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목차
1.뱀장어
2.메기, 차넬메기
3.가물치, 틸라피아
4.초어
무지개 송어
은어
자라
넙치
방어
자주복
보리새우
꽃게, 닭새우
문어
해삼
우렁쉥이
전복
참굴
바지락
대합
피조개 , 고막류
가리비
진주조개
김
미역
다시마
톳, 홑파래, 꼬시래기
수질관리론
어 병
기출문제...............................................
2.메기, 차넬메기
3.가물치, 틸라피아
4.초어
무지개 송어
은어
자라
넙치
방어
자주복
보리새우
꽃게, 닭새우
문어
해삼
우렁쉥이
전복
참굴
바지락
대합
피조개 , 고막류
가리비
진주조개
김
미역
다시마
톳, 홑파래, 꼬시래기
수질관리론
어 병
기출문제...............................................
본문내용
이 잘되고 아포체가 일찍 나타나나 원 씨줄에 붙은 것은 광선을 적게 받아 성장이 늦다. 일찍자란 아포체는 유엽이 되는 동안 원 씨줄에 붙지 못하면 가이식 과정에서 탈락되기 쉽다.
12.어미줄에 씨줄 붙이기 유의사항
-운반시 건조를 피하고 되도록 손으로 만지지 말 것
-작업시 직사광선을 피하고 빨리 물에 넣을 것
-어미줄을 해수에 2~3일전에 넣어 충분히 늘일것
13.자리바꿈이란
-특정 품종을 선택하여 양식할 경우 도중에 다른 품종으로 바뀌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자리 바꿈이라한다. 품종간의 영양 번식력에 의해 생긴다.(1~5cm정도의 유엽기에 영양번식이 왕성하다.)
14.노화된 양식장의 예방과 대책
-예방: 양식 생물의 밀도를 적절히 조절한다.
배설물 먹이 찌꺼기가 자연 정화 능력의 한계를 벗어나지 않게 한다.
조류 소통이 좋도록 양식장 시설을 설치한다.
-대책: 양식을 일정기간 쉬게 한다.
해저에 악화된 저질을 적극적으로 제거한다.
해저를 갈아줌으로서 퇴적물의 확산과 분해를 촉진 시킨다.
(휴식년제 도입, 객토, 바닥갈이, 등 ...)
15.규조가 많은 미역양식장의 어미줄 관리요령
-양식초기에 규조가 많은 곳에서는 2~3m 이상 깊게 설치하고 성장이 늦으면 1~2m깊이에 올려 준다.
-12월중 일사량이 적어지면 수심 1~1.5m로 높이고 서장을 촉진시킨다.
-1월중 계속 솎아주면서 성장을조절한다. 일사량이 많아짐에 따라 수심을깊게 한다
-2월 이후에는 해가 길어지고 햇볕도 강해지므로 수심을 더욱 깊게 한다.
16.해황과 기상조건으로부터 풍흉을 결정하는 방법
-흉작: 하구부근에 있는 번식장에서는 배우체가 발생하는 5~6월과 아포체의 발아기인 9~10월 비가 많으면 흉작이 되기 쉽다.
-풍작: 수온이 높은 지방에서 유주자 발아시기와 배우체 발아시기인 5~7월에 수온이 낮으면 풍작
추운 지방에서 1~2월에 수온이 낮은 해에 풍작이 되기 쉽다.
따뜻한 지방에서 4~5월에 수온이 낮은 해에 풍작이 되기 쉽다.
유주자 방출 시기인 4~5월 아포체 발아기인 9~10월에 폭풍 일수가 많아 자연 갯닦기로 풍작 되기 쉽다.
다시마
1.다시마 양성방법
-2년 양식: 인공 또는 천연채묘에 의해서 종묘를 육성하여 솎음, 뿌리 묶기, 잡물 제거 등 관리를 하여 2년간 양성 후 채취하는 방법 수온이 비교적이 낮은 곳에서 가능 경제성 및 기술적 문제가 있음
-촉성 양식: 인공 채묘하여 실내의 배양액속에 수온, 조도 조절하여 45일간 수조 배양, 수조 내에서 재생산을 마치고 바다수온 하강 시기에 이식 양성
품질 좋은 참 다시마를 대상으로 하는 방법
2년생 다시마를 저수온기에 최대 활용하여 단시간에 성장시키는 방법
9월초에 채묘하여 15~16℃, 3000~4000LUX, 18시간 명기로 투명한 수조에 영양염류와 산소 공급으로 배양체 45일만에 5~10mm의 종묘 크기를 생산, 물갈이는 20일후 전량을 갈아준후 그후 1주일마다 1/2씩 갈아준다.
-억제 배양: 5~6월에 인공 채묘한 배우체를 고수온기에 억제 배양했다가 9~10 월에 발아 관리하여 바다수온이 18℃이하 때 본 양성
난해에서 자급된 모조로 양식이 가능
수확시기 앞당길 수 있다.
미역 종묘 생산이 끝나고 그 수조에서 배양한 종묘를 사용하여 12월중에 양성을 시작할 수 있다.
2.다시마 씨 붙이기
-착생 밀도는 수확 시 m당 25~50개체를 기준
-어미 줄에 30cm간격으로 끼우는 게 유리
-씨줄은 어미 줄에 1cm 정도 나오게 한다.
-씨줄을 어미 줄에 묶는 방법
3.다시마 시기별 양성 수심
-3월까지: 수면아래 1m, 4~5월: 1.5m, 6~7월:2~2.5m, 8월:3~3.5m
4.다시마 양성관리
-솎음, 잡해초 제거: 솎음은 1월초부터 시작하는데 그 요령은 생장이 잘되는 것만 남기고 4~5월경 1m당 25~50 개체가 남도록 한다.
-잡해초 제거: 뜸, 뜸 줄, 어미줄등에 붙은 것을 다 제거 하는데 4~5월경 솎음과 함께한다.
-뿌리 묶기: 뿌리 묶기는 솎음 다음에 하며 처음은 크게 자란 것으로 부착기가 어미 줄에 잘 붙지 않은 것을 묶어 준다. 이때 줄기는 절대 묶지 말고 묶은 뒤 손가락이 한, 두개 들어갈 정도로 공간이 있어야 차후 뿌리성장에 큰 지장이 없다.
-보충이식: 다시마의 탈락 유실된 부분이나 생장이 좋지 않은 부분에 한다. 솎은 것 중에 부착기가 좋은 것을 3,4포기 부착기와 함께 떼어 내어 그물망 으로 부착기를 싸서 어미줄에 묶는다. 뿌리묶기와 보충이식은 4~5월경 까지 마치도록 한다.
-양성 수위 조절: 3월에는1m, 4~5월에는 1.5m, 6~7월에는 2~2.5m(끝 녹음 방지를 위해 너무 깊게 하면 다시마가 충실하지 못하다.) 8월에는 3~3.5m
톳, 홑파래, 꼬시래기
1.톳의 잡해초 제거
-시기: 봄에 톳을 채취하고 난후 톳의 번식기 직전
-요령: 잡해초 제거시 포폭지가 손상되지 않게 한다.
지충이가 톳보다 1개월 늦게 성숙하므로 그 성숙기전에 톳의 생육대에서 좀 떨어진 곳의 지충이까지 제거
2.홑파래 구상체 (접합자) 성숙과 유주자 방출
-수온이 8월에 23~27℃로 저하되면 단일 조건에 성숙, 인위적으로 10일 정도 암처리 하면 성숙촉진
-성숙 억제를 위해서 29~30℃의 약광에 연속 조명, 암처리 한 것을 23~27℃의 강한 광선에(8000~10000 lux)하에 두면 1시간에 대량 방출, 유주자는 배우자와 동일하게 양성 주광성
3.구상체 배양시 약품 처리
-돌말류: 산화 게르마늄 0.5ppm
-다른 잡물: 황산구리 3ppm, 황산아연10ppm, 치아 염소산나트륨5ppm
4.꼬시래기 포자방출 유발 법
-모조를 24시간정도 담수에 담갔다가 다시 해수에 옮기면 30분이내에 약 30%방출
-2~4시간 음건 후 해수에 넣으면 담수처리 시와 같은 효과
-햇볕에 1~2시간 정도 쬔 후 해수에 넣으면 포자 방출효과 가장 크다.
수질관리론
1.암모니아 독성: ph가높은 알카리성일 경우 NH3 비율이 높아지며 PH 8부근에서 1단위 상승 시 독성은 10배 증가한다.
2.적조
-플랑크톤의 대량 번식으로 수색이 본래의 빛깔에서 적갈색이나 적색 등으로 변하는 현상
-원인: 도시 하수나 산업 폐수의 유입으로 부영양화가 됐을
12.어미줄에 씨줄 붙이기 유의사항
-운반시 건조를 피하고 되도록 손으로 만지지 말 것
-작업시 직사광선을 피하고 빨리 물에 넣을 것
-어미줄을 해수에 2~3일전에 넣어 충분히 늘일것
13.자리바꿈이란
-특정 품종을 선택하여 양식할 경우 도중에 다른 품종으로 바뀌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자리 바꿈이라한다. 품종간의 영양 번식력에 의해 생긴다.(1~5cm정도의 유엽기에 영양번식이 왕성하다.)
14.노화된 양식장의 예방과 대책
-예방: 양식 생물의 밀도를 적절히 조절한다.
배설물 먹이 찌꺼기가 자연 정화 능력의 한계를 벗어나지 않게 한다.
조류 소통이 좋도록 양식장 시설을 설치한다.
-대책: 양식을 일정기간 쉬게 한다.
해저에 악화된 저질을 적극적으로 제거한다.
해저를 갈아줌으로서 퇴적물의 확산과 분해를 촉진 시킨다.
(휴식년제 도입, 객토, 바닥갈이, 등 ...)
15.규조가 많은 미역양식장의 어미줄 관리요령
-양식초기에 규조가 많은 곳에서는 2~3m 이상 깊게 설치하고 성장이 늦으면 1~2m깊이에 올려 준다.
-12월중 일사량이 적어지면 수심 1~1.5m로 높이고 서장을 촉진시킨다.
-1월중 계속 솎아주면서 성장을조절한다. 일사량이 많아짐에 따라 수심을깊게 한다
-2월 이후에는 해가 길어지고 햇볕도 강해지므로 수심을 더욱 깊게 한다.
16.해황과 기상조건으로부터 풍흉을 결정하는 방법
-흉작: 하구부근에 있는 번식장에서는 배우체가 발생하는 5~6월과 아포체의 발아기인 9~10월 비가 많으면 흉작이 되기 쉽다.
-풍작: 수온이 높은 지방에서 유주자 발아시기와 배우체 발아시기인 5~7월에 수온이 낮으면 풍작
추운 지방에서 1~2월에 수온이 낮은 해에 풍작이 되기 쉽다.
따뜻한 지방에서 4~5월에 수온이 낮은 해에 풍작이 되기 쉽다.
유주자 방출 시기인 4~5월 아포체 발아기인 9~10월에 폭풍 일수가 많아 자연 갯닦기로 풍작 되기 쉽다.
다시마
1.다시마 양성방법
-2년 양식: 인공 또는 천연채묘에 의해서 종묘를 육성하여 솎음, 뿌리 묶기, 잡물 제거 등 관리를 하여 2년간 양성 후 채취하는 방법 수온이 비교적이 낮은 곳에서 가능 경제성 및 기술적 문제가 있음
-촉성 양식: 인공 채묘하여 실내의 배양액속에 수온, 조도 조절하여 45일간 수조 배양, 수조 내에서 재생산을 마치고 바다수온 하강 시기에 이식 양성
품질 좋은 참 다시마를 대상으로 하는 방법
2년생 다시마를 저수온기에 최대 활용하여 단시간에 성장시키는 방법
9월초에 채묘하여 15~16℃, 3000~4000LUX, 18시간 명기로 투명한 수조에 영양염류와 산소 공급으로 배양체 45일만에 5~10mm의 종묘 크기를 생산, 물갈이는 20일후 전량을 갈아준후 그후 1주일마다 1/2씩 갈아준다.
-억제 배양: 5~6월에 인공 채묘한 배우체를 고수온기에 억제 배양했다가 9~10 월에 발아 관리하여 바다수온이 18℃이하 때 본 양성
난해에서 자급된 모조로 양식이 가능
수확시기 앞당길 수 있다.
미역 종묘 생산이 끝나고 그 수조에서 배양한 종묘를 사용하여 12월중에 양성을 시작할 수 있다.
2.다시마 씨 붙이기
-착생 밀도는 수확 시 m당 25~50개체를 기준
-어미 줄에 30cm간격으로 끼우는 게 유리
-씨줄은 어미 줄에 1cm 정도 나오게 한다.
-씨줄을 어미 줄에 묶는 방법
3.다시마 시기별 양성 수심
-3월까지: 수면아래 1m, 4~5월: 1.5m, 6~7월:2~2.5m, 8월:3~3.5m
4.다시마 양성관리
-솎음, 잡해초 제거: 솎음은 1월초부터 시작하는데 그 요령은 생장이 잘되는 것만 남기고 4~5월경 1m당 25~50 개체가 남도록 한다.
-잡해초 제거: 뜸, 뜸 줄, 어미줄등에 붙은 것을 다 제거 하는데 4~5월경 솎음과 함께한다.
-뿌리 묶기: 뿌리 묶기는 솎음 다음에 하며 처음은 크게 자란 것으로 부착기가 어미 줄에 잘 붙지 않은 것을 묶어 준다. 이때 줄기는 절대 묶지 말고 묶은 뒤 손가락이 한, 두개 들어갈 정도로 공간이 있어야 차후 뿌리성장에 큰 지장이 없다.
-보충이식: 다시마의 탈락 유실된 부분이나 생장이 좋지 않은 부분에 한다. 솎은 것 중에 부착기가 좋은 것을 3,4포기 부착기와 함께 떼어 내어 그물망 으로 부착기를 싸서 어미줄에 묶는다. 뿌리묶기와 보충이식은 4~5월경 까지 마치도록 한다.
-양성 수위 조절: 3월에는1m, 4~5월에는 1.5m, 6~7월에는 2~2.5m(끝 녹음 방지를 위해 너무 깊게 하면 다시마가 충실하지 못하다.) 8월에는 3~3.5m
톳, 홑파래, 꼬시래기
1.톳의 잡해초 제거
-시기: 봄에 톳을 채취하고 난후 톳의 번식기 직전
-요령: 잡해초 제거시 포폭지가 손상되지 않게 한다.
지충이가 톳보다 1개월 늦게 성숙하므로 그 성숙기전에 톳의 생육대에서 좀 떨어진 곳의 지충이까지 제거
2.홑파래 구상체 (접합자) 성숙과 유주자 방출
-수온이 8월에 23~27℃로 저하되면 단일 조건에 성숙, 인위적으로 10일 정도 암처리 하면 성숙촉진
-성숙 억제를 위해서 29~30℃의 약광에 연속 조명, 암처리 한 것을 23~27℃의 강한 광선에(8000~10000 lux)하에 두면 1시간에 대량 방출, 유주자는 배우자와 동일하게 양성 주광성
3.구상체 배양시 약품 처리
-돌말류: 산화 게르마늄 0.5ppm
-다른 잡물: 황산구리 3ppm, 황산아연10ppm, 치아 염소산나트륨5ppm
4.꼬시래기 포자방출 유발 법
-모조를 24시간정도 담수에 담갔다가 다시 해수에 옮기면 30분이내에 약 30%방출
-2~4시간 음건 후 해수에 넣으면 담수처리 시와 같은 효과
-햇볕에 1~2시간 정도 쬔 후 해수에 넣으면 포자 방출효과 가장 크다.
수질관리론
1.암모니아 독성: ph가높은 알카리성일 경우 NH3 비율이 높아지며 PH 8부근에서 1단위 상승 시 독성은 10배 증가한다.
2.적조
-플랑크톤의 대량 번식으로 수색이 본래의 빛깔에서 적갈색이나 적색 등으로 변하는 현상
-원인: 도시 하수나 산업 폐수의 유입으로 부영양화가 됐을
추천자료
기사도 교육
경제성장과 스포츠 보도량의 관계
'해변의 카프카'에 대한 작품분석, 줄거리요약 및 나의 감상문(A+독후감)
감동 마케팅
건설안전기사 실기2차 필답형 과년도 문제 모음
노숙인 복지 - 복지 동향
[국제조세의 이해] 국제조세 관련기사 정리
아이리버 (레인콤) 실패 사례 - 마케팅 분석, 경쟁사 분석, 부진 사유
교육사회학 기사(언론) 스크랩 4개
[고부갈등 해결책] ‘고부갈등’ - 고부갈등의 정의와 원인, 고부갈등의 현실과 사례, 고부갈등...
[아동건강교육 B형] 1. 3~5세 누리과정에서의 건강교육부분과 표준보육과정에서의 건강교육과...
[지역사회복지론 공통] 우선 지역사회복지실천의 과정을 교재 제5장에 소개된 네 단계(문제확...
2017년 2학기 가계재무관리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장기재무설계, 단기재무설계)
2017년 2학기 유아교육기관운영관리 중간시험과제물 C형(영유아교육정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