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에서의 군의 의미
본 자료는 미만의 자료로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닫기
  • 1
  • 2
  • 3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체제 수호의 절대체

2. 공산주의하에서의 시대환경 변화의 대처

3. 구소련과 동구권 사례에서의 교훈

본문내용

방지하고 체제를 유지하기위한 강압적 통제력으로 군을 이용할 수밖에 없었다. 산업현장을 복구하고 멈춰진 공장을 재가동하기 위해서도 군의 동원은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다. 즉, 군은 마지막 가용자원이었던 것이다. 이는 김정일이 체제붕괴를 재촉할지도 모를 개혁개방보다는 군을 선택, 정권과 체제 지키기에 최우선 순위를 뒀다는 것을 의미한다. 김정일 정권의 유일한 대체세력은 처음부터 군대일 수밖에 없었다. 군을 제외하고는 작동시킬 수 있는 다른 관료집단이 전무했다. 경제위기에 책임이 있는 로동당이 강성대국 건설의 전면에 나서는 것은 부담이 클 수밖에 없는 만큼 로동당을 대신해 군이 체제수호는 물론 경제건설, 치안, 사회통합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주민들의 동요를 막고 이들을 결집시키는 역할까지 하게 된 것이다.
  • 가격800
  • 페이지수3페이지
  • 등록일2012.05.22
  • 저작시기2012.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485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