.8초) - 수축기(systole), 확장기(diastole)의 반복 - 심방수축 → 심실유입 → 심실수축 → 심실이완 심방수축기 0.1초, 심방이완기 0.7초, 심실수축기 0.3초, 심실이완기 0.5초
2) 수축기(systole) - 판막 4개가 모두 닫친 채로(등용이완기) 심실근이 수축하여 심실내의 혈액에 압력이 가해졌을 때 이 압력이 대동맥이나 폐동맥의 확장기압보다 높아지고 방실판막(삼첨판, 승모판)이 닫히면서 심실내의 혈액이 대동맥(systemic circulation)과 폐동맥(pulmonary circulation)으로 구출된다.
3) 확장기(diastole) - 모든 판막이 닫히고(등용수축기) 심실근이 이완되면서 반월판(폐동맥판, 대동맥판)이 닫히고 심방내에 혈액이 금속히 유입된다.(급속유입기)
4) 심박수 및 심박출량
① 심박수 - 75회/분
② 심박출량 - 1회 심박출량 × 1분당 박동수 = 70ml × 75/min = 5.25 L/min
(7) 심장의 신경지배
자율 신경계인 교감신경(자극)과 부교감신경(저해)의 지배를 받고 있다.
① 심박동수의 증감
② 흥분 전도속도의 증감
③ 흥분성의 증감
④ 수축력
  • 가격2,8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12.05.21
  • 저작시기2012.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482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