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본문내용
그런 니뽄삘 패션보다는 갸루, 히메계의 패션에 관심이 많다. 비록 나는 그런 패션을 소화할 능력과 자신감이 없지만 화려하고 사치스러운 그 모습들을 보고 있자면 이상하게도 자꾸 눈길이 간다..
내가 이런 글을 쓰게 된 것을 친구들이 본다면 아마 또 나를 '오타쿠'라고 부를지도 모른다. 원래 오타쿠라는 단어는 집안에 처박혀서 자신이 하고싶은 일만 주구장창 해대는 사람을 일컫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한국에서는 이런 의미보다는 일본 문화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면 오타쿠라고 부르는 것 같다.
나는 일본 문화와 한국,일본간의 정치 문제는 별개의 것으로 보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가끔 인터넷 뉴스같은 것을 보면 기사 내용은 분명히 일본의 문화에 관한 것인데, 그 아래 달린 누리꾼들의 댓글을 보면 일본문화에 관심이 있으면 쪽바리라는 둥 문화에 대한 이야기와 관련없는 각종 정치적인 논리를 펴는 것들이 많다. 솔직히 그런 글을 보면 답답하고 화가 난다.
나도 한국 사람이기 때문에 일제시대 이야기를 꺼내면 일본에 대해 나쁜 감정이 드는 것은 사실이지만, 일본 문화에 대해 좋고 나쁜 것도 제대로 알지 못하면서 무조건 과거사와 관련된 일로 일본에 대한 악감정만 드러내는 것은 참으로 한심한 행동이라고 생각한다.
일본 문화에 관심이 있는 만큼 이 수업에서 많은 것을 얻고, 내가 잘못 알고 있었던 것들이 있다면 새롭게 배울 수 있었으면 한다.
힘들게 쓴 내용 다 날라가서 다시쓰느라 땀좀 뺐어요...ㅜㅜ
잘부탁드려요^.~ 1학년인데....
작성자 : bq
작성일 : 2008/09/19 14:57:46
평소 학교를 통학하는 나는 통학버스에 오르자마자 mp3를 귀에꽂는다. 주로 듣는 것은 한국 대중음악 K-POP이다. 이렇게 나에게 아주 친숙한 한국 대중음악에 대해서 이야기 해 볼까 한다.
영화나 tv쇼등도 그렇지만 한국 대중음악은 나에게 아주 특별한 즐거움 이다.
친구들과 대화를 나눌때도 항상 회자되는 것은 신인가수에 대한 것이나 인기가수의 새앨범 등 이야기거리가 끊이지 않는다.
친구의 생일이라도 되면 노래방에가서 유행가를 다함께 부르면서 즐거운 시간을 보내기도 하고 이어폰 한쪽을 친구의 귀에 꽂아주면서 말로 다할수 없는 공감대를 형성한다.
올 여름엔 헬스클럽에 가입했었는데 음악이 있어서 한층 즐겁게 운동할 수 있었고, 쇼핑을 할 때에도 음악이 있어서 즐겁다.
그런데 이 모든 음원들은 합법적인 다운로드 콘텐츠였을까?
지난 2007년 ‘불법음원근절 국민운동본부 (이하 불끈운동)’을 발족하고 불법 음원 사용소비자에 대한 적극적인 인식전환을 위해 뛰고 있는 엠넷미디어 박관원 대표는 “불법음원이 지속적으로 유통되면 뛰어난 창작자들을 매장시켜 결국은 우리 음악 없이 팝송만 들으며 지내야했던 700년대로의 회귀할 것이다”라고 말했다는 점에서 불법음원의 심각성고 한국대중음악의 침체를 실감할 수 있다.
침체의 원인으로는 음악파일 공유사이트와 경기침체 불법복제 등이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사용자들은 불법 저작물의 사용과 유통이 법에 저촉된다는 사실을 인식하면서도 ‘나 하나 쯤은 괜찮다’는 안이한 생각을 버리지 못하고 있고 이같은 불법 저작물을 이용, 이익을 챙기는 일부 P2P, 웹하드 사이트들로 인해 불법 저작물 사용 근절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현재 불법 저작물 유통과 사용은 국내 콘텐츠 산업의 존폐를 위협하고 있을뿐 아니라 국가위신을 실추시키는 등 다양한 악효과를 낳고 있다.
또한 저작권자들의 생계를 위협, 저작권자들은 불법 저작물 유통이 지속될 경우 국내에서 더 이상 콘텐츠가 생산되지 않을 것이라는 비관적인 전망도 내놓고 있다.
하지만 이런 불법 음원사용은 소비자의 잘못만은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우선 음악의 질이 떨어진다.
90년대 후반 이후 방송사는 매니저먼트사와 손을 잡고 10대를 대상으로 장사를 시작했고, 그후 우후죽순 10대를 대상으로 하는 아이돌 그룹이 생겨났으며 국민음악은 사라져 갔다.
보여지는 것을 중요로 하는 아이돌그룹은 비주얼과 댄스중심의 음악이었고 음악성을 무시하고 사고 싶지 않은 음반을 만들어 냈다.
또, mp3player의 출시로 보다 크고 이동성이 떨어지는 CDplayer는 수요가 감소 되었으며 음반에 대한 애착도 줄어들어 음반을 사도 보관용으로 두고 보기만 할뿐 듣지를 않는 기외한 현상이 일어났다.
이러한 형세로 인해 손쉽고 간편한 인터넷을 이용한 불법 다운로드가 증폭되었다.
하지만 이렇다한 이유로 불법음원사용이 정당화 될 순 없다.
무료콘텐츠다운이 성행하고 있는 네이버블로그나 카페를 완전 차단해야 하며, 가수및 제작자들은 음악의 질을 높여 사고 싶은 음반, 국민 음악을 만들고, 불법음원과 차별화된 CD를 내는 것도 하나의 방도 일 것이다.
하지만 가장 근본적인 해결책은 인식의 전환일 것이다.
불법 저작물 유통과 사용으로 국내 콘텐츠 산업의 근간이 무너지기 전에 이를 근절하고 사용자 의식을 변화시킬 방안과 장기적인 계획이 필요하다.
작성자 : br
나와 일본문화 나는 중학교때 인터넷을 통해 일본문화에 대해 알게 되면서 일본어도 배우고 일본 노래나 드라마에 관심을 많이 가지면서 일본 문화에 대해 좀 관심이 있는 편이다.나는 일본 문화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생각한다.일본문화가 우리나라보다 무조건적으로 우월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아니지만 배워야 될점은 많은 것 같다. 대중문화로 따지자면 아직까지 우리나라가 일본곡이나 자켓등을 따라하는 경우를 심심치 않게 보는데, 독창성이 떨어지는 것 같단 생각이 들때도 있다.또 일본에서는 씨디를 사거나 빌려서 듣는 반면 우리나라는 거의 불법다운로드가 만연하다.하지만 그것 또한 일본이 우리나라에 비해 인터넷보급률이 낮아 정보화가 덜 되어 있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일지도 모른다고 생각한다.일본 문화가 개방적인가에 대한 생각은 우리나라에 비해서 훨씬 개방적이라고 할 수는 없지만 어느 정도는 맞는 말 같다. 우리나라 젊은이들은 굉장히 개방적인 편이지만 아직까지 구세대에 남아있는 사상들이 일본에 비하면 굉장히 보수적인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이번 수업을 통해 간접적으로나마 일본 문화에 대해 좀 더 심도 있게 알게 될 수 있기를 바란다. 감사합니다^^
내가 이런 글을 쓰게 된 것을 친구들이 본다면 아마 또 나를 '오타쿠'라고 부를지도 모른다. 원래 오타쿠라는 단어는 집안에 처박혀서 자신이 하고싶은 일만 주구장창 해대는 사람을 일컫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한국에서는 이런 의미보다는 일본 문화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면 오타쿠라고 부르는 것 같다.
나는 일본 문화와 한국,일본간의 정치 문제는 별개의 것으로 보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가끔 인터넷 뉴스같은 것을 보면 기사 내용은 분명히 일본의 문화에 관한 것인데, 그 아래 달린 누리꾼들의 댓글을 보면 일본문화에 관심이 있으면 쪽바리라는 둥 문화에 대한 이야기와 관련없는 각종 정치적인 논리를 펴는 것들이 많다. 솔직히 그런 글을 보면 답답하고 화가 난다.
나도 한국 사람이기 때문에 일제시대 이야기를 꺼내면 일본에 대해 나쁜 감정이 드는 것은 사실이지만, 일본 문화에 대해 좋고 나쁜 것도 제대로 알지 못하면서 무조건 과거사와 관련된 일로 일본에 대한 악감정만 드러내는 것은 참으로 한심한 행동이라고 생각한다.
일본 문화에 관심이 있는 만큼 이 수업에서 많은 것을 얻고, 내가 잘못 알고 있었던 것들이 있다면 새롭게 배울 수 있었으면 한다.
힘들게 쓴 내용 다 날라가서 다시쓰느라 땀좀 뺐어요...ㅜㅜ
잘부탁드려요^.~ 1학년인데....
작성자 : bq
작성일 : 2008/09/19 14:57:46
평소 학교를 통학하는 나는 통학버스에 오르자마자 mp3를 귀에꽂는다. 주로 듣는 것은 한국 대중음악 K-POP이다. 이렇게 나에게 아주 친숙한 한국 대중음악에 대해서 이야기 해 볼까 한다.
영화나 tv쇼등도 그렇지만 한국 대중음악은 나에게 아주 특별한 즐거움 이다.
친구들과 대화를 나눌때도 항상 회자되는 것은 신인가수에 대한 것이나 인기가수의 새앨범 등 이야기거리가 끊이지 않는다.
친구의 생일이라도 되면 노래방에가서 유행가를 다함께 부르면서 즐거운 시간을 보내기도 하고 이어폰 한쪽을 친구의 귀에 꽂아주면서 말로 다할수 없는 공감대를 형성한다.
올 여름엔 헬스클럽에 가입했었는데 음악이 있어서 한층 즐겁게 운동할 수 있었고, 쇼핑을 할 때에도 음악이 있어서 즐겁다.
그런데 이 모든 음원들은 합법적인 다운로드 콘텐츠였을까?
지난 2007년 ‘불법음원근절 국민운동본부 (이하 불끈운동)’을 발족하고 불법 음원 사용소비자에 대한 적극적인 인식전환을 위해 뛰고 있는 엠넷미디어 박관원 대표는 “불법음원이 지속적으로 유통되면 뛰어난 창작자들을 매장시켜 결국은 우리 음악 없이 팝송만 들으며 지내야했던 700년대로의 회귀할 것이다”라고 말했다는 점에서 불법음원의 심각성고 한국대중음악의 침체를 실감할 수 있다.
침체의 원인으로는 음악파일 공유사이트와 경기침체 불법복제 등이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사용자들은 불법 저작물의 사용과 유통이 법에 저촉된다는 사실을 인식하면서도 ‘나 하나 쯤은 괜찮다’는 안이한 생각을 버리지 못하고 있고 이같은 불법 저작물을 이용, 이익을 챙기는 일부 P2P, 웹하드 사이트들로 인해 불법 저작물 사용 근절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현재 불법 저작물 유통과 사용은 국내 콘텐츠 산업의 존폐를 위협하고 있을뿐 아니라 국가위신을 실추시키는 등 다양한 악효과를 낳고 있다.
또한 저작권자들의 생계를 위협, 저작권자들은 불법 저작물 유통이 지속될 경우 국내에서 더 이상 콘텐츠가 생산되지 않을 것이라는 비관적인 전망도 내놓고 있다.
하지만 이런 불법 음원사용은 소비자의 잘못만은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우선 음악의 질이 떨어진다.
90년대 후반 이후 방송사는 매니저먼트사와 손을 잡고 10대를 대상으로 장사를 시작했고, 그후 우후죽순 10대를 대상으로 하는 아이돌 그룹이 생겨났으며 국민음악은 사라져 갔다.
보여지는 것을 중요로 하는 아이돌그룹은 비주얼과 댄스중심의 음악이었고 음악성을 무시하고 사고 싶지 않은 음반을 만들어 냈다.
또, mp3player의 출시로 보다 크고 이동성이 떨어지는 CDplayer는 수요가 감소 되었으며 음반에 대한 애착도 줄어들어 음반을 사도 보관용으로 두고 보기만 할뿐 듣지를 않는 기외한 현상이 일어났다.
이러한 형세로 인해 손쉽고 간편한 인터넷을 이용한 불법 다운로드가 증폭되었다.
하지만 이렇다한 이유로 불법음원사용이 정당화 될 순 없다.
무료콘텐츠다운이 성행하고 있는 네이버블로그나 카페를 완전 차단해야 하며, 가수및 제작자들은 음악의 질을 높여 사고 싶은 음반, 국민 음악을 만들고, 불법음원과 차별화된 CD를 내는 것도 하나의 방도 일 것이다.
하지만 가장 근본적인 해결책은 인식의 전환일 것이다.
불법 저작물 유통과 사용으로 국내 콘텐츠 산업의 근간이 무너지기 전에 이를 근절하고 사용자 의식을 변화시킬 방안과 장기적인 계획이 필요하다.
작성자 : br
나와 일본문화 나는 중학교때 인터넷을 통해 일본문화에 대해 알게 되면서 일본어도 배우고 일본 노래나 드라마에 관심을 많이 가지면서 일본 문화에 대해 좀 관심이 있는 편이다.나는 일본 문화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생각한다.일본문화가 우리나라보다 무조건적으로 우월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아니지만 배워야 될점은 많은 것 같다. 대중문화로 따지자면 아직까지 우리나라가 일본곡이나 자켓등을 따라하는 경우를 심심치 않게 보는데, 독창성이 떨어지는 것 같단 생각이 들때도 있다.또 일본에서는 씨디를 사거나 빌려서 듣는 반면 우리나라는 거의 불법다운로드가 만연하다.하지만 그것 또한 일본이 우리나라에 비해 인터넷보급률이 낮아 정보화가 덜 되어 있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일지도 모른다고 생각한다.일본 문화가 개방적인가에 대한 생각은 우리나라에 비해서 훨씬 개방적이라고 할 수는 없지만 어느 정도는 맞는 말 같다. 우리나라 젊은이들은 굉장히 개방적인 편이지만 아직까지 구세대에 남아있는 사상들이 일본에 비하면 굉장히 보수적인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이번 수업을 통해 간접적으로나마 일본 문화에 대해 좀 더 심도 있게 알게 될 수 있기를 바란다. 감사합니다^^
추천자료
일본문화수용에 대하여...
일본식문화와 영양
일본문화 - 드라마의 모든 것
2009년 2학기 일본대중문화론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일본문화가 한국에 미친 영향
일본문화의 이해
[일본전통문화] 영화 ”한밤중의 야지상 기타상“을 통해 본 에도시대
(A+자료) 일본 문화의 숨은 形을 읽고 줄거리 요약 및 감상문 및 느낀점과 나의소감 분석
일본의 장례문화 - 장례문화,일본의장례산업현황,한국과일본의장례문화비교.ppt
애니메이션 ≪이누야샤 (犬夜叉/Inuyasha)≫가 미치는 일본문화 인지효과에 대한 사례 분석
[일본문화의 이해 과제] 일본의 화과자(わがし)와 한국의 한과
[일본사회문화의 이해 공통 A형]과제물 - 루스 베네딕트의 『국화와 칼』(여러 출판사에서 번...
일본대중문화의 역사적 변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