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본 론 ‒‒‒‒‒‒‒‒‒‒‒‒‒‒‒‒‒‒‒‒‒‒‒‒‒‒‒‒‒ 3
Ⅰ.문 헌 고 찰 ‒‒‒‒‒‒‒‒‒‒‒‒‒‒‒‒‒‒‒‒‒‒‒‒ 3
1. Syphilis(매독) ‒‒‒‒‒‒‒‒‒‒‒‒ 3
Ⅱ.간 호 사 정 ‒‒‒‒‒‒‒‒‒‒‒‒‒‒‒‒‒‒‒‒‒‒‒‒ 5
1. 간호정보조사 ‒‒‒‒‒‒‒‒‒‒‒‒‒‒‒‒‒‒‒‒‒‒‒‒ 5
Ⅲ. 진단검사(Lab date) ‒‒‒‒‒‒‒‒‒‒‒‒‒‒‒‒‒‒‒ 6
Ⅳ. Medication ‒‒‒‒‒‒‒‒‒‒‒‒‒‒‒‒‒‒‒‒‒‒‒‒‒‒ 9
Ⅴ. 간호과정 ‒‒‒‒‒‒‒‒‒‒‒‒‒‒‒‒‒‒‒‒‒‒‒‒‒‒‒‒ 10
Ⅰ.문 헌 고 찰 ‒‒‒‒‒‒‒‒‒‒‒‒‒‒‒‒‒‒‒‒‒‒‒‒ 3
1. Syphilis(매독) ‒‒‒‒‒‒‒‒‒‒‒‒ 3
Ⅱ.간 호 사 정 ‒‒‒‒‒‒‒‒‒‒‒‒‒‒‒‒‒‒‒‒‒‒‒‒ 5
1. 간호정보조사 ‒‒‒‒‒‒‒‒‒‒‒‒‒‒‒‒‒‒‒‒‒‒‒‒ 5
Ⅲ. 진단검사(Lab date) ‒‒‒‒‒‒‒‒‒‒‒‒‒‒‒‒‒‒‒ 6
Ⅳ. Medication ‒‒‒‒‒‒‒‒‒‒‒‒‒‒‒‒‒‒‒‒‒‒‒‒‒‒ 9
Ⅴ. 간호과정 ‒‒‒‒‒‒‒‒‒‒‒‒‒‒‒‒‒‒‒‒‒‒‒‒‒‒‒‒ 10
본문내용
T:36.5℃P:138회/분R:40회/분
간호목표
피부변화가 일어나지 않는다.
간호진단
소변, 대변 지속적 접촉과 관련된 피부손상
간호수행
▶ 새 귀저귀로 갈아준다.
환아가 소변이나 대변을 보면 바로 새 귀저기로 갈아주며, 소변이나 대변은 피부에 자극적이므로 기저귀를 제때 갈아주지 않으면 아기 피부를 자극하게 되며, 대변이 묻어 있는 시간 자체가 질환의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우리아이 주치의 소아과 구조대/서평/대한소아과개원의협의회지음)
▶ 잘 닦고 말려준다. (우리 아이 주치의 소아과 구조대/서평/대한소아과개원의협의회지음)
- 물기가 남아있는 상태에서 기저귀를 채우면 기저귀 속에 습기가 차게 되고, 엉덩이에 남아있던 대변 찌꺼기와 물기가 닿아 암모니아가 발생하게 되며, 이것이 피부 손상의 원인이 된다. 배뇨할 때 생성되었던 암모니아를 중화시키기 위해 두 번째 헹굴 때 뜨거운 물로 한다. (최신 임상간호메뉴얼Ⅱ 제7판)
▶ 엉덩이를 건조 시켜 준다.
- 약을 바름으로서 피부를 보호하고, 환아의 엉덩이를 건조 시켜 줌으로써 습기를 제거한다.(우리 아이 주치의 소아과 구조대/서평/대한소아과개원의협의회지음)
▶ 기저귀를 채우지 않는다.
기저귀 발진이 생기면 기저귀를 채우지 않는 것이 좋은데, 엉덩이 짓무름이 심한 경우는 하루에 몇 시간씩 엉덩이를 벗겨 두는 것이 좋다. 따뜻한 방에서 얇은 이불 위에 옷을 입힌 채 엉덩이만 내놓고 밑에는 기저귀를 깔아 놀게 한다.(최신 임상간호메뉴얼Ⅱ 제7판)
▶ 바람이 잘 통하게 한다.
- 종이기저귀를 채울 때에는 허리 부분의 테이프가 있는 곳에 살이 쓸리거나 땀이 차서 빨갛게 되는 경우도 있다.
▶ 종이기저귀를 사용한다.
- 종이기저귀는 천 기저귀보다 위생적이며 흡수력이 좋아서 기저귀가 젖어도 표면에 물기가 비교적 적어 엉덩이의 습기가 덜 찹니다. 종이 기저귀가 천 기저귀보다 소변이나 대변이 샐 가능성이 적어 대소변을 통해 병이 전염될 확률이 적기 때문이다.
▶ 손을 씻는다.
- 손 씻기는 손의 오염물질 및 일시균을 제거하고 미생물의 수를 줄인다. (기본간호학Ⅱ, 현문사, p397)
- 전염성 질병의 70%가 손을 통해 전염되며, 세균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 손씻기 습관으로 세균의 증가를 막고 감염질환의 60% 이상을 예방할 수 있다. 신생아는 면역력이 적기 때문에 아기를 만지기 전에 손을 반드시 씻는다.
▶ 피부상태를 사정한다.
- 피부 손상도를 파악할 수 있다.
▶ 연고를 발라준다.
- 흔히 바르는 피부 보호 로션류는 적극적인 치료 효과가 적다. 기저귀 발진의 원인 한 가지가 아니므로 연고를 함부로 사용하면 안되며 곰팡이가 원인인 경우 흔히 바르는 기저귀 발진용 연고를 바르면 더 심해질 수도 있다. 그리고 기저귀 발진과 다른 종류의 피부질환을 혼동할 수도 있으므로 반드시 소아과 의사의 진료를 받아 아기의 상태에 맞는 적절한 연고를 처방받아 사용한다.
▶ 음식상태를 사정한다.
- 과일을 과식하면 변이 산성이 되어 아기의 엉덩이를 발갛게 자극한다. 특히 이유식 초기에 지나치게 많은 양의 과일을 먹이면 변 자체가 산성이 될 뿐 아니라 설사를 일으켜 기저귀 발진이 잘 생긴다. 그리고 이유식을 하면서 새로운 음식을 첨가해 갈 때 이유식의 원칙을 잘 지키지 않으면 변의 양상이 바뀌어 아기에게 기저귀 발진이 생기기 쉽다.(삐뽀삐뽀119소아과/그린비/하정훈지음)
▶ 부모에게 교육한다.(최신 임상간호메뉴얼Ⅱ 제7판)
- 기저귀발진을 미리 예방할 수 있다.(최신 임상간호메뉴얼Ⅱ 제7판)
간호평가
피부변화가 일어나지 않음.
#2. 복부팽만
간호사정
객관적 자료 :
▶ 피부가 반질반질하며 복부 팽만감이 있음.
수유를 제때 잘 먹지 않으며 자주 배고파함.
간호목표
환아가 복부팽만을 느끼지 않는다.
간호진단
적은 stool로 인한 복부팽만
간호수행
▶항문을 자극하여 stool을 보게 한다.
- stool을 봄으로써 복부 팽만감을 감소시킨다.
▶ 복부 팽만 감소하기 위한 체위 변경을 실시한다.
- 체위 변경을 함으로써 stool 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 복부 마사지를 해준다.
- 마사지를 함으로서 가스 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 트림을 시켜준다.
- 신생아 때는 별 문제가 없는데도 아기가 잘 토한다. 아직 위가 덜 발달된 상태이므로 공기를 들이 마시면 쉽게 토하는 것이며, 신생아는 위의 아래위로 조여 주는 근육이 덜 발달되어서 위쪽으로 음식을 올리기 쉬우며, 따라서 복부팽만감도 올 수 있다.(삐뽀삐뽀119소아과/그린비/하정훈지음)
▶ 앉아서 먹인다.
- 아기를 눕혀서 분유를 먹이는 것은 여러 가지 이유에서 좋지 않다. 소화도 잘 안되고 공기를 삼키기도 쉽고 사례가 들기도 쉬우며 아기들의 경우 귀와 코가 연결된 이관이 아직 제대로 발달하지 않았기 때문에 귀로 이물질이 들어가기 쉽다. 따라서 귀 고막 안까지 분유가 들어가 쉽게 중이염에 걸릴 수 있다. 또한 위에 분유가 남아 있기 때문에 복부팽만감이 올 수 있다.(삐뽀삐뽀119소아과/그린비/하정훈지음)
▶ pm 60cc 제한수유 한다.
- 제한 수유함으로써 복부 팽만 및 자주 배고파하는 것을 줄인다.
▶ 신생아를 사정한다.
- 환아에 대해 사정함으로써 혹시나 다른 질병 때문에 복부팽만감이 있는지 사정한다. 사정함으
로써 환아에 대해 진단할 수 있다.
간호평가
환아는 복부팽만을 보이지 않음
참고문헌
- (2008) 제8판 홍창의 소아과학 / 대한교과서(주) / 제12장 감염병(p452~ 456)
- (2006) 우리 아이 주치의 소아과 구조대 / 서평 / 대한소아과개원의협의회지음
- (2010) 삐뽀삐뽀 119소아과 / 그린비 / 하정훈지음
- (2004) 최신 임상간호매뉴얼Ⅱ / 현문사 / 고일선 외 17명 편찬
- (2010) 아동간호학(총론) / 현문사 / 김영혜 외 9명
- (2010) 아동간호학(각론) / 현문사 / 김영혜 외 9명
- (2009) 기본간호학Ⅰ / 수문사 / 송경애 외 10명
- (2009) 기본간호학Ⅱ / 수문사 / 송경애 외 10명
- Medication) KMLE 의학 검색 http://www.kmle.co.kr/
드러그인포 http://www.druginfo.co.kr/
간호목표
피부변화가 일어나지 않는다.
간호진단
소변, 대변 지속적 접촉과 관련된 피부손상
간호수행
▶ 새 귀저귀로 갈아준다.
환아가 소변이나 대변을 보면 바로 새 귀저기로 갈아주며, 소변이나 대변은 피부에 자극적이므로 기저귀를 제때 갈아주지 않으면 아기 피부를 자극하게 되며, 대변이 묻어 있는 시간 자체가 질환의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우리아이 주치의 소아과 구조대/서평/대한소아과개원의협의회지음)
▶ 잘 닦고 말려준다. (우리 아이 주치의 소아과 구조대/서평/대한소아과개원의협의회지음)
- 물기가 남아있는 상태에서 기저귀를 채우면 기저귀 속에 습기가 차게 되고, 엉덩이에 남아있던 대변 찌꺼기와 물기가 닿아 암모니아가 발생하게 되며, 이것이 피부 손상의 원인이 된다. 배뇨할 때 생성되었던 암모니아를 중화시키기 위해 두 번째 헹굴 때 뜨거운 물로 한다. (최신 임상간호메뉴얼Ⅱ 제7판)
▶ 엉덩이를 건조 시켜 준다.
- 약을 바름으로서 피부를 보호하고, 환아의 엉덩이를 건조 시켜 줌으로써 습기를 제거한다.(우리 아이 주치의 소아과 구조대/서평/대한소아과개원의협의회지음)
▶ 기저귀를 채우지 않는다.
기저귀 발진이 생기면 기저귀를 채우지 않는 것이 좋은데, 엉덩이 짓무름이 심한 경우는 하루에 몇 시간씩 엉덩이를 벗겨 두는 것이 좋다. 따뜻한 방에서 얇은 이불 위에 옷을 입힌 채 엉덩이만 내놓고 밑에는 기저귀를 깔아 놀게 한다.(최신 임상간호메뉴얼Ⅱ 제7판)
▶ 바람이 잘 통하게 한다.
- 종이기저귀를 채울 때에는 허리 부분의 테이프가 있는 곳에 살이 쓸리거나 땀이 차서 빨갛게 되는 경우도 있다.
▶ 종이기저귀를 사용한다.
- 종이기저귀는 천 기저귀보다 위생적이며 흡수력이 좋아서 기저귀가 젖어도 표면에 물기가 비교적 적어 엉덩이의 습기가 덜 찹니다. 종이 기저귀가 천 기저귀보다 소변이나 대변이 샐 가능성이 적어 대소변을 통해 병이 전염될 확률이 적기 때문이다.
▶ 손을 씻는다.
- 손 씻기는 손의 오염물질 및 일시균을 제거하고 미생물의 수를 줄인다. (기본간호학Ⅱ, 현문사, p397)
- 전염성 질병의 70%가 손을 통해 전염되며, 세균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 손씻기 습관으로 세균의 증가를 막고 감염질환의 60% 이상을 예방할 수 있다. 신생아는 면역력이 적기 때문에 아기를 만지기 전에 손을 반드시 씻는다.
▶ 피부상태를 사정한다.
- 피부 손상도를 파악할 수 있다.
▶ 연고를 발라준다.
- 흔히 바르는 피부 보호 로션류는 적극적인 치료 효과가 적다. 기저귀 발진의 원인 한 가지가 아니므로 연고를 함부로 사용하면 안되며 곰팡이가 원인인 경우 흔히 바르는 기저귀 발진용 연고를 바르면 더 심해질 수도 있다. 그리고 기저귀 발진과 다른 종류의 피부질환을 혼동할 수도 있으므로 반드시 소아과 의사의 진료를 받아 아기의 상태에 맞는 적절한 연고를 처방받아 사용한다.
▶ 음식상태를 사정한다.
- 과일을 과식하면 변이 산성이 되어 아기의 엉덩이를 발갛게 자극한다. 특히 이유식 초기에 지나치게 많은 양의 과일을 먹이면 변 자체가 산성이 될 뿐 아니라 설사를 일으켜 기저귀 발진이 잘 생긴다. 그리고 이유식을 하면서 새로운 음식을 첨가해 갈 때 이유식의 원칙을 잘 지키지 않으면 변의 양상이 바뀌어 아기에게 기저귀 발진이 생기기 쉽다.(삐뽀삐뽀119소아과/그린비/하정훈지음)
▶ 부모에게 교육한다.(최신 임상간호메뉴얼Ⅱ 제7판)
- 기저귀발진을 미리 예방할 수 있다.(최신 임상간호메뉴얼Ⅱ 제7판)
간호평가
피부변화가 일어나지 않음.
#2. 복부팽만
간호사정
객관적 자료 :
▶ 피부가 반질반질하며 복부 팽만감이 있음.
수유를 제때 잘 먹지 않으며 자주 배고파함.
간호목표
환아가 복부팽만을 느끼지 않는다.
간호진단
적은 stool로 인한 복부팽만
간호수행
▶항문을 자극하여 stool을 보게 한다.
- stool을 봄으로써 복부 팽만감을 감소시킨다.
▶ 복부 팽만 감소하기 위한 체위 변경을 실시한다.
- 체위 변경을 함으로써 stool 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 복부 마사지를 해준다.
- 마사지를 함으로서 가스 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 트림을 시켜준다.
- 신생아 때는 별 문제가 없는데도 아기가 잘 토한다. 아직 위가 덜 발달된 상태이므로 공기를 들이 마시면 쉽게 토하는 것이며, 신생아는 위의 아래위로 조여 주는 근육이 덜 발달되어서 위쪽으로 음식을 올리기 쉬우며, 따라서 복부팽만감도 올 수 있다.(삐뽀삐뽀119소아과/그린비/하정훈지음)
▶ 앉아서 먹인다.
- 아기를 눕혀서 분유를 먹이는 것은 여러 가지 이유에서 좋지 않다. 소화도 잘 안되고 공기를 삼키기도 쉽고 사례가 들기도 쉬우며 아기들의 경우 귀와 코가 연결된 이관이 아직 제대로 발달하지 않았기 때문에 귀로 이물질이 들어가기 쉽다. 따라서 귀 고막 안까지 분유가 들어가 쉽게 중이염에 걸릴 수 있다. 또한 위에 분유가 남아 있기 때문에 복부팽만감이 올 수 있다.(삐뽀삐뽀119소아과/그린비/하정훈지음)
▶ pm 60cc 제한수유 한다.
- 제한 수유함으로써 복부 팽만 및 자주 배고파하는 것을 줄인다.
▶ 신생아를 사정한다.
- 환아에 대해 사정함으로써 혹시나 다른 질병 때문에 복부팽만감이 있는지 사정한다. 사정함으
로써 환아에 대해 진단할 수 있다.
간호평가
환아는 복부팽만을 보이지 않음
참고문헌
- (2008) 제8판 홍창의 소아과학 / 대한교과서(주) / 제12장 감염병(p452~ 456)
- (2006) 우리 아이 주치의 소아과 구조대 / 서평 / 대한소아과개원의협의회지음
- (2010) 삐뽀삐뽀 119소아과 / 그린비 / 하정훈지음
- (2004) 최신 임상간호매뉴얼Ⅱ / 현문사 / 고일선 외 17명 편찬
- (2010) 아동간호학(총론) / 현문사 / 김영혜 외 9명
- (2010) 아동간호학(각론) / 현문사 / 김영혜 외 9명
- (2009) 기본간호학Ⅰ / 수문사 / 송경애 외 10명
- (2009) 기본간호학Ⅱ / 수문사 / 송경애 외 10명
- Medication) KMLE 의학 검색 http://www.kmle.co.kr/
드러그인포 http://www.druginfo.co.kr/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