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스앤더시티2 패션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Sex And The City 2 영화 소개
2. 패션 분석
3. 영화를 보고 나서

본문내용

틱 스타일이나 요조숙녀 같은 옷을 즐겨 입었던 그 동안과 달리 귀여우면서도 캐쥬얼하고 노출이 있는 민소매 상의와 치마를 입었다.
캐쥬얼한 의상은 보는 사람에게 명랑한 느낌을 준다. 샬롯은 가정에서 어느 정도 거리를 두고 자신만의 여유를 즐기게 된 모습을 보인다. 의상을 통해 자신을 얽매고 있던 가정에서 벗어난 모습을 상징적으로 표현했다.
예전과는 달리 마음의 안정을 찾고 자신의 생활을 가지게 된 샬롯의 변화를 효과적으로 보여주었다고 생각한다. 애써 의식하지 않아도 그러한 변화를 느낄 수 있었다.

④일을 마치고 집에 들어와서 편히 쉬고 있을 때.
처음에는 단정한 정장 차림, 집에서는 니트 차림을 보여주던 빅이 반팔티를 입고 약간은 추레한 모습을 보였다.
이때 빅의 모습은 우리가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평범한 남편의 모습이다. 집에서 편안한 티를 입고 있다는 것은 풀어진 마음을 의미한다. 빅도 집에서는 쉬고 싶은 평범한 남편임을 알려준다.
동경했던 연예인의 일반인 같은 모습을 보고 환상이 깨지는 것과 같은 느낌이 들었다.
2)-2. 시간, 상황, 심리 변화에 따른 패션의 변화-2
<사진 자료>
① ②
③ ④
3) Sex And The City 2가 만든 유행과 상업주의
여기에서는 SATC2가 만든 유행만이 아니라 Sex And The City라는 드라마와 전편 영화를 함께 이야기해야 할 듯하다. 이번 영화를 포함한 모든 시리즈는 화려한 뉴요커들의 삶을 보여주고 있다. 드라마의 영향으로 우리나라에서도 브런치가 유행하게 되었다. 주인공인 캐리가 들었던 핸드백, 구두, 귀걸이 등 모든 패션 아이템이 유행했다. 마찬가지로 이번 편에서도 배우들은 매 장면마다 같은 옷을 거의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다양한 패션을 선보였다. 그중에는 일반 관객들이 소비하기 어려운 난해한 스타일이나 일상에서 입을 수 없을 것 같은 의상도 많다. 하지만 일반인의 눈에도 따라하고 싶은 패션이 훨씬 더 많다. 인터넷에 검색해 보면 누가 입었던 것이 어느 브랜드의 옷인지, 가격은 얼마인지까지 자세히 알 수 있다. 나는 이 자체가 바로 상업주의라고 생각한다. 각종 잡지가 주인공들의 패션을 분석해서 친절하게도 종류별로, 브랜드별로 보여준다. 인터넷의 각종 블로그에는 수많은 사람들이 올린 ‘캐리 패션 따라잡기’ 같은 패션 예찬 글이 있다. 드라마에서부터 시작된 Sex And The City 열풍이 이번 영화로 연결되었다. 영화사에서도 이 사실을 적절히 이용하여 각종 브랜드에서 협찬을 받았을 것이고 일부러 더 화려하고 따라하고 싶은 패션을 사용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영화에서 보여주는 과도한 의상 소비는 어떻게 보면 특정 스타일이나 브랜드의 제품을 소비하게 하는 것 보다는 ‘패션 아이템’ 그 자체에 대한 소비를 부추기기 위한 상업성 때문에 나타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3. 영화를 보고 나서
1) 스토리에 관하여
섹스앤더시티2는 ‘화려함’이 볼거리인 영화다. 탄탄한 시나리오나 잔잔한 감동이 느껴지는 영화는 아니지만 화려한 명품들과 패션, 화려한 여행지, 화려한 파티, 화려한 여행이 가득하다. 영화에 나오는 이런 것들은 대다수의 관객들과는 거리가 먼 이야기이다. 하지만 이 영화의 주인공들과 평범한 우리 관객들을 하나로 묶어주는 요소가 있다. 바로 주인공들의 생활과 고민이다. 프리랜서 칼럼리스트인 캐리는 꿈꿔왔던 결혼 생활의 환상이 깨지자 남편에게 실망한다. 집에 들어와서 옷도 갈아입지 않고 TV부터 켜는 모습, 함께 외출하기 바라는 캐리에게 귀찮음을 내비치는 모습, 침대 옆에까지 TV를 달아서 시선을 그 곳으로 고정시키는 남편 빅의 모습은 우리의 아버지, 남편들의 모습과 비슷하다. 아이들을 돌보는 일에 지치고 남편이 바람 필까봐 전전긍긍하는 샬롯이나 너무나 당당해서 직장 상사에게 미움 받는 미란다, 젊음을 지키기 위해 온갖 애를 쓰는 사만다.. 네 여자의 문제는 바로 관객들의 문제이기도 하다. 온 몸을 명품으로 휘감고 화려한 뉴욕 라이프를 즐기는 주인공들의 모습에서 관객들이 동경, 부러움과 동시에 동질감을 느낄 수 있도록 했다.
대부분의 여자들은 이 영화를 보고 감탄을 할 것이다. 꿈꾸던 삶, 꿈꾸던 여행이 영화 속에 들어 있기 때문이다. 나는 이 영화가 남자들을 너무 배제한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영화가 여자들의 삶에 초점을 맞춘 만큼 여자들에게서는 공감대를 끌어낼 수 있지만 그 만큼 남자들은 공감할 수 없는 영화가 된 것 같다. 캐리는 남편 빅이 자기만의 시간을 갖길 원하는 것을 이해하지 못한다. 여자들은 이런 캐리를 이해할 수 있지만 남자들은 아마도 절반 이상이 이해하지 못할 것이다. 사만다가 자존심을 세우며 굳이 화려하고 젊은 스타일의 드레스를 입어 망신을 당하는 것도, 보모 에린이 속옷을 입지 않고 다니는 것을 네 주인공들이 끔찍하게 생각하는 것도 남자들로써는 이해하지 못하는 부분일 것이다. 모든 관객들이 공감하는 영화를 만들 수는 없겠지만 적어도 남자 관객들이 어느 정도는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는 스토리가 있었으면 더 좋았지 않을까 생각을 했다.
2) 패션에 관하여
화려한 패션으로 어필하는 영화인 만큼 이 영화에 등장하는 드레스, 구두 액세서리 등을 보고 엄청난 감탄을 했다. 아마추어도 아닌 일반인의 시선으로 보았을 때도 패션을 통해 각 캐릭터의 개성과 분위기를 짐작할 수 있었다. ‘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 같은 영화처럼 노골적으로 명품을 드러내지 않고 상황에 따른 패션의 파격적 변화, 눈부신 디자인으로 관객들에게 ‘패션을 배울 수 있는 영화’로 자리를 굳혔다. 이 영화의 가장 큰 장점은 화려한 패션 센스와 치장을 어린 여자들만의 전유물로 만들지 않았다는 것이다. 네 주인공은 실제로도 영화에서도 마흔을 넘긴 나이다. 하지만 여전히 자신을 꾸미고 아름다움을 추구한다. 쇼핑에 열광할 나이는 지났지만 그렇다고 푹 퍼진 아줌마가 된 것도 아니다. 오히려 어린 여자들에게 지지 않는 매력과 패션 센스를 가지고 있다. 영화에서 이 네 명의 당당하고 매력 있는 40대, 50대의 모습을 표현하는 데 패션을 효과적으로 활용했다고 생각한다. 얼굴의 주름살은 부럽지 않지만 화려한 옷을 멋지게 소화해내는 능력은 부럽다.
  • 가격2,3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2.05.26
  • 저작시기2010.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495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