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붙박이 빌트인 정의
Ⅱ. 붙박이 빌트인 도입배경
i) 주택 사이즈 요구 변화
ii) 인구 구조 변화
iii) 소득수준향상
Ⅲ. 붙박이 빌트인의 장점
Ⅳ. 붙박이 빌트인의 단점
Ⅴ. 붙박이 빌트인의 시장상황
Ⅵ. 결론
Ⅶ. 참고문헌
Ⅱ. 붙박이 빌트인 도입배경
i) 주택 사이즈 요구 변화
ii) 인구 구조 변화
iii) 소득수준향상
Ⅲ. 붙박이 빌트인의 장점
Ⅳ. 붙박이 빌트인의 단점
Ⅴ. 붙박이 빌트인의 시장상황
Ⅵ. 결론
Ⅶ. 참고문헌
본문내용
로 이전비용에 대한 부분도 무시하지 못한다.
- 빌트인 가전의 경우, 대기전력소모로 전기낭비가 된다. 전력강제차단 장치가 시판되지만, 가격문제로 인해 보급이 더디다.
붙박이 빌트인 시장상황
전 세계 빌트인 시장규모는 2010년 약 400억 달러로 추정된다. 그 중 유럽과 북미가 전체시장의 90%를 차지하고 있으며, 한국은 2010년 약 4%로 5000억원 정도의 미미한 규모이다.
이러한 이유로는 가전제품을 단품으로 구매하는 우리나라 시장의 특성과 이제까지 빌트인 제품을 주로 B2B형태로 구입하는 유통구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국내업체의 빌트인 제품이 없을 때, 수입제품들이 대부분을 차지했고, 이러한 수입가전제품은 국산브랜드보다 성능·디자인에서 훨씬 앞서 나갔다.
2000년대 초반 분양가자율제와 브랜드 아파트 바람을 타고 도입된 빌트인가전은 2006년 3500억원, 2007년 4500억원, 2008년 4600억원에서 지난해 7000억원까지 시장이 확대됐지만 올해는 건설경기 불황으로 시장이 5000억원대로 줄어들었다.
한국 빌트인 가구는 주택 인테리어 전면 개조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일부 부유층에서만 제한적으로 구매해 왔다. 국내시장은 2007년 분양가 상한제, 해외시장은 2008년 금융위기로 인해 2012년까지는 현재 시장 규모를 유지하다가 2013년부터는 건설 경기 활성화로 인해 빌트인 수유가 커질 것으로 예측된다.
이와 함께 정부가 부동산경기를 끌어올리기 위해 분양가상한제 폐지와 미분양아파트 정책을 검토함에 따라 이 후 아파트 분양물량이 늘어나면 빌트인가전시장도 함께 탄력을 받을 것으로 풀이된다.
삼성전자는 2012년까지 유럽, 미국 등 해외시장에 빌트인 솔루션 제공범위를 확대하려는 전략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프리미엄 제품 지속 도입, 소비자 접점마케팅, 유통 다변화 세가지의 전략을 세웠다.
LG전자는 미국 빌트인 가전업체인 ‘바이킹레인지와’와 함께 ‘LG-VIKING’브랜드를 론칭 해, 올 연말부터 제품 판매에 나선다고 밝혔다.
결론
지금까지의 붙박이·빌트인 가구는 주로 부유층에서 사용되었다. 하지만 국민소득수준이 향상되면서, 개인의 과거적인 사고방식탈피, 개성 추구, 주거 다운사이징 등으로 인해 주거 형식이 변화되고 그러한 변화에 자신만의 인테리어를 꾸미고 공간 활용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붙박이·빌트인 가구의 수요가 늘어났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국내 시장에서 큰 시장규모를 차지하고 있지는 않고, 현재보다는 앞으로 발전가능성이 더 클 예상된다.
우리나라 미래의 사회구조 변화가 예측되는 만큼 붙박이·빌트인이 더 많이 활용 될 것 이며, 이는 미래 주거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참고문헌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1인 가구 급증에 따른 소형주택시장의 변화」
박경난 외3명, 「아파트 부엌 공간의 빌트인 가전에 관한 만족도 연구」, 충북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http://www.youtube.com/watch?v=juWaO5TJS00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1&no=714756
- 빌트인 가전의 경우, 대기전력소모로 전기낭비가 된다. 전력강제차단 장치가 시판되지만, 가격문제로 인해 보급이 더디다.
붙박이 빌트인 시장상황
전 세계 빌트인 시장규모는 2010년 약 400억 달러로 추정된다. 그 중 유럽과 북미가 전체시장의 90%를 차지하고 있으며, 한국은 2010년 약 4%로 5000억원 정도의 미미한 규모이다.
이러한 이유로는 가전제품을 단품으로 구매하는 우리나라 시장의 특성과 이제까지 빌트인 제품을 주로 B2B형태로 구입하는 유통구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국내업체의 빌트인 제품이 없을 때, 수입제품들이 대부분을 차지했고, 이러한 수입가전제품은 국산브랜드보다 성능·디자인에서 훨씬 앞서 나갔다.
2000년대 초반 분양가자율제와 브랜드 아파트 바람을 타고 도입된 빌트인가전은 2006년 3500억원, 2007년 4500억원, 2008년 4600억원에서 지난해 7000억원까지 시장이 확대됐지만 올해는 건설경기 불황으로 시장이 5000억원대로 줄어들었다.
한국 빌트인 가구는 주택 인테리어 전면 개조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일부 부유층에서만 제한적으로 구매해 왔다. 국내시장은 2007년 분양가 상한제, 해외시장은 2008년 금융위기로 인해 2012년까지는 현재 시장 규모를 유지하다가 2013년부터는 건설 경기 활성화로 인해 빌트인 수유가 커질 것으로 예측된다.
이와 함께 정부가 부동산경기를 끌어올리기 위해 분양가상한제 폐지와 미분양아파트 정책을 검토함에 따라 이 후 아파트 분양물량이 늘어나면 빌트인가전시장도 함께 탄력을 받을 것으로 풀이된다.
삼성전자는 2012년까지 유럽, 미국 등 해외시장에 빌트인 솔루션 제공범위를 확대하려는 전략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프리미엄 제품 지속 도입, 소비자 접점마케팅, 유통 다변화 세가지의 전략을 세웠다.
LG전자는 미국 빌트인 가전업체인 ‘바이킹레인지와’와 함께 ‘LG-VIKING’브랜드를 론칭 해, 올 연말부터 제품 판매에 나선다고 밝혔다.
결론
지금까지의 붙박이·빌트인 가구는 주로 부유층에서 사용되었다. 하지만 국민소득수준이 향상되면서, 개인의 과거적인 사고방식탈피, 개성 추구, 주거 다운사이징 등으로 인해 주거 형식이 변화되고 그러한 변화에 자신만의 인테리어를 꾸미고 공간 활용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붙박이·빌트인 가구의 수요가 늘어났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국내 시장에서 큰 시장규모를 차지하고 있지는 않고, 현재보다는 앞으로 발전가능성이 더 클 예상된다.
우리나라 미래의 사회구조 변화가 예측되는 만큼 붙박이·빌트인이 더 많이 활용 될 것 이며, 이는 미래 주거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참고문헌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1인 가구 급증에 따른 소형주택시장의 변화」
박경난 외3명, 「아파트 부엌 공간의 빌트인 가전에 관한 만족도 연구」, 충북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http://www.youtube.com/watch?v=juWaO5TJS00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1&no=7147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