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가족복지론] 가족과 젠더-부모역할
-목차-
1. 전통사회와 현대사회의 부모역할 비교
1) 전통사회의 부모역할
2) 현대사회의 부모역할
2. 남녀 시각으로 바라본 부모역할
1) 남성이 바라본 부모역할
2) 여성이 바라본 부모역할
3. 부모역할의 변화 현황
1) 사례 1
2) 사례 2
4. 지향해야 할 부모역할의 모습
1) 지향점
2) 도움이 되는 프로그램
5. 참고 문헌
-목차-
1. 전통사회와 현대사회의 부모역할 비교
1) 전통사회의 부모역할
2) 현대사회의 부모역할
2. 남녀 시각으로 바라본 부모역할
1) 남성이 바라본 부모역할
2) 여성이 바라본 부모역할
3. 부모역할의 변화 현황
1) 사례 1
2) 사례 2
4. 지향해야 할 부모역할의 모습
1) 지향점
2) 도움이 되는 프로그램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나타냈다.
3. 부모역할의 변화 현황
1) 사례 1
<스탠바이>(MBC)의 ‘류진행’은 ‘아나운서’라는 직업이 있음에도 가사 노동에 적극성을 띄어 대안적인 남성상의 모습을 보인다. 또한 그는 가사 노동을 잘 할뿐만 아니라 그것에서 즐거움을 느끼는 남성으로 그려져 다양한 남성상의 한 예로 볼 수 있다.
2) 사례 2
<넝쿨째 굴러온 당신>(KBS)의 ‘차윤희’는 여성의 진취적인 사회활동의 모습을 보이며 전통적인 여성상을 탈피하는 것을 뛰어넘어, 일과 가정의 양립을 위해 고군분투하는 이 시대의 현실적이면서도 지향적인 여성의 모습을 보였다.
4. 지향해야 할 부모역할의 모습
1) 지향점
바람직한 부모 역할은 부모와 자녀 간에 쌍방향의 감정교류가 이루어지고, 이를 통하여 자녀가 자신의 감정과 행동을 스스로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자녀와 솔직한 감정의 교류를 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단계적 접근이 필요하다. 첫째, 자녀가 느낄 수 있는 방법으로 부모의 사랑을 끊임없이 전달하여야 한다. 부모역할의 가장 기본적 요소는 부모의 사랑이다. 둘째, 부모가 자녀의 감정을 인정하고 수용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부모의 관점으로 판단하지 말고 야단치거나 훈계하기 전에 자녀의 감정을 자녀의 입장에서 경청하고 공감하는 일이다. 셋째, 잘한 행동은 구체적으로 칭찬하고, 잘못한 일은 잘못한 행동의 결과를 설명하여 자녀가 스스로 잘 못을 깨닫고 올바른 행동을 선택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넷째, 절대로 안 되는 것은 그 이유를 알아듣게 설명하고 끝까지 단호하게 거절해야 한다.
부모의 자세가 갖춰지고 나면 부모는 생존의 목표, 경제적 목표, 자기실현의 목표를 고려해 부모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생존의 목표는 자녀가 성장하여 성인이 될 때까지 자녀의 신체적 생존과 건강을 유지하도록 돕는 것이다. 경제적 목표는 자녀가 성인이 되어 경제적으로 독립하고 부양자로서의 능력을 갖추는 데 필요한 기술과 행동을 가르치는 것이다. 자기실현의 목표는 자기실현을 위한 가치를 추구하도록 가르치는 것이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을 자녀를 사랑하는 마음으로 자녀를 대하는 것이다.
2) 도움이 되는 프로그램 (홈페이지 참고)
5. 참고 문헌
http://www.parentcoaching.co.kr/ (한국부모코칭센터)
http://koreabumo.com/ (한국부모교육센터)
http://cafe.daum.net/4jobubu
3. 부모역할의 변화 현황
1) 사례 1
<스탠바이>(MBC)의 ‘류진행’은 ‘아나운서’라는 직업이 있음에도 가사 노동에 적극성을 띄어 대안적인 남성상의 모습을 보인다. 또한 그는 가사 노동을 잘 할뿐만 아니라 그것에서 즐거움을 느끼는 남성으로 그려져 다양한 남성상의 한 예로 볼 수 있다.
2) 사례 2
<넝쿨째 굴러온 당신>(KBS)의 ‘차윤희’는 여성의 진취적인 사회활동의 모습을 보이며 전통적인 여성상을 탈피하는 것을 뛰어넘어, 일과 가정의 양립을 위해 고군분투하는 이 시대의 현실적이면서도 지향적인 여성의 모습을 보였다.
4. 지향해야 할 부모역할의 모습
1) 지향점
바람직한 부모 역할은 부모와 자녀 간에 쌍방향의 감정교류가 이루어지고, 이를 통하여 자녀가 자신의 감정과 행동을 스스로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자녀와 솔직한 감정의 교류를 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단계적 접근이 필요하다. 첫째, 자녀가 느낄 수 있는 방법으로 부모의 사랑을 끊임없이 전달하여야 한다. 부모역할의 가장 기본적 요소는 부모의 사랑이다. 둘째, 부모가 자녀의 감정을 인정하고 수용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부모의 관점으로 판단하지 말고 야단치거나 훈계하기 전에 자녀의 감정을 자녀의 입장에서 경청하고 공감하는 일이다. 셋째, 잘한 행동은 구체적으로 칭찬하고, 잘못한 일은 잘못한 행동의 결과를 설명하여 자녀가 스스로 잘 못을 깨닫고 올바른 행동을 선택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넷째, 절대로 안 되는 것은 그 이유를 알아듣게 설명하고 끝까지 단호하게 거절해야 한다.
부모의 자세가 갖춰지고 나면 부모는 생존의 목표, 경제적 목표, 자기실현의 목표를 고려해 부모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생존의 목표는 자녀가 성장하여 성인이 될 때까지 자녀의 신체적 생존과 건강을 유지하도록 돕는 것이다. 경제적 목표는 자녀가 성인이 되어 경제적으로 독립하고 부양자로서의 능력을 갖추는 데 필요한 기술과 행동을 가르치는 것이다. 자기실현의 목표는 자기실현을 위한 가치를 추구하도록 가르치는 것이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을 자녀를 사랑하는 마음으로 자녀를 대하는 것이다.
2) 도움이 되는 프로그램 (홈페이지 참고)
5. 참고 문헌
http://www.parentcoaching.co.kr/ (한국부모코칭센터)
http://koreabumo.com/ (한국부모교육센터)
http://cafe.daum.net/4jobubu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