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요 이토(토요 이토/伊東豊雄/Ito Toyo) 타마 예술대학 도서관(Tama Art University Library)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도요 이토(토요 이토/伊東豊雄/Ito Toyo) 타마 예술대학 도서관(Tama Art University Library)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도요 이토 (伊東豊雄)

경력 및 수상 내역
도요 이토의 작품들
도요 이토의 건축개념
작품사례
타마 예술대학 도서관

본문내용

워‘저술.
1990 삿뽀로 맥주 견학관으로 제3회 무라노 토고상 수상.
1991 미국 컬럼비아대학교 건축학부 객원교수.
1991 '도요 이토(Monograph Toyo Ito)'저술.
1992 야쓰시로 시립 박물관으로 제33회 마이니치 예술상 수상.
1992 '시뮬레이티드 시티에서의 건축'저술.
1996 야쓰시로 소방서로 쿠마모토 부상 수상.
1997 불가리아 건축연맹 97대상 금메달 수상.
1998~2005 구마모토 아트폴리스 바이스 커미셔너.
1998 1997년도 예술선정 문부대신상 수상.
1999 제55회 일본예술원상 수상.
2000 규슈대학교 공학부 강사.
2000 국제건축아카데미 아카데미시언상 수상.
2001 일본 굿디자인 대상 수상.
2002 교토대학교 공학부 강사.
2002 타마미술대학교 미술학부 객원교수.
2002 제8회 베네치아 비엔날레 금사자상.
2003 일본건축학회 회원작품상 수상.
2004 황금콤파스상 수상.
2005 구마모토 아트폴리스 커미셔너.
2006 왕립영국건축가협회 금메달 수상.
도요 이토의 작품들
센다이 미디어테크(2001)
파빌리온 (Pavilion,2002)
오다테 돔(1997)
바람의 탑(tower of wind,1986)
야시스로 시립 박물관(1991)
도요 이토의 건축개념
도요이토는 '흐름,기류'라는 추상적인 소재에 대한 일관성을 그의 작품에 적용하고 있다. 오늘날의 사회를 '균질성'의 기반 위에서 파악하고, 그러한 균질화된 사회 속에서의 사람들의 삶 역시 균질화 될 수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건축 외부와 내부는 극단적으로 다른 두 세계, 즉 '현실/비현실','사실/허구'의 세계가 되며, 서로 간에는 어떠한 관련성도존재하지않는다. 이에 도요 이토는 오늘날 뉴미디어라는 새로운 테크놀로지에 주목한다. 이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은 내외부의개념을붕괴시키고, 개인을세계와연결시키는도구가 된다. 이러한 뉴미디어의 특성과 그로인한 다양한 변화를 자신의 건축개념으로 적극 수용하여 그는 '투명성/유동성/일시성/단명성/시각이미지'와 같은 건축적 구현 전략을 갖게 된다. 이를 통해 환경의 흐름을 감지하고 반응하며 그 흐름과 함께 변화하는 건축, 따라서 내외부의경계가모호하며,투명하고유동적인건축을 실현하고자 한다.
도요이토는 자신만의 독특한 스타일을 고집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변화하는 현대 사회 속에서 나타나는 현상들을 긍정적 시각으로 재해석하여이를수용하려는 태도를 나타낸다고 해석되어 진다. 그러므로 미래에사회가치와변화들은다시그만의건축개념으로재해석되어표현되어질것으로생각된다.
작품사례
바람의 탑(1986)
요코하마역 앞 지하쇼핑몰의
통풍기와 물탱크는 거울입면
으로 마감되었고 외부는 메탈
로 마감되었다.
단순한 낮 동안의 모습과,
작은 램프와 네온이 외부를
향해 빛을 발산하는 밤의
모습으로 계획되었다.
주위의 바람소리에 의해
바람센서, 소리센서가 반응해
다양하게 변화하는 것이다.
이 작품에서 밤과 낮이라는
시간과 바람과 소리라는
주위의 보이지 않는 흐름에 의해 건물의 모습을 변화 시켜 도시적 현상의 양면성을 보여주려고 의도하였다. 센서라는 전자 미디어에 의해 도시의 이미지를 표현하고 있다.
센다이 미디어데크(1995)
7개의 수평 슬라브와 12개의 튜브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건물의 외피는 유리로 구성되어 있고, 이 유리의 상부는 외부를 반사, 내려올수록 점점 투명해진다. 낮에는 외부를 반사, 밤에는 내부를 드러낸다.
기능에 있어서 공용 공간을 튜브구조 속에 집어넣음으로써 뉴 미디어의 특성을 적용. 내부와 외부의 모호함, 서로 연결되며 작용하는 네트워크에 대한 1층평면도(ground):Plaza 생각은, 열린 기둥으로서의 튜브구조와 설비시스템을 해결하는 기둥의 개념으로까지 확대.
도서관과 갤러리의 혼합된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 벽이 아니라 가구, 2층평면도 : Informationcenter
스테이지, 열람대 등을 통해 기능을 암시함으로써 유동적인 흐름과 공간의 분할을 나타내고 있다.
3층평면도 : Library 4층평면도 : Librarymezzanin
5층평면도 : Gallery 6층평면도 : Gallery
7층평면도 : Studio
수평적열린공간
각층 수직적 경계를
제거 도서관과 갤러
리가상존하는 층에
벽의 개념을 깨고,
기능을 암시하는 가
구를 배치하여 이용
자들의 선택 확대
SYSTEM:빔 (BEAM)이없는
기둥과 납작한
슬래브 구조.
1.PLATE(판):honeycombslab
2.TUBE(관):강관파이프
3.SKIN(외피):이중외피
타마 예술대학 도서관
대지위치 : 일본, 도쿄
용도: 도서관
대지면적 : 159,185m2
건축면적 : 2,225m2
연 면적 : 5,639m2
규모 : 지하1층, 지상2층
구조: 단열재, 노출 콘크리트, 아스팔트방수, 수용성 실리콘 연속 수지 코팅, 노출콘크리트, 콘크리트 흙손마감, 콘크리트 표면에 특수성 보강재 마감, 유리 스크린(외부), 카펫 타일(내부)
처음에는 도서관의 전체 볼륨을 지하에 위치시켜 동굴을 닮은 공간을 창출하려 했으나, 여러 가지 이유로 이 제안이 불가능하여, ‘지하공간에서 지상으로’ 볼륨을 빼내어, 연속전인 돔형의 형태를 갖는 공간을 설계. 볼륨을 조금 더 다듬어, 구조물이 일련의 돔과 아치를 갖고 있는 건축구조가 됨.
아치들은 각기 다른 각도의 부드러운 곡면을 따라 설계되었는데, 이 연속적인 아치 곡면은 정사각형 및 삼각형 블록 안으로 공간을 통합시킨다. 공간을 관통하는 가구들의 배치 때문에, 열람구역은 역설적이고 모순된 특징(공간의 흐름과 멈춤)을 갖게 되었다.
지상층의 경사는 대지의 기울기를 따른 것으로, 건물을 주위 환경에 통합시키기 위함이라한다. 이러함으로 건물 내부와 외부의 공간적 연속성이 유지된다. 이러한 공간적 개념 덕분에 건축물은 대지로부터 솟구치는 자연적 에너지를 건축적 질서로 변형시켜 더 많은 자유와 풍부함을 누린다는 것을 표현하였다.
2층 평면도
1층 평면도
1. 로비7. 락커
2. 매점8. 연구실
3. 카페테리아(식당)9. 전시실
4. 정기간행물실10. 소강당
5. 안내데스크11. 종합자료실
6. 사무실12. 서고
  • 가격2,9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2.05.24
  • 저작시기2009.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491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