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위생 증례
본 자료는 10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③ 우측 구치부의 교합상태를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④ 하악의 좌측 견치, 제1소구치 제2소구치에 제 5급 수복하게 된 원인은?

⑤ (a) 치은퇴축은 나이와 교합외상이 원인
  (b) 치은퇴축 때문에 치아우식증 발생위험 큼

본문내용

치위생 증례




3. 이 환자의 우측 구치부의 교합 상태를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
 ≪ 사 진 ≫

우측 구치부

〓〓〓〓〓〓〓〓〓〓〓〓〓〓〓〓〓〓〓〓〓〓〓〓〓〓〓〓〓〓〓〓〓〓〓〓〓〓〓〓〓〓〓〓〓〓〓〓〓〓〓

3번 문항은 환자의 우측 구치부의 교합 상태에 관해 묻는 문제 입니다. 먼저 우측 구치부 석고 모델을 보시면 다음과 같습니다. 정상교합은 상악 제 1대구치 근심협측교두와 하악 제1대구치 근심협측구가 만나야 하지만 사진은 각각의 교두가 교합한 상태임을 알 수 있습니다.




3. 이 환자의 우측 구치부의 교합 상태를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

① 개방교합

 ≪ 사 진 ≫

= 개교 (Open Bite)
상하의 치아가 교합하지 않는 상태로 대부분 전치부 개교를 지칭

도해치학용어 제4판, 고문사, 이규원 등 ,336p 8번째줄 / 開咬 (OPEN BITE), 대림출판사,1988년도 25~28p

〓〓〓〓〓〓〓〓〓〓〓〓〓〓〓〓〓〓〓〓〓〓〓〓〓〓〓〓〓〓〓〓〓〓〓〓〓〓〓〓〓〓〓〓〓〓〓〓〓〓〓

보기 1번 개방교합, 즉 개교는 상하의 치아가 교합하지 않는 상태로 대부분 전치부 개교를 지칭하면 모습은 다음과 같습니다. 그러므로 이 환자의 교합상태와는 관계되지 않았습니다.




3. 이 환자의 우측 구치부의 교합 상태를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

② 절단교합

 ≪ 사 진 ≫

= 절연 교합
상하전치가 서로 그 절연에서 접촉하는 edge-to-edge bite

대림출판사, 反對合咬(CROSS-BITE),1988년도,17p 2째줄

〓〓〓〓〓〓〓〓〓〓〓〓〓〓〓〓〓〓〓〓〓〓〓〓〓〓〓〓〓〓〓〓〓〓〓〓〓〓〓〓〓〓〓〓〓〓〓〓〓〓〓

보기2번 절단교합, 즉 절연교합은 상하 전치가 서로 그 절연에 접촉하는 교합으로 에지 투 에지라
일컬어 지며 모습은 다음과 같습니다. 그러므로 이 환자의 교합상태와는 관계되지 않았습니다.
  • 가격4,000
  • 페이지수29페이지
  • 등록일2012.06.03
  • 저작시기2012.6
  • 파일형식기타(pptx)
  • 자료번호#7509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