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간호학_소아과_요로감염_UTI_case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간호학_소아과_요로감염_UTI_case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정의 및 분류
발병 기전 및 위험요소
원인균
증상
진단적 평가
요로계 영상 검사
치료

본문내용

루빈 결합에 장애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 신생아, 칼슘 함유 용액 또는 약물을 투여 받고 있는 신생아
주의 : 본제 또는 세펨계 항생물질에 과민증 기왕력자, 약물 알러지 기왕력자, 중증 신산애, 경구섭취가 용이하지 않은 자 또는 비경구영양자, 고령자, 전신상태 불량자
3. Tylenol
효능/효과 : 감기로 인한 발열동통, 두동, 신경통, 근육통, 월경통, 염좌통, 치통, 관절통, 류마티양 동동
용법/용량 : 1회 용량 10-15mg/kg, 4-6시간 간격복용, 1일 최대 5회
금기 : 본제 과민증자, 소화성궤양, 중증 혈액이상, 중증 간신장애, 중증 심기능부전, 아스피린 천식 또는 기왕력자
주의 : 간신장애 또는 기왕력자, 소화성궤양 기왕력자, 혈액이상 또는 기왕력자, 출혈경향자, 심기능이상, 과민증 기왕력자, 기관지 천식, 고령자
4. Pocral
효능/효과 : 용법/용량 참조
용법/용량 :
1. 불면증 및 수술 전 진정: 성인 0.5-1g, 소아 50mg/kg을 취침 15-30분전 또는 수술 30분전
2. 수술 후 동통 경감 (아편제, 진통제의 보조) : 성인 1회 250mg, 소아 8.3mg/kg을 1일 3회. 1일 최대 성인 2g, 소아 1g. 물 또는 과즙 반컵에 희석하여 복용
금기 : 간신장애, 중증의 심질환, 위염, 본제 과민반응 또는 특이체질 기왕력자, 급성 간헐성 포르피린증, 쿠마린계 항응고제 복용자
주의 : 쇠약환자, 호흡기능 저하자, 고령자
6. NaCl + Dextrose
효능/효과 : 탈수증, 수술전후 등의 수분전해질 보급, 에너지 보급
용법/용량 : 보통 성인 1회 500 - 1000ml를 점적 정맥 주사, 투여속도는 시간당 300 - 500ml(분당 75 - 120방울)이고, 소아의 경우 시간당 50 - 100ml
주의 : 대량급속투여에 의해 뇌부종, 폐부종, 말초부종, 산증, 수중독, 신생아, 미숙아에 급속 투여하는 경우 수중독, 주입정맥에서 혈전증 발생
7. KCl
효능/효과 : 저칼륨혈증, 디기탈리스 중독, 이뇨제 투여 후의 저칼륨혈증
용법/용량 : 염화칼륨으로써 0.5 - 3g 을 0.3% 용액이나 링겔 또는 포도당 욕액에 넣어 분당 8 - 12ml의 속도로 4시간 이상에 걸쳐 정맥 주사
금기 : 신장부전, 선천성 심부전증, 부신기능의 장애, 급성탈수증 또는 광범위한 조직 손상, 소화기계통의 장애, 협착환자, 심장 비대증 환자 중 식도에 압력이 있는 환자, 심장 수술 후의 환자
사정
객관적 사정 :“우리 애가 열이 너무 나요 ”
BT 40.1℃까지 상승, 호흡 50회, 맥박이 152회 체크
구강점막의 건조
열감이 느껴지는 피부
진단
질병과 관련된 고체온
목표
계획
이론적 근거
목표 :
환아의 체온이 정상범위를 유지한다.
환아의 상태를 매일 사정한다.
환자를 사정함으로써 간호의 기반을 마련한다.
체온을 하강시키기 위한 요법을 적용한다.
-체표면에서 수분이 기화되어 체열이 상실된다.
-오한시 노출은 떨림을 증가시켜 신체의 열 생산을 촉진할수 있다.
탈수를 방지하기 위해 수분을 제공한다.
발한에 의한 수분 소실은 체내로부터 체액손실을 증가시키고 체액 부족시 체온이 더 상승할 수 있다.
체온상승이 있을 때 필요시 약물 요법을 시행한다.
진단초기에 주사하면 고열이 급속히 떨어지고 모든 증상이 완화되며 관상동맥의 변화를 현저히 줄일 수 있다.
▣ 간호 과정
사정
객관적 사정 : 고체온
Routine Urine Analysis검사 결과 SG(요비중)이 1.010 (8월25일,26일), 1.016(8월27일)으로 높음.
CBC검사 결과 Na은 140mEq/L로 isotonic dehydration
피부의 탄력성은 떨어졌고, 피부와 점막이 건조했음.
진단
발열과 관련된 체액부족
목표
계획
이론적 근거
목표 : 수분과 전해질 균형을 유지할 것이다.
수분과 전해질 상태를 확인한다.
수분과 전해질 상태를 확인하는 것은 수분균형을 아는데 도움이 된다.
처방된 대로 해열제를 투여한다.
해열제는 고열과 관련된 불편감을 조절하는데 도움을 준다.
보호자에게 고열이 계속될 때 열을 관리하는 대안적인 방법을 교육한다.
-얇은 옷을 입고 환경을 시원하게 유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피부표면이 시원해지도록 돕는다.
아동이 좋아하는 음료수를 소량씩 자주 제공하도록 격려한다.
수분섭취는 요로로 가는 혈류를 유지하고 소변을 희석시키며 박테리아를 씻겨나가게 할 뿐 아니라 체온을 조절하는데 도움을 준다.
  • 가격2,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2.05.29
  • 저작시기2011.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00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