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식성_기관지염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론
문헌고찰
천식성 기관지염 (Asthmatic Bronchitis)
바이러스성 위장관염(AGE)
원인
기전
증상
진단
치료 및 간호
예방법

본론
자료조사
환자 간호정보지
각 계통 조사
사용약물 종류 및 성분 분석 (부작용, 주의점, 효능)
진단검사
혈액검사(정상치, 결과치, 임상적의의)
X-raY
24개월 유아의 분석

결론
간호과정
(주관적, 객관적, 목표, 진단, 중재, 평가)

참고문헌

본문내용

입행굴것
간호과정 #1
주&객관적자료
(Subjective&
Objective data)
Subjective data
Objective data
“하루에 3~4번 토하고 설사 7~8회 하고 못 먹어서 입원 했어요”
라고 보호자가 말함.
유아미음 10%먹음.(아침,점심, 저녁)
미음과 약먹은 후 토함.
기저귀 물 설사 조금씩 8회
환아 배를 잡고 울고 있음.
환아 질문에 대답 안함.
BW: 11kg
v/s 90/60-120-28-38.7
전해질 검사 : Na 131 k3.90 cl 102
3종 stool 검사 : 정상
간호진단
(Nursing Dx.)
설사, 구토와 관련된 영양부족
간호목표
(Goals-objectives)
단기목표: 대상자는 5일안에 정상 적인 영양 상태로 돌아 올 것이다.
간호중재&근거
(Nursing Intervention)
1.매일 체중을 재서 기록한다. (전해질 배출로 인한 체중감소 관찰)
10/16
BW : 11kg
10/17
BW : 11kg
10/18
BW : 11kg
2.환아가 선호하는 음식을 제공한다(부드러운 음식 제공)
야채 죽 , 미음을 조금 씩 자구 먹여줌.
3.환아가 먹는 것을 돕는다.
4.보호자에게 기저귀 처리 방법 및 교육, 손씻기의 중요성을 교육시킨다.(바이러스 및 세균 상행감염 방지 위해)
5.활력징후를 기록한다.(생리적 변화 징후 확인)
10/16
90/60 - 120- 24 -38.5
10/17
100/60 - 110- 25-38
10/18
90/60 - 100 - 23-36.7
6.섭취량과 배설량을 기록한다.(전해질 ,수분의 불균형의 상태를 알기 위함) 기저귀량(소변, 대변), 식사량. 수액
7.정맥주사를 투여한다.(5DW1L +Na30+k20) 전해질 보충
8.항구토제, 지사제를 복용시킨다. (스멕타, 람노스 투여)
(1~5번 SN수행 , 6.7,8번RN수행)
문제발생일: 10/16 해결일 : 10/18
평가
(Evaluation)
1.유아미음 100% 먹을 수 있다.
2.전해질 수치가 정상으로 돌아왔다.
3.활력징후는 정상이다.
4.I/O가 정상적이다..
간호과정 #2
주&객관적자료
(Subjective&
Objective data)
Subjective data
Objective data
“제가 화장실을 다녀온 후에 아이가 침대에서
떨어졌어요! 라고 보호자가 말함.
보호자가 자리 비움
“쿵”하는 소리가 들림.
side rail은 내려있고 아동은 침대 밑에서 울고 있음.
낙상고위험사정 5점check됨
간호진단
(Nursing Dx.)
낙상고위험군과 관련된 낙상위험성
간호목표
(Goals-objectives)
목표: 낙상 위험성을 최소화 시킬 것이다.
간호중재
(Nursing Intervention)
1.걸려 넘어질 위험이 있는 기구들을 제거 한다.(가위, 칼, 젓가락)
2.항상 side rail을 올리도록 교육 시킨다.(낙상예방 위해)
3.보호자에게 아동을 혼자 두고 자리를 비우지 말라고 교육한다.
4.낙상고위험 알림표를 잘 보이는 곳에 부착한다.(누구나 쉽게 알 수 있게 해야 한다.)
1~4 번 SN수행, 문제 발생일 10/18 문제해결일 10/18
평가
(Evaluation)
1.side rail 올리는 방법을 보호자가 설명 할 수 있다.
2. 환아를 혼자 두지 않고 보호자와 같이 다니는 모습 관찰됨.
간호과정 #3
주&객관적자료
(Subjective&
Objective data)
Subjective data
Objective data
“우리 아이가 열이 나는 것 같아요 열 좀 재주세요.”라고 보호자가 말함
10/18 BT :38.7C(2PM)
10/19 BT : 38 C(2AM) check됨
피부온도 상승
구강 건조해 보임.
환아 아픈 통증 못 느끼면서 힘없는 모습 보임.
간호진단
(Nursing Dx.)
질병과 관련된 고체온
간호목표
(Goals-objectives)
단기목표 : 체온이 5일 이내에 떨어질 것이다.
간호중재&근거
(Nursing Intervention)
1.1시간 마다 체온을 측정 한다.(신체징후의 변화 확인)
2.옷을 벗기고 미온수 마사지를 한다.(38도 상승 시 시행 열전도율을 떨어뜨림. 증발시킴으로써 체온을 하강시킴)
3.수분 섭취를 조금씩 먹을 수 있도록 돕는다.(탈수 증상 방지)
4.해열제를 투여한다.(크라신드라이시럽, 타이레놀 )
5.정맥주사를 투여한다. (탈수를 예방, 전해질 보충)
1~3번 SN수행 4~5번 RN 수행
문제 발생일 : 10/18 문제 해결일 10/19
평가
(Evaluation)
1.3일 이내에 체온이 정상으로 돌아 왔다.
간호과정 #4
주&객관적자료
(Subjective&
Objective data)
Subjective data
Objective data
“우리 아이가 기침도 많이 하고 가래도 있는데 잘 못 뱉어 내요! 라고 보호자가 말함
BT : 38 C RR: 32회(얕고 빠름)
심첨맥박 : 155회
청진음 : 천명음
수면 시 잦은 기침하는 모습관찰
간호진단
(Nursing Dx.)
분비물 축척과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 청결
간호목표
(Goals-objectives)
단기목표 : 효과적인 심호흡 기침을 위해 기도유지를 시킬 것이다.
간호중재&근거
(Nursing Intervention)
1.흉부물리요법을 시행한다.(폐에 달라붙어 있는 분비물을 떨어지게 함으로써 호흡을 용이 하게 한다.)
2.폐를 청진한다.(정상적인 음과 비정상적인 음을 구별)
3.수분섭취를 시킨다.(조금씩 자주 준다. 가래를 묽게 하기 위함)
4.흡입치료를 시행한다.(벤토린,풀미칸)-기관지를 확장시켜 기도유지
5.진해거담제를 투여한다.(뮤테란,레보투스)-기침중추억제시킴, 가래를 묽게 만듬.
주의점 : 기침중추를 억제시키면 가래가 기관지를 막아 호흡곤란을 일으킬 수 있음(의사 처방에 따라 수행해야 한다.)
6. 보호자에게 약물 투여방법에 대해 교육한다.
1~4번 SN수행 5,6번 RN수행
문제 발생일 : 10/19 문제 해결일 : 10/23
평가
(Evaluation)
1. 청진시 정상 음이 들린다.
2. 보호자는 약물 투여 방법에 대해 설명 할 수 있고 시행 할 수 있다.
  • 가격2,9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2.06.05
  • 저작시기2012.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15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