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제들을 명확한 기준으로 규제를 할 필요가 있다. SNS 및 스마트폰 앱을 심의할 뉴미디어정보심의 팀에 따르면 SNS에 올라온 글과 스마트폰 앱 중에 유해 및 불법 정보를 걸러내는 일을 한다고 하는데, 말의 기준 또한 애매모호 하다. 유해 정보의 부류에는 음란물, 도박, 마약, 명예훼손, 불법 정보는 국가보안법 위반, 각종 범죄를 교사, 방조하는 내용 등이 속한다고 한다. 이 규제가 어디까지 적용 될 것인지 그 누구도 알 수 없다. SNS의 규제, 정부가 시행하려는 이 규제는 누구를 위한 것일까? 또한 마냥 순기능만 적용된다고만은 볼 수 없기에 무법지대인 SNS에 대하여 규제가 필요하다면 이런 식의 일방적인 정부의 규제강화가 아닌 어떤 식의 규제가 필요할지, 이 부분 또한 생각해 보아야 할 필요가 있다.
추천자료
[소셜네트워크] 소셜네트워크 (SNS)의 현황, 활용 사례, 국내외 SNS 서비스 분석
트위터 비지니스 모델 분석
SNS의 현재와 미래 전망 분석
SNS(Social Networking Service)에 대하여.ppt
[A+레포트] 스마트TV의 경쟁력 분석(SWOT) 및 발전방안
페이스북,페이스북산업,페이스북해외진출,페이스북중국실패,페이스북해외진출실패,SNS,SNS산...
광고가 타산업에 미치는 영향,인터넷광고,쇼셜미디어광고,스포츠스타광고,광고분석
싸이월드Cyworld Case Study - 싸이월드 산업분석, 환경분석, 경쟁자 분석, 전략제시,swot.PP...
용인대 영상문화의 이해 중간,기말 시험 및 과제
SNS(Social Network Service)의 긍정적/부정적 요인 및 SNS를 활용한 인터넷 마케팅 사례
개인화서비스를 통한 마케팅 효과 극대화 및 비용절감 효과에 대한 연구 (연구목표와 필요성,...
[2015 커뮤니케이션과인간] 1) 가족커뮤니케이션의 형태가 어떻게 달라졌는가 2) 가족커뮤니...
소설미디어서비스(SNS)를 통한 인터넷 마케팅에 관하여 알아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